|
CSI 전문용어 안내
강선 : 총열에 나선형으로 파인 홈. 강선은 대개 다이아몬드로 깍는데 다이어몬드의
마모로 인해 동일한 강선은 만들어질 수 없다.따라서 강선은 일명 “총기의 지
문”이라고도 한다. 총알이 강선을 따라 회전할 때 탄두에 강선의 홈에 의한 스
크래치가 발생하는데, 이 TM크래치를 비교하면 탄환이 어느 총에서 발사됐는
지 확인할 수 있다. CSI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다.
구화 : 청각장애자가 정상인인 상대방의 말하는 입술 모양을 보며 대화하는 방법.
그레이트데인(Great Dane) : 키71-76cm, 몸무게 45-54kg의 초대형 독일 산 견공.
노녹시놀(nonownol - 9) : 피임용 살(殺)정자제.
데이트레이더(Day trader) : 주식을 산 날 바로 되파는 방법으로 차익을 얻 고자 한는
직업투자자.
독말풀(Jimsomweed) : 가짓과의 한해살이 풀로 씨와 잎에 마취성 독소가 들어있어
진통제나 최면제로 쓰인다.
로카르의 법칙(Locard's Principle) : 프랑스 범의학자 로카르 교수의 “접촉 하는 두
개체는 서로의 흔적을 주고 받는다”는 법칙.
루미놀(luminol) : 범죄 수사에서 혈혼 감식에 쓰이는 유기화합물. 혈액 성 분과 접촉
하면 무색의 루미놀이 푸름슴한 빛을 내며 혈흔의 모양이 보이게 된다.
무색 마라카이트그린(Leucomalachite green) : 혈혼을 찾기 위해 쓰는 시약. 혈혼
이 있으면 과산화수소가 산화하면서 초록색으로 변한다.
매핑(Mapping) : 사진 촬형과 도표작업을 통해 복잡한 범죄현장의 상황을 재구성하
는 작업.
반응성 애착장애 : 부모나 그 외 양육자 등 주된 애착 대상이 바뀌어 안정 적인 애착
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로 자폐증상을 보이고,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가
불안정하다.
방전가공 : 두 전류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때 생기는 전기적 작용으로 금속 표면을 가
공하는 방법.
벅시시걸 : 라스베가스를 도박과 환락의 도시로 만들었던 1940년대 미국의 전설적인
갱스터. 원 이름은 벤시걸, 벅시는 벌레를 뜻하는 말로 주위사람들이 벤시걸을
경멸하여 붙인 이름이다.
부종(Edema) : 피하조직에 액체가 축적되는 현상.
보효소(Co-enzyme) : 비타민과 인이 함유된 효소의 활성을 도와주는 효소.
설골(Hyoid bone) : 혀 밑에 있는U자모양의 뼈로 목에 침을 가해 조를 경우 쉽게
부러진다.
스피드메탈(Speed metal) : 헤비메탈 음악의 일종.
스코플라민 : 가지과 식물에 함류되어 있는 알카로이드 성분의 멀미약. 안약에 사용
되나 맹독성이 있어. 다량 복용시 부교감신경계 를 마비시킬 수 있다.
슬리피 할로우 전설 : 미 독립전쟁 당시 목이 잘린 독일인 용병이 목 없는 귀신으로
살아나 사람들의 목을 벤다는 전설.
아밀라아제(Amylase) : 사람의 침속에 들어있는 녹말 분해 효소로 전분과 요오드 용
액을 떨어뜨리면 색이 변한다.
오리큘러 서피스 : 골반 뒤쪽에 있는 장.천골 관절로 나이에 따라 모양과 형태가 달
라지기 때문에 사체 감식시 연령판별에 이용된다.
유리체액 : 안구를 채우고 있는 무색 투명한 액체.
예비심문(Preliminary hcaring) : 피의자가 범인이라고 받을만한 상당한 이 유가 있
는가를 공소 제기에 앞서 심사하는 절차.
자낙스 : 심리적인 공황장애나 불면증 치료에 쓰이는 ‘알프라졸람’의 상품명. 출처
점상출혈 : 질식시 불완전하게 목에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 피부나 점막에 발생하는
작은 반점 형태의 출혈.
제인 도우(Jane Doe) : 신원 미상의 여자를 부를 때 흔히 쓰는 이름. 남자 의 경우는
존 도우(John Doe)라고 한다.
촉진제(Accclcrant) : 연소를 촉진하는 휘발유나 석유 등 인화성 액체.
콰드릴리온 : DNA 검사에 사용하는 단위로 10의 15승의 숫자를 의미함.
크레아티닌 키나제(Creatine Kinase) : 근육과 혈액에 들어있는 물질로 근육 마비
등이 일어나면 이 물질이 증가한다
트로포닌 : 심장근육에 있는 근 단백질
테플론(Teflon) : 열에 강한 고분자 화합물로 탄환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 기 위해
탄두에 덧씌우기도 한다.
