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i3486@daum.net
달라진 고향 땅. 그 옛날의 모습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전.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태어난 고향 땅이름을 '이름'으로 정한 여인
그의 남편은 땅이름 학자였다.
이 이름을 처음 접하는 이로부터 자주 듣는 말.
"사모님이 운영하시는 사업체 이름이신가요?"
경기도 용인 송전의 '솔마을'은 여인의 고향이었다.
-
용인 이동면 송전리(전)의 옛 땅이름
이동면(二東面)
본래 용인군의 지역으로서 상동면(上東面)이라 하여 원촌(院村), 천동(泉洞), 서동(西洞), 덕성(德成), 묵동(墨洞) 의 5개 동리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하동면(下東面)의 시미(時美), 모산(牟山), 요산(堯山), 묘봉(卯峯), 송전(松田), 어비(魚肥)의 6개 동리와남촌면(南村面)의 방목동(放木洞)을 병합하여 상동과 하동의 두 이름을 합하여 이동면이라 하여 천리, 서리, 덕성, 묵리, 시미, 화산, 묘봉, 송전, 어비의 9개 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용인읍과 원삼면, 남쪽은 양성면, 서쪽은 남사면과 화성군 동탄면, 북쪽은 용인읍과 기흥면에 닿음.
덕성리(德成里)[덕성골, 덕성동]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상동면의 지역으.
덕성골 또는 덕성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묵동 일부를병합하여 덕성리라 해서 이동면에 편입됨.
굴암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쇠재에서 묵리 굴암으로 넘어가는 고개.
금현(金峴) 마을 (쇠재)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쇠재.
긴배밋들 들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들. 긴 배미가 있음.
까치들 들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작은 들.
꽃골곡 고개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꽃골고개. (구억골>궉골>곡골>꽃골 유추)
남촌(南忖)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 남씨가 살았다 함.
담안뜸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마을.
덕성골(德成)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
덕성동(德成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
동막골(東幕) 골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골짜기.
부리봉[원봉] 산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산.
사미곡공동묘지 묘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새미골에 있는 공동 묘지.
사창(社倉.사챙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사챙이.
사챙이[사창, 신창]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남촌 북쪽에 있는 마을. 사창이 있었음.
삼배울(三拜)[삼파]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남촌 동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삼파(三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삼배울.
새미골 골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골짜기. 샘이 있었음.
새터말[신기]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골 동남쪽에 새로 된 마을.
섬바위 바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 논 가운데 있는 바위.
소나무골 골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골짜기. 소나무가 많았음.
솔밭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마을. 솔밭이 있음.
쇠재[금현]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새터말 동쪽에 있는 마을.
쇠재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쇠재 뒤에 있는 고개.
신기(新基)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새터말.
신창(新倉)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사챙이.
아랫사챙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사챙이의 아래쪽 마을.
안산(案山) 산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골 앞에 있는 산.
안쟁이 들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완쟁이고개 밑에 있는 들.
안터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골 안쪽에 있는 마을.
양달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양지바른 마을.
역마봉 산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산.
완쟁이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골에서 남사면 완장리로 넘어가는 고개.
원덕성리(元德成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의 원 마을.
원봉(元峯) 산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부리봉.
윗사챙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사챙이의 위쪽 마을.
응달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응달진 마을.
중들 들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마을.
진뭇 들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들. 긴 못이 있었음.
텃골 골 용인군 이동면 덕성리 덕성리에 있는 골짜기. 집터가 있었음.
묘봉리(卯峯里)[묘봉골, 묘봉동]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하동면의 지역으로서, 묘봉산(경기도 산천) 밑이 되므로 묘봉골 또는 묘봉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묘봉리라 하여 이동면에 편입됨.
갓모봉 산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산. 갈모처럼 생겼음.
굴용굴 들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들. 물이 흔함.
맹골 골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골짜기.
묘봉골(卯峯)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
묘봉동(卯峯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
묘봉리저수지(卯峯里貯水池) 저수지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저수지.
