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암 환자, 왜 서울로 올라가나 봤더니...
“지역 병원들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가장 큰 이유
중증질환, 특히 암에 걸리면 숱한 환자들이 서울로, 서울로 몰려든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0년의 경우, 지역 암 환자 중 약 30% 이상이 서울에서 진료를 받았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전체로 넓히면 그 비율은 더 커진다.
이에 (사)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대표 김성주)는 그런 지방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도권 의료 이용 현황 및 만족도'를 최근 조사했다.
암 환자들 중에서 '비수도권'에 살지만 '수도권 병원'에서 '암 치료'를 받아온 '19세 이상' 성인 188명만 추려 물어본 것이다. 이들은 부울경(43명), 대구·경북(43명), 대전·충청(43명), 호남·제주(40명), 강원(19명)에 살았다.
이들이 먼 길을 오가며 암 치료를 받는 데 따른 고통은 컸다.
일단, 암 치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기간이 한 달이 넘었다. 보통은 4~8주(71명, 37.77%)나 됐고, 12주 이상 기다리는 경우(30명, 15.96%)도 많았다.
아예 집을 떠나 자녀·친척·지인 집에 임시 거주(68명, 36.17%)하거나 요양병원 등에서 지내며 통원하는 경우(40명, 21.28%), 호텔이나 원룸, 셰어하우스, 환자방을 전전하는 경우(29명, 15.43%)도 많았다.
한번 병원 갈 때 들이는 시간은 평균 3시간(194.49분)이 넘었다.
--------------------------------------------------------------------
현실이 그렇다라면,
지방에 있는 환자들은 특히 암진단비 등 암보장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빅5 병원에서 치료 받기 위해,
몸도 아픈데 친척집, 환자방, 요양병원, 모텔등을 돌아다녀야 하는데
이 모두가 '돈'이다~
건강보험과 실손보험에서 보장하지 않는 간접치료비이다~
지방 암 환자, 왜 서울로 올라가나 봤더니... (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