파열현상(Spalling) : 콘크리트나 돌 표면이 고열에 트거나 부스러지고 변색 되는 현
상.
파출리(Patchouli) : 향기로운 기름의 원료가 되는 열대산 한해살이 풀.
피라냐(Piranha Natteri) : 12-15cm 크기의 식인어(食人漁)로 주로 남미 아마존강에
서식한다.
파이오베르딘(Pyoverdin) : 슈도모나스아에루기노사균이 생성하는 푸른빛을 내는
형광색소
포르피린증(Porphyria) : 혈액의 헤모글로빈 대사 이상이 원인인 유전성 질병으로 햇
빛을 쪼이면 피부에 수포나 궤양이 발생한다.
페놀프탈린 : 혈흔을 찾는데 사용하는 시약으로 이외에 루미놀, 올소톨리고, 마라카
이 그린 등이 있다. 페놀프탈린의 경우 혈흔과 반응하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플레쉬오버(Flash over) : 불의연소 범위가 넓어져 실내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
상. 이때 산소가 부족한 실내에 산소가 공급되면 급격한 폭발(백 드래프트)이
일어난다.
합성 에스트로젠(Syhtheticestrogen) : 피임약이나 유방암 또는 폐경기와 같은 여성
호로몬 장애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
혈색증(Hemochromatosis) : 철 대사 이상에 의하여 철이 조직, 특히 간장 및 췌장
에 침착하는 질환
핼로세인 : 흡입마취약의 일종
헤마틴(Hematin) : 철분제제의 일종으로 포르피린증 치료에 쓰인다.
ALS(Alternate light source) : 교광등이라고 하며, 파장이 각기 다른 빛을 교대로 비
춰 눈에 잘 안띄는 작은 물질(액체, 지문, 섬유조각 등)을 찾는데 사용한다.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장에 물리적 전기적 자극을 가해 호흡을
되살리는 심폐 소생술.
GC분석기 :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혈액속에 들어있는 약물이
나 독극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도구.
CSI 용어 2
1. 독극물
*스크리크닌
마전이라는 나무껍질과 씨에서 얻어낸 것, 흰 결정체로 쓴맛이 난다. 극히 적은 양이며 흥분제로 사용.
그러나 그 양을 넘으면 신경마비 되고 근육이 당기며 심한 경련이 일어나 질식하여 죽음.
*청산가리(시안화칼륨)
사인화칼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희고 딱딱한 물질로 독성이 강하며 0.3g 정도로도 결정적인 효과를 냄.
2~3분 안에 완전히 죽지 않을지 모르나 대개 몇 초 이내에 감각이 없어지고
곧 신경계통과 심장에 까지 마비가 와서 죽음.
말벌둥지에 뿌려 벌을 퇴치 하는데 쓰임. 특유의 아몬드향 냄새가 난다.
이 독약을 투입하면 다른 독약과는 달리 입술의 색,즉 혈색이 바뀌지 않는다.
보통 독약들은 투입하면 보라색으로 입술이 변하나 청산가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혈액 속의 산소가 사용되지 않고 굳어지기 때문이다.청산가리를 투입하면 전자전달의 세포가 파괴되 버린다.
*아코니친
바곳이라는 꽃의 잎과 뿌리에서 얻는 독약, 치사량은 2mg으로 이걸 먹으면 몇 분도 안되서 죽는다.
아코니친은 신경조직을 마비해 버리는 맹독이다. 독을 빼면 한약 재료로 쓰임.
*테트로도 톡신
복어의 독으로 치사량이 0.2mg~0.5mg이 되는 맹독으로 호흡부전과 마비증세를 일으킨다.
*아세틸콜린
부교감 신경에 작용하는 약재로 다량투여하면 복통, 구토, 침을 흘리며 숨쉬기가 힘들어진다.
2. 기타 상식, 트릭
*일산화탄소
연료가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되는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이다.
일산화탄소는 체내에 들어가 혈액중에 헤모글로빈과 결화되어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떨어뜨린다.
공기중에 조금만 섞여 있어도 신체에 이상증상이 나타난다.(이산화탄소랑은 완전히 다름)
*이산화탄소
사람의 호흡이나 연료가 타면서 생기는 기체, 보통 이산화 탄소는 공기 중에 0.03~0.04%가 포함되어 있는데
0.1~0.2% 이상 포함되면 오염된 공기, 인체에서 내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는 안정시 각각 16%와 4%정도이고,
운동중에는 17%와 5%정도임.
* 이산화 황
황이 포함되어 있는 연료를 사용할 때, 인체에 해로운 이산화 황이 배출되며 이것은 몸속에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 산화질소류
인분이나 가축의 배설물로 인하여 생기기도 하고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기도 한다.