반월리(半月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서둑굴.
북실골짜기 골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골짜기.
상리(上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위묘봉.
새마을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오얏골 동쪽에 새로 된 마을.
서둑굴[반월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하리 옆에 있는 마을. 지형이 반달처럼 생겼음.
아랫묘봉[중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골 아래쪽의 마을.
안홍국묘(安弘國墓) 묘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충현공묘.
안홍국정문(安弘國旌門) 정문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충현공정문.
오얏골[왜골, 하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골 아래쪽에 있는 마을. 오얏나무가 있었음.
왜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오얏골.
위묘봉[상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골의 위쪽 마을.
은행정(銀杏亭) 골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오얏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은행나무 정자가 있었음.
자붕들 들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들.
중리(中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골 중앙에 있는 마을.
중리저수지(中里貯水池) 저수지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중리에 있는 저수지.
참새골 골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참새미.
참새미[참새골] 골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골짜기. 찬 샘이 있음.
충현공묘(忠顯公墓)[안홍국묘] 묘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에 있는 충현공 안 홍국(安弘國)의 무덤.
충현공정문(忠顯公旌門)[안홍국정문] 정문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묘봉리 845 번지에 있는 충현공 안홍국의 정문.
하리(下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묘봉리 오얏골.
묵리(墨里)[먹방이, 먹뱅이, 묵방동, 묵방, 묵동]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상동면의 지역으로서, 먹을 만들었으므로 먹방이, 먹뱅이 또는 묵방동, 묵방, 묵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한덕, 굴암, 장촌,거문정을 병합하여 묵리라 해서 이동면에 편입됨.
거문정(巨文亭)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장촌 동남쪽에 있는 마을.
고초동(枯草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장촌.
광파리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광파리골.
광파리골[광파리곡, 광팔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한덕골 동쪽에 있는 마을.
광팔곡(廣八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광파리골.
굴암(窟岩)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한덕골 남쪽에 있는 마을. 굴암산(경기도 용인군 산천) 밑이 됨.
먹방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묵리.
먹뱅이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묵리.
묵동(墨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묵리.
묵방(墨坊)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묵리.
묵방동(墨坊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묵리.
병목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장촌 동쪽에 있는 마을. 병목처럼 되었음.
염치(鹽峙)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염티.
염티[염치]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염티고개 끝에 있는 마을.
염티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묵리 먹방이 북쪽에 있는 고개. 용인읍 호리로 넘어감.
용굴(龍窟) 굴 용인군 이동면 묵리 굴암 동쪽 굴암산(경기도 용인군 산천)에 있는 굴. 용이 올라갔다 함.
용덕사(龍德寺) 절 용인군 이동면 묵리 굴암 동쪽 굴암산(경기도 용인군 산천) 밑에 있는 절. 신라말에 도선이 지었다 함.
용덕저수지(龍德貯水池) 저수지 용인군 이동면 묵리 먹방이 앞에 있는 저수지. 용덕사에서 내려오는 물로 됨.
장촌(長村)[고초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용덕사 동남쪽에 있는 마을. 장씨가 살았는데 뒤에 유씨가 살면서 일부러 고쳤다 함.
절붕산 산 용인군 이동면 묵리 장촌 북쪽에 있는 산.
한덕(閑德)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한덕골.
한덕골(閑德)[한덕] 마을 용인군 이동면 묵리 먹방이 동남쪽에 있는 마을.
서리(西里)[서린골, 서리골, 사리골, 반곡]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상동면의 지역으로서 골짜기가 서린 것 같이 되었으므로 서린골, 서리골, 사리골 또는 서리, 반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상덕골, 중덕골, 하덕골, 산반곡, 하반곡, 조이골, 새터, 사기 막골을 병합하여 서리라 해서 이동면에 편입됨.
가무랑골[현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새터 북쪽에 있는 마을. 부아악(경기도 용인군 산천) 밑이 되어 나무가 울창하여 늘 컴컴하다 함.
