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해안의 다섯 절벽 마을 '친퀘테레' & photo by 우승술
🎶Everlasting Divine Poetry (영원하고 성스러운 시정) / Chamras Saewataporn
https://youtu.be/T82gRa-u7xk
음악편집:체칠리아
[오늘의 사건]
2000년 9월 29일
신문 시사만화 ‘고바우 영감’ 국내 최장기 연재 기록(1만 4139회) 세우고 연재 중단
고바우 탄생 50주년 기념우표.
김성환 화백이 2000년 9월 29일 ‘고바우 영감’ 신문 연재를 접었다.
그간 김화백이 ‘고바우 영 감’이란 타이틀로
연재한 횟수는 무려 1만 4139회. 신문 연재만화로는 경이로운 기록이었다.
‘고바우 영감’의 탄생은 1950년 11월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대구에서 발행되던 ‘만화 신보’에 연재를 한 것. 이후
동아일보, 조선일보, 문화일보 등 매체를 바꿔가면서 50년간 사랑을 받았다.
1932년생으로 경기 개성 출신인 김화백은 경복중 5학년 때
18세의 나이로 당시 연합신문에 ‘멍텅구리’를 연재, 본격 시사만화가로서의 첫 발을 내디뎠다.
대학시절에는 ‘꺼꾸리군 장다리군’을 ‘학원’ 잡지에 연재해 큰 인기를 얻으면서 명성을 얻었다.
‘고바우 영감’의 종합일간지 연재는 1955년 2월 동아일보에서 시작됐다.
1970년 3월 연재 5000회를 맞았고 1980년에는 조선일보로 자리를 옮긴 뒤 1987년 5월 1만 회를 기록했다.
1992년 조선일보에서 정년퇴직한 뒤에는 그해 9월부터 문화일보로 옮겨 연재를 계속해왔다.
김화백은 자유당 말기 경무대의 위세를 풍자한 경무대 똥통으로,
5·16 후에는 엿장수 마음을 그려 한동안 붓은 놓았던 적도 있었다.
[오늘의 인물]
1954년 9월 29일
영화인 윤백남 씨 사망
영화인 윤백남 씨.
우리나라 대중예술을 개척하고 보급시킨 영화인 윤백남 씨가 1954년 9월 29일 사망했다.
충남 논산 태생인 윤백남은 경성학당 중학부에 입학, 신(新) 학문에 눈뜨게 되자 일본 유학을 떠났다.
그는 와세다대학 정경과에 진학, 조선 황실에서 주는 관비 장학생으로 선발되었으나
“국비유학생은 정경 과목을 공부해서는 안 된다”는 일제의 방침으로
동경 고등 상업학교로 옮겨야 하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윤백남은 관심을 문학과 예술로 돌려 일본 현대문학을 섭렵하면서
신파극과 영화에 심취했다. 1912년 일본 유학생인 조중환과 극단
‘문수성’을 창단, 연극 활동을 시작했으며, 1922년에는
‘민중극단’을 설립해 신극운동을 전개하면서 희곡작가로도 역량을 발휘하였다.
그는 문학가로서도 두각을 보여 중국 고전 ‘수호지’를 번역하고,
역사소설 ‘대도전’을 집필하기도 했다.
활동사진이 보급되자 윤백남은 1923년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감독한 본격적인 극영화 ‘월하의 맹서’를 발표하는 등 영화계에 뛰어들었다.