특히 질소화학 공장이나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산화질소류가 생긴다. 코, 목구멍의 감각,
호흡기 계통에 자극을 주어 세균 감염 등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 시킨다.
*아세틸콜린
콜린의 아세트산에스테르로서 염기성 물질이다.
화학식 CH3COOCH2CH2N(CH3)3OH. 동물에서는 신경조직에 존재하고.
식물에서는 맥각(麥角) 등에 들어 있다.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며,
신경의 자극을 근육에 전달하는 화학물질이다.
신경말단으로부터 분비되는 전달물질로는 운동신경과 부교감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교감신경에서는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 알려져 있다.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면 혈압강하·심장박동 억제·장관(腸管) 수축·골격근 수축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신경말단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은 자극의 전달이 끝나면
콜린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콜린과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콜린은 콜린아세티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효소적으로 합성되어 다시 아세틸콜린이 된다.
*수산화나트륨
이 수산화나트륨은 화학약품에 많이많이 쓰이는 약품제 이다.
일명 가성 소다 라고도 한다.
백색의 결정으로 보통 식염수를 전해해서 대량으로 얻을 수있다.
물에 아주 잘 녹는다는 특징이 있으며 강한 알칼리성이다.
방치하면 공기중의 수분을 모두 흡수해 버리고 수 분후에 액체화 한다.과학시간에 배운 액화라고나 할까.
탄식성이 있으며 피부를 이상하게 해버린다.
독약으로도 많이 쓰이기 때문에 역시 해독하는 방법도 알아야한다.
해독할 때 좋은 식품은 계란의 흰자,우유 등이 좋다.
*바다뱀에 물렸을 때
바다뱀에 물렸을 때에는 응급처치가 중요하다.
응급처치의 목적은 뱀의 독을 조금이라도 빼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주위의 사람이 입으로 독을 빼주어야 한다.
이 때 주위에 홍차류가 있으면 필수적.
홍차는 탄닌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있어 독을 중화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처주위에 홍차를 뿌려주면 만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독을 빼는 사람도 홍차로 입을 적셔야한다.(않그러면 그 사람도 위독해질 수가 있다.)
*외과의사의 손의 특징
외과의사의 손은 양손의 네 번째 손가락에 어떤 자국이 남는다.
이유는 수술시에 가느다란 실을 양손 네 번째 손가락으로 막으면서 수술을 하기 때문이다.
*권총으로 자살할 때의 화상
권총으로 자살을 할 때는 보통 화상이 남기 쉽다.
이유는 권총에서 총알이 나올 때 고온의 열풍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권총을 밀착시켜서 쏘면 화상이 남게 된다는 것이다.
*초연반응
초연 반응이란 권총을 쏘고나면 화약 같은 것이 반사되어 가해자의 몸에 날라온다.
이 것을 초연 반응이라고 한다.
권총이 오토매틱이면 탄알이 나갈 때 같이 초연 반응이 일어날 정도이다.
그만큼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가해자는 트릭을 사용하지 않으면 초연 반응을 막을 수없다.
권총으로 살인을 일으켰을 때 초연 반응을 검사하면 범인을 쉽게 잡을 수 있다.
*구멍난 우산을 이용한 초연 반응 퇴치 트릭
구멍난 우산을 이용하면 쉽게 초연 반응이 나타나지 않게 할 수있다.
일단 우산을 준비,그 우산에 총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의 크기의 구멍을 뚫어준다.
그리고 살인을 할 때,우산으로 자신을 뒤집어 씌운다음 권총만 밖으로 내밀어 피해자를 죽인다.
이렇게 되면 우산이 총의 화약으로부터 가해자의 몸을 지켜줄 수있다.
쉬운 트릭이지만 이 것을 경찰이 눈치채지 못하면 그 사건은 미궁에 빠진다.
*일사병
장기간 동안 직접 일광을 받았을 경우 일어나는 병.
체온이 급상승하며 두통,하품,어지러움증 등이 일어나며 의식이 없어진다.
피부가 건조해지며 땀은 멈추어 버리고 만다.몸을 차갑게 해주자.
*사후경직
사반과 더불어 피해자의 사망시각 추정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망자의 사후경직을 조사해 두면 현장 검증에 도움이 되겠죠.
하지만 사후경직만으로는 정확한 시간을 추정하기는 힘듭니다.
앞에 말한 사반이나 주변 상황을 잘 따져봐야 합니다.
환경과 사망장소, 밤인지 낮인지에 따라 엄청나게 시간차도 나기때문에...
다음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온'에서의 사후경직 진행입니다..
죽은지 30분에서 2시간 안에 몸이 굳어지기 시작하여
9시간에서 12시간 사이에 온몸이 뻣뻣해지고,
그 다음 30시간동안 딱딱히 굳었다가 차츰 부드러워져서
70시간이지나면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사반
사람이 죽으면 혈액의 흐름이 멈추고 혈액은 물처럼 몸의 가장 낮은 부분에 고이게 됩니다.