덕곡(德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덕골.
덕골[덕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골 북쪽에 있는 마을. 상, 중, 하 의 세 마을로 됨.
반곡(盤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
불당곡(佛堂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불당골.
불당골[불당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안산밑 남쪽에 있는 마을. 불당이 있었음.
사기막곡(砂器幕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사기막골.
사기막골(砂器幕)[사기막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중말 동쪽에 있는 마을. 사기점이 있었음. 1984년 11월 1930일에 호암미술관에서 백자 가마터 길이 9.7m, 높이 1,2m, 가마 속 높이 80의 계단식 가마를 발견하여 우리 나라 고려자기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됨.
사리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
사리치[상반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골 위쪽에 있는 마을.
사리치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사리치 서쪽에 있는 고개.
상덕곡(上德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하로개.
상반곡(上盤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사리치.
새터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하고개 서북쪽에 새로 된 마을.
서리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
서린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
석바탕이[하반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골 아래쪽에 있는 마을.
심부고개[심부현]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석바탕이에서 화성군 동탄면 신리 바른골로 넘어가는 고개.
심부현(深浮峴)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심부고개.
아흔아홉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에서 화성군 동탄면, 중리로 넘어가는 고개. 만의산, 원각산(경기도 산천)의 사이가 되는 데, 99굽이가 된다 함.
안산(案山) 산 용인군 이동면 서리 하덕골 앞에 있는 산.
안산동(案山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안산밑.
안산밑(案山)[안산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안산 밑에 있는 마을.
조이골[지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석바탕이 남쪽에 있는 마을. 종이를 만들었음.
중덕곡(中德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중말.
중덕골(中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중말.
중말[중덕골, 중덕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덕골 중앙에 있는 마을.
중방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서리에 있는 고개.
지곡(紙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조이골.
하고개1[상덕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덕골 위쪽에 있는 마을. 하고개 밑이 됨.
하고개2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학고개.
하덕곡(下德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하덕골.
하덕골[하덕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덕골 아래쪽에 있는 마을.
하반곡(下盤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석바탕이.
학고개[하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서리 덕골에서 용인읍 역북리로 넘어가는 고개.
현곡(玄谷)마을 용인군 이동면 서리 가무강골.
송전리(松田里)[솔밭, 송전, 갈미, 갈산]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하동면의 지역으로서, 전에는 소나무밭이었으므로 솔밭, 송전, 또는 갈모처럼 생긴 산이 있으므로 갈미, 갈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송전리라 하여 이동면에 편입됨.
갈매울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갈미 마을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
갈산 마을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
노닥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동막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배개울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부산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상부집거리 들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들. 상여집이 있음.
새가지 들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들.
솔밭 마을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
송전(松田) 마을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
송전이교(松田二橋) 다리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 동남쪽에 있는 둘째 다리.
송전일교(松田一橋) 다리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 동북쪽에 있는 첫째다리.
송전저수지(松田貯水池) 저수지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 동쪽에 있는 저수지.
수자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시악실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고개.
안어고개[안어현] 고개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에서 남사면 창리 다리골로 넘어가는 고개.
안어현(安魚峴) 고개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안어고개.
앞들 들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 앞에 있는 들.
앵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서 화산리로 넘어가는 고개.
오리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요산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골짜기.
작은부산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부산골의 작은 골짜기.
작은수자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수자골의 작은 골짜기.
절굴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안어고개 밑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조금시기 들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들.
중개들 들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들.
참샘 들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송전리에 있는 들. 찬 샘이 있었음.
큰부산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부산골의 큰 골짜기.
큰수자골 골 용인군 이동면 송전리 수자골의 큰 골짜기.
시미리(時美里)[시묘골, 시묘동, 시미골, 시미곡, 시미동]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하동면의 지역으로서, 연산 때 이효자가 시묘살았으므로 시묘골, 시묘동, 변하여 시미골, 시미곡, 시미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세때배기, 쌍괴정, 비룡동을 병합하여 시미리라 해서 이동면에 편입됨.