주요 작품으로 영화 ‘운영전’ 소설 ‘흑두건’ 희곡 ‘운명’ ‘야화’ 등이 있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2건
ㆍ2015년 · 원로가수 남백송 별세
ㆍ2010년 · 할리우드 스타 토니 커티스 별세
ㆍ2009년 · 인도네시아 강진 피해
ㆍ2009년 · 개신교 원로 김준곤 목사 별세
ㆍ2002년 · 제14회 부산 아시안게임 개막
ㆍ2000년 · 신문 시사만화 ‘고바우 영감’ 국내 최장기 연재 기록(1만 4139회) 세우고 연재 중단
ㆍ1999년 · 세계육상 선수권대회 여자 마라톤에서 북한 정성옥 선수 금메달
ㆍ1997년 · 제41차 국제 원자력기구(IAEA) 총회 개막. `핵폐기물 이전` 안전협약 서명
ㆍ1990년 · 지역 의료보험에 의료비 지원제 도입
ㆍ1987년 · 국내전화 1천만 회선 돌파
ㆍ1984년 · 북한, 한국에 수재물자 제공
ㆍ1984년 · 올림픽 주경기장(서울 잠실) 개장
ㆍ1983년 · 서울, 인천 등에 하수도료 첫 부과하기로 발표
ㆍ1982년 · 제일은행 민영화
ㆍ1981년 · 농수산부, 5차 5개년 농수산부문 계획 발표
ㆍ1980년 · 제8차 개헌안(제5공화국 헌법) 공고
ㆍ1972년 · 일본-중국 국교정상화
ㆍ1970년 · 신민당 대통령 후보에 김대중 지명
ㆍ1970년 · 문공부, `사상계` 폐간
ㆍ1963년 · 제5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우승(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참가)
ㆍ1962년 · 정부, 인도네시아와 통상협정 조인
ㆍ1961년 · 프랑스-튜니지아, 프랑스군의 철수에 조인
ㆍ1956년 · 한국참전 16개국 휴전감시위원단 철수 결정
ㆍ1954년 · 영화인 윤백남 씨 사망
ㆍ1950년 · 시인 김영랑 사망
ㆍ1948년 · 미국-영국-프랑스 3국, 베를린 문제를 유엔에 정식 제의
ㆍ1948년 · 이승만 초대 대통령, '건국(建國) 대사면' 단행
ㆍ1943년 · 폴란드 노조 지도자 레흐 바웬사 출생
ㆍ1938년 · 뮌헨 회담, 주데텐란트 獨양도 합의
ㆍ1935년 · 조선육상경기협회, 제1회 전국 육상경기 선수권대회 개최
ㆍ1927년 · 네덜란드의 생리학자 에인트호벤 사망 - 심장의 전기적 성질을 발견한 공로로 1924년 노벨 의학상 수상
ㆍ1925년 · 프랑스의 정치가 부르주아 사망 - 국제연맹 결성 추진으로 1920년 노벨 평화상 수상
ㆍ1913년 · 디젤엔진 발명가 루돌프 디젤 사망
ㆍ1912년 · 발칸 동맹 성립
ㆍ1911년 · 트리폴리 전쟁
ㆍ1902년 · 프랑스 작가 에밀 졸라 사망
ㆍ1900년 · 전신-우편업무 관청 `통신원` 창설
ㆍ1890년 · 성공회 선교(조선 고종 27년)
ㆍ1868년 · 스페인 혁명으로 여왕 이사벨라, 프랑스로 망명
ㆍ1758년 · 넬슨 영국 해군 제독 출생
ㆍ1504년 · 갑자사화 발생
ㆍ1352년 · 고려, 조일신(趙日新) 난을 일으킴
[출처 : 조선닷컴]
첫댓글 우승술님의 이탈리아 해안의 다섯 절벽 마을 '친퀘테레'
세계적인 관광지 즐감 합니다
신문 시사만화 ‘고바우 영감’ 국내 최장기 연재 기록(1만 4139회) 세우고 연재 중단
참 열심히 보았는데 연제를 중단해서 참 섭섭했죠
영화인 윤백남 씨 사망 이름은 기억 나지 않지만
수호지를 번역하시고 대도전을 집필하신 책은 기억나네요
그 왜 많은 자료를 게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날씨가 참 좋습니다
아름다움을 즐기시는 하루 되십시오^^
이분은 그저 여행하시면서
가을 낭만 여한 없이 지내시는 분
늘 좋은 작품 저도 감사하면서 함께 한답니다
그러니요
고바우 저도 추억 합니다
9월의 하루 마무릴 잘 하십시다
도지현 시인 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