아시죠..?엎어진 상태에서 죽었을 경우에는 배쪽에 혈액이 고이고,
누운 상태에서 죽었다면 등쪽에 혈액이 고이게 됩니다.
그 고인 혈액이 보라색 반점으로 보이는 데 그것을 사반이라고 합니다.
사반은 사후 2 ~ 3 시간 사이에 나타나게 되는데,
그 후 7 ~ 8시간 까지는 사반이 생겨도 고인 혈액이 응고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시체를 움직이기에 따라 사반은 이동하거나 없어지기도 합니다.
사반 역시 피해자(살인 사건의 경우) 혹은 사망자의 사망시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루미놀
혈흔의 감식에 널리 쓰이는 질소 헤테로고리 화합물입니다.
아미노프탈산히드라지드라고도 하며, 분자량 177.16, 녹는점 329∼332℃의 백색 고체입니다.
물 * 에탄올 * 에테르에는 녹기가 어려우며, 혈흔을 검출하는 데 쓰일 뿐 아니라,
과산화수소 및 시안이온의 분석용 시약으로도 사용됩니다. 이것은 모두 알칼리 용액이며,
과산화수소나 하이포염소산염 등으로 산화하면 육안으로도
선명한 자청색의 발광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응용한 것입니다.
법의학 용어
제3장 일반용어(감정서)
가격 (加擊) strike → 때림, 가격
간헐적 (間歇的) intermittent → 이따금
개대하다 (開大하다) open wide, put aside → 열다, 열어젖히다
거단하다 (鋸斷) saw → 자르다
경도 (輕度) slight → 약함
고도 (高度) severe → 심함
과굴곡 (過屈曲) hyperflexion → 과다굽힘
과신전 (過伸展) hyperextension → 과다젖힘
기관내삽관 (氣管內揷管) endotracheal intubation → 기관내삽관
기관절개술 (氣管切開術) tracheotomy → 기관절개술
기왕증 (旣往症) → 과거병력
기존질환 (旣存疾患) → 지병
나체 (裸體) a naked[nude] body → 알몸, 나체
내강 (內腔) lumen → 안
내경 (內徑) the inside diameter → 안지름
내경검사 (內景檢査) → 내부검사
내재 (內在) immanence, inherence → 내재
내적원인 (內的原因) internal cause → 내적원인
다발성 (多發性) multiple → 여러, 다발
담수 (淡水) fresh water → 민물
문신 (紋身) taootting → 문신
반사기능 (反射機能) reflex function → 반사기능
반점 (斑點) spot → 얼룩
복와위 (腹臥位) prone position → 엎드린자세
봉합(피부) (縫合) suture → 꿰맴
비후 (肥厚) thickening → 두꺼워짐
빈혈상 (貧血狀) anemic → 창백한
사상방 (斜上方) superiorly oblique → 비스듬한 위쪽
산도 (産道) birth canal → 출산길
선홍색 (鮮紅色) cherry-red → 선홍색, 빨간색
신체 (身體) body → 몸, 신체
실질상 (實質狀) parenchymal → 속찬, 실질상
실질장기 (實質臟器) solid organ → 속찬장기
심부체온 (深部體溫) core temperature → 몸 안 체온
심폐소생술 (心肺蘇生術)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
심혈 (心血) hearts blood → 심장혈액
아광역성 (亞廣域性) → 비교적 넓은 성질
아피 (鵝皮) goose flesh skin → 닭살
악액질 (惡液質) cachexia → 종말증
암적색 (暗赤色) dark-red → 암적색
앙와위 (仰臥位) supine position → 누운자세
액상 (液狀) liquid → 액체, 액상
액화 (液化) colliquation, liquefaction, synchysis → 액화, 연화, 용해
역류 (逆流) back flow → 거꿀흐름, 뒤흐름
연조직 (軟組織) soft tissue → 물렁조직
열감 (熱感) → 따뜻함
염수 (鹽水) brackish water → 소금물
오류 (誤謬) error → 이상, 오차
외막 (外膜) external coat → 바깥막
외표 (外表) periderm → 외표피
외표검사 (外表檢査) → 외표피검사
울혈 (鬱血) congestion → 울혈
울혈상 (鬱血狀) → 울혈모양
위축 (萎縮) atrophy → 위축
유동혈 (流動血) → 흐르는 피
응고상 (凝固狀) → 굳은 상태
응혈 (凝血) coagulum → 굳은피
이물 (異物) foreign body → 이물, 이물질
이완 (弛緩) relaxation → 풀림, 이완
자가융해 (自家融解) autolysis → 자가용해
자구력 (自救力) → 스스로 함
저온 (低溫) cold → 한랭, 찬
전신 (全身) whole body, ones whole being → 온몸
전연 (前緣) anterior margin, ventral margin → 앞모서리