궉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마을.
남짐말[쌍괴정, 쌍괴]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골 남쪽에 있는 마을. 느티나무 정자가 쌍으로 있음.
독정이 들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들.
두더리 들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들.
밧갈래 들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들.
비냥이[비룡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쌍괴 서쪽에 있는 마을.
비룡동(飛龍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비냥이.
사당골(祠堂) 골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골짜기. 사당이 있었음.
상짓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마을.
선지당골 골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에 있는 골짜기.
세때배기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골 서쪽에 있는 마을. 솟대가 박혀 있었음.
시묘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
시묘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밀.
시미곡(時美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
시미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
시미동(時美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시미리.
쌍괴(雙愧)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남짐말.
쌍괴정(雙愧亭) 마을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남짐말.
안락동(安樂洞)[안악곡] 골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쌍괴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이 있었음.
안악곡 골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안락동.
안터 골 용인군 이동면 시미리 남짐말 안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이 있었음.
어비리(魚肥里)[어비울, 어비촌, 어비동]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하동면의 지역으로서, 어비울 또는 어비촌, 어비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장배 미, 점촌, 장서리와 남촌면의 방목동, 수역리를 병합하여 어비리라 해서 이동면에 편입됨.
곽기(郭基)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곽터.
곽터(郭)[곽기]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당머루 남쪽에 있는 마을. 곽씨가 살았음.
당머루(堂)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방목이 서남쪽에 있는 마을. 신당이 있었음.
더구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수에기 북쪽에 있는 마을.
방목리(放木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방목이.
방목이[방목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울 서쪽에 있는 마을.
북덕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진배미 서북쪽에 있는 마을.
비렁뱅잇들 들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리에 있는 들. 땅이 메말라서 농사 짓기가 힘듦.
수에기[수역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당머루 서북쪽에 있는 마을. 이동 저수지 바로 옆이 됨.
수역리(壽域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수에기.
수역방죽(壽域) 못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수역리 남동쪽에 있는 못.
아랫장서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장서리의 아랫마을.
어비동(魚肥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리.
어비리석탑(魚肥里石塔) 고적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리 산 31번지에 있는 3층 돌탑.
어비울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리.
어비촌(魚肥村)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리.
이동저수지(二東貯水池) 저수지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리에 있는 큰 저수지.
장뱅이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진배미.
장서리(長西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어비울 동쪽에 있는 마을.
장율(長栗)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진배미.
장율리(長栗里)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진배미.
점말(店)[점촌]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북덕말 서쪽에 있는 마을. 옹기점이 있었음.
점촌(店村)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점말.
진배미[장뱅이, 장율, 장율리] 마을 용인군 이동면 어비리 장서리 동북쪽에 있는 마을.
천리(泉里)[샘골, 생골, 천동]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상동면의 지역으로서, 찬 샘이 있으므로 샘골, 생골 또는 천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퉁적골, 구시울, 노루실을 병합하여 천리라 해서 이동면에 편입됨. 영조 때 유학자 도암(陶庵) 이재(李縡)가 살았음.
골생골 골 용인군 이동면 천리 생골 뒤에 있는 골짜기.
구수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구시울.
구시울[구수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샘골 서쪽에 있는 마을.
노곡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노루실.
노루실[장곡, 노곡, 섬말, 원촌]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샘골 북쪽에 있는 마을. 도암(陶庵) 이재(李縡)가 생장하였음. 한천 서원이 있었음.
노루실개울 내 용인군 이동면 천리 노루실에 있는 내.
도암산소[이재묘] 묘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에 있는 도암(陶庵) 이재(李縡)의 무덤.
매봉절 절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에 있는 절.
무네미고개[수유현] 고개 용인군 이동면 천리 용인읍 남리의 "무네미고개".
샘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
생골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
섬말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노루실.
수유현(水踰峴) 고개 용인군 이동면 천리 무네미고개.