전위 (轉位) transposition → 자리바뀜
점상 (點狀) → 점모양
점액 (粘液) mucus → 점액
정수 (靜水) stagnant, standing water → 고인물
종창 (腫脹) swelling → 부기, 종창
중등도 (中等度) → 중등도
중량 (重量) weight → 무게, 중량
지방적 (脂肪滴) lipid droplet → 지방방울, 기름방울
직장내온도 (直腸內溫度) rectal temperature → 곧창자온도
체위 (體位) positional → 자세, 체위
태변 (胎便) meconium → 배내똥, 태변
태위 (胎位) presentation (of the fetus) → 태아위치
팽만 (膨滿) inflation → 부품, 팽만
폐쇄 (閉鎖) closure, impatency → 닫힘
해수 (海水) sea water → 바닷물
허탈 (虛脫) collapse, prostration → 허탈, 기진, 피로
혈액침하 (血液沈下) → 혈액침전
혈행 (血行) blood circulation → 혈액순환
협부 (頰部) isthmus → 잘룩
협착 (狹窄) constriction, stricture → 협착
혼탁 (混濁) fog, opacity → 불투명, 혼탁
확장 (擴張) distention → 확장, 팽창, 늘림
제4장 해부학 용어
간(肝) liver → 간
갑상선(甲狀腺) thyroid gland → 갑상샘
갑상연골(甲狀軟骨) thyroid cartiage → 방패연골
갑상연골상각(甲狀軟骨上角) superior horn of thyroid cartiage → 방패연위뿔
갑상연골판(甲狀軟骨板) plate of thyroid cartilage → 방패연골판
거골(距骨) talus → 목말뼈
견갑간부(肩胛間夫) interscapular region → 어깨뼈사이부위
견갑골(肩胛骨) scapula → 어깨뼈
견갑상부(肩胛上部) suprascapular region → 어깨뼈윗부분
견갑하부(肩胛下部) infrascapular region → 어깨뼈아렛부위
견봉부(肩峰部) acromial region → 봉우리부위
경골(頸骨) tibia → 정강뼈
경동맥삼각(頸動脈三角) carotid triangle → 목동맥삼각
경막(硬膜) dura mater → 경길막
경부(莖部) neck region → 목부위
경수(硬水) cervical segment of spinal cord → 척수, 목부분, 목척수
경절흔(勁節痕) jugular notch → 목아래패임
경추(頸椎) cervical vertebrae → 목뼈
경추부(頸椎部) cervical vertebrae → 목뼈부위
고관절(股關節) hip joint → 엉덩관절
골반(骨盤) pelvis →골반
골반절(骨盤節) hip bone → 볼기뼈
공장(空墻) jejumum → 빈창자
관골부(冠骨部) zygomatic region → 광대부위
관상동맥(冠狀動脈) coronary artery → 심장동맥
관절돌기(關節突起) articular triangle → 관절돌기
교상정맥(膠狀靜脈) bridging vein → 연결정맥
구강(口腔) oral cavity → 입안
구부(口賦) oral region → 입부위
극돌기(棘突起) spinous process → 가시돌기
근삼각(筋三角) muscular triangle → 근육삼각
근육(筋肉) muscle → 근육
기관(氣管) trachea → 기관
기관연골(氣管軟骨) tracheal cartilages → 기관연골
기관지(氣管支) bronchus → 기관지
기도(氣道) airway → 기도
기도점막(氣道粘膜) airway mucosa → 기도점막
기시부(紀始部) origin → 이는곳
기절골(基節骨) proximal phalanges → 첫마디뼈
내경동맥(內頸動脈) internal carotid artery → 속목동맥
내과(內 · ) medial malleolus → 안쪽복사
내상완부(內上腕部) medial region of arm → 위팔안쪽부위
내측설상골(內側楔狀骨) medial cuneiform bone → 안쪽쐐기뼈
내측이두근구(內側二頭筋 · ) medial bicipital groove → 안쪽두갈래근고랑
뇌(腦) brain → 뇌
뇌교(腦橋) pons → 다리뇌
뇌동맥류(腦動脈溜) cerebral aneurysm → 뇌동맥꽈리
뇌막(腦膜) meninges → 뇌척수막
뇌막동맥(腦膜動脈) meningeal artery → 뇌막동맥
뇌실(腦室) ventricle → 뇌실
뇌저부동맥(腦底部動脈) basilar artery → 뇌바닥동맥
뇌척수액(腦脊髓液) cerebral vessel → 뇌혈관
뇌회(腦回) gyrus → 대뇌이랑
늑간근(肋間筋) intercostal muscle → 갈비사이근
늑골(肋骨) rib → 갈비뼈
늑연골(肋軟骨) costal cartilage → 갈비연골
담낭(膽囊) gallbladder → 쓸개
담석(膽石) biliary stone, gallstone → 쓸개돌