원천(元泉)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의 원 마을.
원촌(院村)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노루실.
이도암신도비(李陶庵神道碑) 비 용인군 이동면 천리 도암산소 앞에 있는 신도비.
장곡(獐谷)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노루실.
적동(笛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퉁젓골.
천동(泉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
퉁젓골[적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천리 샘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 퉁점(놋점)이 있었음.
한천서원터(寒泉書院) 터 용인군 이동면 천리 노루실에 있는 서원 터. 정조 때 세워서 도암(陶庵) 이재(李縡)를 제사지냈는데, 고종 때 헐림.
화승총집 집 용인군 이동면 천리 천리 280번지에 있는 집. 임진왜란 때 의병 김명준이 쓰던 화승총을 집에 보관하였다는 전설이 있었으나 그곳을 알지 못하였다가, 1974년 4월에 새마을 운동으로 초가집을 기와로 고치기 위하여 지붕을 헐다가 발견되었는데,길이 130, 무게는 소총보다 무거우며, 문화공보부에서 보관함.
화산리(華山里)
용인군 이동면 본래 용인군 하동면의 지역인데, 1914년 모산동, 요산동을 병합하여 이곳에 있는 화산(경기도 용인군 산천)과 모산의 이름을 따서 화산리라 하여 이동면에 편입됨.
가래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가래나무가 많음.
고라니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고라니가 살았다 함.
구실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김칫들 들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보리미 앞에 있는 들.
느니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느니골 뒤에 있는 고개.
느니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담안 들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들.
뒤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모산동(모山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보리미.
무점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미미니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보리미[모산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보리가 잘 된다 함.
시궁굴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학산(경기도 용인군 산천) 밑에 있는 골짜기.
앞논 들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요산동 앞에 있는 들.
앵고개 고개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송전리의 "앵고개".
영상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왯들 들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와산리에 있는 들.
요산골[요산동] 마을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보리미 동쪽에 있는 마을. 요산(경기도 용인군 산천) 밑이 됨.
요산동(堯山洞) 마을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요산골.
용추(龍湫) 못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용추골방죽.
용추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용추가 있는 골짜기.
용추골방죽[용추] 못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요산골 북쪽에 있는 못.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 함.
응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이중굴 들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들.
이중굴저수지 못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이중굴에 있는 못.
절굴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절터골 골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골짜기. 절터가 있음.
탑들 들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들. 탑이 있었음.
화산목장(華山牧場) 목장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요산골 동북쪽에 있는 목장.
화산저수지(華山貯水池) 저수지 용인군 이동면 화산리 화산리에 있는 저수지.
남사면 창리
꽃골 [화곡.곶골] 【마을】→경기도 용인군 남사면 창리 꽃골[화곡.花谷] 【마을】
- 용인군 남사면 창리 ※ 구억골>궉골>곡골>곶골(꽃골)
----------------------------------------
구글 자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전) 경기도 용인군 이동면
<관할 리>
8.1. 송전리 松田里
이동읍사무소와 경기도 3대 저수지 중 하나인 이동저수지(과거 이름 송전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다. 나머지 2개는 기흥저수지와 고삼저수지이다.
원래 이동읍 중에서 가장 발전이 좋은 곳이었으나, 북쪽 천리를 중심으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발전이 더뎌지고 있는 곳이다. 사실 이 지역의 개발이 더딘 바람에 이동읍 인구가 크게 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되기도 하겠다.
8.2. 어비리 圄肥里
이동읍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해당 지역 가운데에 송전저수지가 크게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어비리의 남서쪽 일대와 북동쪽 일대는 안성시 난실리와 장서리를 거쳐야지만 이동할 수 있다. 이 지역을 다니는 버스 역시 그래서 안성시 지역을 거쳐야 한다.
북동쪽 지역에 용인시 공공 화장장인 용인평온의숲이 위치하고 있다.
8.3. 묘봉리 卯峯里
어비리와 송전리 사이에 위치한 동네다. 정확하게는 송전리 남동부와 안성시 양성면 북부와 이웃하고 있다.
주요 장소로는 맹골낚시공원, 중리저수지, 갈마봉(葛馬峰) 등이 있다.
8.4. 화산리 華山里
화산 CC가 위치하고 있다. 송전리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도입 논란 당시 국정원 직원이 자살한 곳이기도 하다.
8.5. 시미리 時美里
송전리와 덕성리 사이에 위치한 동네다. 바로 윗동네인 덕성리와 달리 큰 도로 주변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중간에 큰 공장들이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남사읍 창리와 주변의 송전리, 덕성리, 화산리에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8.6. 덕성리 德成里
사람들이 사는 동네는 남북대로를 기준으로 서쪽 송전천 건너의 덕성골과 동쪽으로는 삼배울 일대로 있다. 즉 큰 도로 주변에는 사람이 사는 동네는 없는 편이다.
한화그룹 내 계열사인 한화도시개발, 한화건설과 공동으로 추진중인 용인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홈페이지 8년간 표류하다가 2015년 12월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들어갔고, 2016년 2월 토지보상이 시작되었다.
2020년 현재는 도로망도 완비가 된 상황이고, 중간 중간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다. 향후 천리와 함께 이동읍 발전의 주축이 될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8.7. 묵리 墨里
신원CC가 위치하고 있으며, 각종 레저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문수산터널을 통해 원삼면 학일리와 직결된다.
또한 처인구 양지면과 더불어 천주교와 인연이 깊은 곳이다. 순교자도 많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주로 활동한 미리내 성지가 바로 이곳 묵리 옆동네인 안성시 양성면이다. 김대건 신부가 주로 사목했던 동네였으며, 그 영향으로 천주교 신자가 많은 동네이다.[3] 그래서 그런지 천주교 관련 시설도 꽤 있다. 시골동네임에도 영보성당이 있으며, 특이하게도 서울특별시립 영보자애원이 이쪽에 위치하고 있다.
8.8. 천리 泉里
이동읍 인구의 양대 축을 구성하는 동네. 구시가지의 배후동네로 주목받아서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초등학교가 2개나 위치하고 있으며, 천리 시가지는 송전 시가지를 누르고도 남을 정도로 발전되어 있다. 무려 4차로로 확장된 것만 봐도 발전된 동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송전 시가지는 2차로에 큰 건물도 없는 형편이다.
다만 이후 지역적 한계로 인해 한동안 개발이 정체되어 있었지만 남쪽으로 테크노벨리와 이동남사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동쪽으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들어설 예정이고 두 거대 산단이 하나로 연결 되는 곳이라 개발 여지가 커진 상태다. 또한 경강선 연장 (광주 삼동~ 용인 남사)이 2023년 6월 현재 사전 타당성 조사가 들어간 상태이며 서쪽 동탄으로 이어지는 국지도 84호선이 공사 진행중이다.
거기다 2023년 11월 16000세대 규모의 용인이동 신도시 개발지로 천리를 포함한 근처 일대를 결정함에 따라 앞으로 신도시의 중심지역으로 크게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8.9. 서리 西里
각종 공장과 캠핑장이 위치한 산골짜기 동네다. 도시와 인접하였지만 산에 둘러싸여 있어 조용하고 공기가 맑은 편이라 캠핑장이 유달리 많이 모여있다.
기존 이동읍의 중심지(천리, 송전리)와는 다소 멀리 떨어진 한적한 동네다. 남사와 역삼지구, 동탄일대를 잇는 배후지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지만, 동네 자체는 한적한 전원마을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실제로 이 지역에 위치한 상덕마을의 경우 행복마을만들기 같은 여러 마을 만들기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마을 주민들도 개발에 있어서는 거부하는 입장을 많이 표하고 있다.
이 동네에는 고려시대 백자를 생산하던 가마 유적지가 있는데, 2017년 문화재청에 의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