대구치(大臼齒) molar teeth → 큰어금니
대뇌(大腦) cerebrum → 대뇌
대뇌겸(大腦鎌) falx cerebri → 대뇌낫
대동맥(大動脈) aorta → 대동맥
대동맥판막(大動脈瓣膜) aorta vlave → 대동맥판막
대망(大網) → greater omentum → 큰그물막
대상회(帶狀回) cingulate gyrus → 띠이랑
대식세포(大食細胞) macrophage → 큰포식세포
대장(大腸) large interstine → 큰창자
대전자(大佺子) greater trochanter → 큰돌기
대퇴골(大腿骨) femur → 넙다리뼈
대퇴골경부(大腿骨頸) neck of femur → 넙다리뼈목
대퇴부(大腿部) thigh → 넓적다리
대퇴정맥(大腿靜脈) femoral vein → 넙다리정맥
대후두공(大後頭孔) foramen magnum → 큰구멍
도출정맥(導出靜脈) emissary vein → 이끌정맥
동맥압(動脈壓) arterial pressure → 동맥혈압
동정맥문합(動靜脈吻合) arteriovenous anastomosis → 동정맥연결
두개강(頭蓋腔) cranial cavity → 머리뼈안
두개골(頭蓋骨) skull → 머리뼈
두개관(頭蓋冠) calvaria → 머리덮개뼈
두개저(頭蓋低) skull base → 머리뼈바닥
두모(頭毛) hair → 머리털
두정골(頭頂骨) parietal bone → 마루뼈
두정부(頭頂部) parietal region → 마루부위
두정엽(頭頂葉) parietal lobe → 마루엽
두피( · 皮) scalp → 머리덮개
두피하( · 皮下) subgaleal → 머리덮개밑
둔구(臀鉤) gluteal region → 볼기
말절골(末節骨) distal phalanges → 끝마디뼈
맹장(盲腸) cecum → 막창자
무지구(拇指鉤) thenar eminence → 엄지두덩
미골(尾骨) coccyx → 꼬리뼈
방광(膀胱) urinary bladder → 방광
배면(背面) the back → 등
배부(背部) back region → 등부위
배중정부(背中正部) median back region → 척추부위
백질(白質) white matter → 백색질
복강(腹腔) abdominal cavity → 배안
봉합(縫合) suture → 뼈짜임
부신(副腎) adrenal cavity → 부신
비강(鼻腔) nasal cavity → 코안
비골(鼻骨) nasal bone → 코뼈
비골(緋骨) fibula → 종아리뼈
비공(鼻孔) nostrils → 콧구멍
비복부( · 腹部) calf → 장딴지부위
비부(鼻部) nasal region → 코부위
비장(脾臟) spleen → 지라, 비장
비장비대(脾臟肥大) splenomegaly → 지라비대, 비장비대
사골동맥(篩骨動脈) ethmoidal artery → 벌집동맥
삼각근(三角筋) deltoid muscle → 어깨 세모근
삼각근부(三角筋部) deltoid region → 세모근부위
상박골(上膊骨) humerus → 위팔뼈
상시상정맥동(上矢狀靜脈洞) superior sagittal sinus → 위시상정맥동굴
상악골(上顎骨) maxilla → 위턱뼈
상안와개(上眼 · 蓋) superior orbital wall → 눈확천장
상완(上浣) arm → 위팔
상지(上肢) upper limb → 팔
서혜부(鼠蹊部) Inguinal region → 샅굴부위
설골(舌骨) hyoid bone → 목뿔뼈
설골(舌骨大角) greater horn of hyoid bone → 목뿔뼈큰뿔
설근(舌筋) muscles of tongue → 혀근육
설첨(舌尖) apex of tongue → 혀끝
소뇌천막(小腦天幕) tentorium cerebelli → 소뇌천막
소쇄골상와(小鎖骨上窩) lesser supraclavicular fossa → 작은빗장위오목
소장(小腸) small intestine → 작은창자
소전자(小栓子) lesser trochanter → 작은돌기
소지구(小指鉤) hypothenar eminence → 새끼두덩
쇄골(碎骨) clavicle → 빗장뼈
쇄골대각(鎖骨上三角) supraclavicular triangle → 빗장위삼각
쇄골하동맥(碎骨下動脈) subclavian artery → 빗장밑동맥
수근골(手根骨) carpal bones → 손목뼈
수근배부(手根背部) back of wrist → 손목뒤부위
수배부(手背部) dorsu, of hand → 손등부위
수장(手掌) palm of hand → 손바닥
수지(樹脂) fingers → 손가락
수지골(手指骨) phalanx → 손가락뼈
슬(膝) knee → 무릎
슬개골(膝蓋骨) patella → 무릎뼈
슬관절(膝關節) knee joint → 무릎관절
슬와정맥(膝窩靜脈) popliteal vein → 오금정맥
승모판(僧帽瓣) left atrioventricular valve → 외방실판막, 승모판
신장(腎臟) kidney → 콩팥
심근(心筋) myocardium → 심장근육
심낭(心囊) the pericardium → 심장막
심와부(心窩部) epigastric region → 명치부위
십이지장(十二指腸) duodenum → 샘창자
악하삼각(顎下三角) subamndibular triangle → 턱밑삼각
안검(眼瞼) palpebra → 눈꺼풀
안검결막(眼瞼結膜) palpebral conjunctiva → 눈꺼풀막
안구(眼球) eyeball → 눈알
안면골(顔面骨) facial cranium → 얼굴머리뼈
안(眼面部) face → 얼굴
안와(眼窩) orbit → 눈확
안면부(眼窩部) orbital part → 눈확부위
안와하부(眼窩下部) infraorbital region → 눈확이래부위
외장골정맥(外腸骨靜脈) exterminal iliac vein → 바깥엉덩정맥
외측(外側) lateral → 가쪽
외측설상골(外側楔狀骨) lateral cuneiform bone → 가쪽꽤기뼈
외측이두근구(外側吏頭筋鉤) lateral bicipital groove → 가쪽두갈래근고랑
외하퇴부(外下腿部) lateral region of leg → 종아리가쪽부위
외후두융기정점(外後頭隆起頂点)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 바깥뒤통수뼈융기
요골(撓骨) radius → 노뼈
요부(腰部) lumbar region → 허리부위
요추골(腰椎骨) lumbar vertebrae → 허리뼈
우관상동맥(右冠狀動脈) right coronary artery → 오른심장동맥
유돌봉소(乳突蜂巢) mastoid air cell → 꼭지벌집
윤상연골(輪狀軟骨) cricoid cartilage → 반지연골
음부(陰部) genital region → 음부
이개(耳介) auricle → 귓바퀴
이개부(耳介部) auricular region → 귀바퀴부위
이공(耳孔) orifice of external acoustic meatus → 귓구멍
이관(耳管) auditory tude → 귀인두관
이부( · 部) mental region → 턱끝부위
이하삼각( · 下三角) submeltal triangle → 턱끝밑삼각
임파절(淋巴節) lymph node → 림프절
자궁(子宮) uterus → 자궁
장간막(腸間膜) mesentery → 창자사이막
장골(腸骨) ilium → 엉덩이뼈
장관(腸管) interstinal tract → 창자
장기(臟器) organ → 기관
장측흉막 (臟測胸膜) visceral pleura → 허파가슴쪽막
저면(底面) basis → 바닥
전경부(前頸部) front of neck → 목앞부위
전경삼각(前頸三角) anterior triangle of neck → 앞목삼각
전대뇌동맥(前大腦動脈) anterior cranial fossa → 앞머리뼈우묵
전대퇴부(前大腿部) front of thigh → 넓적다리부위
전두개와(前?鏞勸?) anterior cranial fossa → 앞머리뼈우묵
전두골 (前頭骨) frontal bone → 이마뼈
전두부 (前頭部) frontal region → 이마부위
전두엽 (前頭葉) frontal lobe → 이마엽
전면 (前面) anterior surface → 앞면
전방 (前方) anterior chamber → 앞방
전상완부 (前上 · 部) front of arm → 위팔앞부위
전슬부 (前膝部) front of knee → 무릎앞부위
전완배측부 (前腕背側部) back of forearm → 아래팔뒤부위
전완부 (前腕部) forearm → 아래팔
전완요측부 (前腕饒側部) front of wrist → 손목앞부위
전전완부 (前前完部) front of forearm → 아래팔앞부위
전족근 (專足筋) front of ankle → 팔목앞부위
전주부 (前 · 部) front od elbow → 팔오금부위
전하퇴부 (前下腿部) front of leg → 종아리앞부위
접형골 (蝶形骨) sphenoid bone → 나비뼈
정맥동 (靜脈洞) sinus od dura mater → 경질막정맥동굴
정맥류 (靜脈瘤) varix → 정맥류
제1중족골 (弟1中足骨) first metatarsal bone → 첫째발허리뼈
제부 (臍部) umbilical region → 배꼽
조흔 (爪痕) streak → 손톱자국
족골 (足骨) bone od foot → 발뼈
족근 (足筋) tarsus → 발목
족배부 (足背部) dorsum of foot → 발등
족지 (足趾) toes → 발가락
족지골 (足趾骨) phalanx → 발가락뼈
족척부 (足蹠部) sole of foot → 발바닥
종골 (踵骨) calcaneus → 발꿈치뼈
종골절 (從骨折) transverse fracture → 세로골절
좌골 (坐骨) ischium → 궁둥뼈
좌관상동맥 (左冠狀動脈) left coronary artery → 완심장동맥
좌전하행지 (左前下行枝) anterior interventricular branch → 앞심실사이가지
주관절 ( · 關節) elbow joint → 팔꿉관절
주상골 (舟狀骨) navicular bone → 발배뼈
중간설상골 (中間楔狀骨) intermediate cuneiform bone → 중간쐐기뼈
중뇌 (中腦) midbrain →중간뇌
중대뇌동맥(中大腦動脈) middle cerebral artery → 중간대뇌동맥
중두개와(中頭蓋窩) middle cranial fossa → 중간머리뼈우묵
중복부(中腹部) umbilical region → 배꼽부위
중수골(中手骨)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
중수골두(中手骨頭) head of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머리
중수골저(中手骨?) base of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바닥
중수골체(中手骨體) body of metacarpal bone → 손허리뼈몸통
중절골(中節骨) middle phalange → 중간마디뼈
중족 (中足) metatarsus → 발허리
지절골(指節骨) phalanges → 손가락뼈
직장(直腸) rectum → 곧창자
척골(尺骨) ulna → 자뼈
척추골(脊椎骨) vertebra → 척추뼈
천골(薦骨) sacrum → 엉치뼈
천골부(薦骨部) sacral region → 엉치부위
천장관절(薦腸關節) sacroiliac joint → 엉치엉덩관절
총경동맥(總頸動脈) internal carotid artery → 속목동맥
추골동맥(推骨動脈) vertebral artery → 척추동맥
췌장(膵臟) pancreas → 이자, 췌장
측뇌실(側腦室) pateral ventricle → 가쪽뇌실
측두골(側頭骨) temparal bone → 관자뼈
측두부(側頭部) temparal region → 관자부위
측두엽(側頭葉) temporal lobe → 관자엽
측복부(側腹部) lumbar region → 옆구리부위
치골(恥骨) pubis → 두덩뼈
치아(齒牙) tooth → 치아, 이
폐(肺) lung → 허파, 폐
폐문부(肺門部) pulmonary hilum → 허파문
폐혈관(肺血管) pulmonary vessel → 허파혈관
하늑부(下肋部) hypochondriac region → 갈비아래부위
하복부(下腹部) pubic region → 두덩부위
하악골(下顎骨) mandible → 아래턱뼈
하연(下椽) inferior margin → 아래모서리
하퇴부(下腿部) leg → 종아리
하행결장(下行結腸) descending colon → 내림창자
항부(項部) nuchal region → 목덜미부위
해면정맥동(海綿靜脈洞) cavernous sinus → 해면정맥동굴
혈액뇌관문(血液惱關門) blood-brain barrier → 혈액뇌장벽
협부(頰部) buccal region → 볼부위
환추후두관절(環推後頭關節) atlanto-occipital joint → 고리뒤통수관절
환추후두막(環推後頭膜) atlanto-occipital membrane → 고리뒤통수막
회백질(灰白質) gray matter → 회색질
회선지(回旋枝) circumflex branch → 휘돌이가지
회장(回腸) ileum → 돌창자
횡격막(橫隔膜) diaphragm → 가로막
후경삼각(後頸三角) posterior triangle of neck → 뒤목삼각
후대퇴부(後大腿部) back of thigh → 넓적다리뒤부위
후두개(喉頭蓋) epiglottis → 후두덮게
후두개와(後頭蓋瓦) posterior cranial fossa → 뒷머리뼈우묵
후두골(後頭骨) occipital bone → 뒤통수뼈
후두부(後頭部) occipital region → 뒤통수부위
후두엽(後頭葉) occipital lobe → 뒤통수엽
후면(後面) posterior surface → 뒷면
후방(後方) posterior chamber → 뒤방
후상완부(後上腕部) back of arm → 위팔뒤부위
후슬부(後膝部) back of knee → 무릎뒤부위
후족근(後足筋) back of ankle → 발목뒤부위
후주부(後?部) back of elbow → 팔꿉뒤부위
후하퇴부(後下腿部) back of leg → 종아리뒤부위
흉강(胸腔) thoracic cavity → 가슴안
흉골(胸骨) sterunum → 복장뼈
흉골병(胸骨棅) manubrium of sternum → 복장뼈자루
흉골체(胸骨體) body of sternum → 복장뼈몸통
흉곽(胸廓) thorax, chest → 가슴우리
흉부(胸部) chest → 가슴부위
흉쇄유돌근(胸鎖乳突筋) sternocleidomastoid muscle → 목빗근
흉쇄유양근부(胸鎖乳楊筋部) sternocleidomastoid region → 목빗근부위
흉추골(胸椎骨) thoracic vertebrae → 등뼈
- 1st tracheal cartilage → 첫째기관연골
- occipital tiangle → 뒤통수삼각
- web of hand → 손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