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툰 만평으로 보는 문화칼럼 [17] 문화평론가 최철주 한국 뉴스 만화평론 [168] 문화칼럼 한줄: 견강부회·牽强殕悔: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처럼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2023.12.05.) / 최철주 프리랜서 기자(Reporter Choi Chul-joo’s Cartoon Review)
문화디자인박사 최철주 한국 뉴스 만화평론의 라캉 디자인 방법론적 만화 문화평론 (blog.naver.com/c7manwha): Lacan's Design Methodological Criticism of Choi Chul-joo's Cartoon Review
- 시사평론가로서 최철주는 현대미술 팝아트 작품과 웹툰 만화 뉴스에서 한국 만화 뉴스를 그리는 만화 평론: 견강부회·牽强殕悔: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처럼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As a cartoon critic, Choi Chul-joo is a cartoonist who draws Korean cartoon news in contemporary art works and webtoons.
- 한국 화가, 개념미술가, 현대미술가, 추상화가, 미디어 아티스트, 팝 아티스트, 만화가 & 만화평론가 최철주 Conceptual artist, contemporary artist, abstract painter, media artist, pop artist, cartoonist & cartoon critic Choi Chul-joo cartoonist, pop artist, contemporary art work, pop artist who draws webtoon news, contemporary artist, concept artist, cartoon critic Choi Chul-joo.
- 카툰 디자이너 최철주 현대 만화 미술 역사화가 & 현대 개념 이미지 설치미술가 작품 Cartoon designer Choi Chul-joo, contemporary cartoon art historical painter & contemporary concept image installation artist's work
Louis Choi Chul-joo's cartoon criticism: 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만평/ 카툰 만평 뉴스 & 한국 뉴스 만화평론 Review of Korean News Cartoon [168] 견강부회·牽强殕悔: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처럼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2023.12.05.)/ 최철주 프리랜서 기자(Reporter Choi Chul-joo’s Cartoon Review)
카툰니스트 최철주 카툰 만평 한줄 [168]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처럼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 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 Les gens au pouvoir regrettent s'ils forcent une corruption déraisonnable.
--------------------------------------------------------------------------------
[덧붙이는 글 & 그림]
Contemporary Art Critic Choi Chul-joo's Review of Contemporary Art Works on Facebook and Instagram: Media Artist, Contemporary Artist, Pop Art Artist,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ist, Modern painter & Abstract Artist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욕망 개념 추상화 ■ 디자인 프로세스/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그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욕망 개념 ■ <최철주 나팔꽃>은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는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미술한다.
추상화 ■ 욕망 개념으로 미술한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에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병아리가 상상하는 닭으로 한 타자의 욕망은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배경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하여서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병아리가 상상하는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를 스크린으로 한 이미지를 보인다 * 욕망 개념 추상화 최철주미술이론
현대 추상화 작품: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추상의 의미가 각기 다른 이미지들을 다른 시점에서 그려서 한 화면에 집결시켜서 투시법에서 어긋나는 혁명적인 그림의 형식을 구성한 것이 라캉적 추상화 디자인 방식이다. 이것은 낭만주의 화가들이 그림을 그렸던 방식의 매너리즘을 거부한 새로운 시도다. 즉 낭만주의 회화에서 투사된 빛의 피사체의 자리를 존재의 자리로 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나팔꽃> 추상화로 근대미술과의 결별하면서 현대미술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한다. / 현대미술 <나팔꽃> 추상화 최철주해석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는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하나의 자리로서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재가 변화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그 실재의 형상을 맟춘다. 그 형상을 이룬 빛의 움직임에서 소리를 가려내는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의 개념 즉 오브제ɑ 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념: 최철주현대미술이론)
라캉적 개념 미술로 한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은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보는 관점에 따라 실재와 비실재에 대한 예술론적 담론이 이어지고 있다.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으며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오브제에서 실재를 찾는 방법은 라캉의 오브제ɑ와 유사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왜상적 이미지로서의 <나팔꽃> 추상화로 드러내는 것이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이미지로서 <나팔꽃> 전시 포스터 이미지다. 이것은 개념을 설치 미술로 추상화 한다.
개념미술 미술가 작품 : Louis hoi Chul-joo, morning glory poster 55,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 2022/ 라캉적 개념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추상 디자인
Cartoonist as a conceptual artist Choi Chul-joo, Jeongcho and Inwangsan Tiger, Marker on Paper, 2010 / 지난 2010년 (호랑이 해) 개최된 '三人成虎 (호랑이 CARTOON전)'에서 우리나라 1세대 만화가인 조관제, 조항리, 신문수, 김마정, 박수동, 윤성윤, 이정문, 강창욱, 서서영 만화가들과 함께 전시된 현대미술 카툰 작품임
실제적 <최철주 나팔꽃 P55> 형상과 응시적 형상에서 팝아트 개념만평 작품<Jeongcho and Inwangsan Tiger> 주제에 어울리는 피상(皮相)적 면으로 이미지가 음영되어서 표상한다.
여기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다. 그것은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의 물질로 감추어지고 사라진다. 그 대상의 작은 조각은 단색화 하여서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보인다. 그리고 또 다른 실재로서의 오브제ɑ가 어떻게 드러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 추상화에서 원근법적 시각체계로 보이는 이미지와 함께 얼룩 이미지 즉 원근법을 역전시킨 왜상적 이미지로 보인다.
추상 공간의 <최철주 나팔꽃 P55> 자리를 더 이상 포스터로 명시하지않고 라캉의 “해석의 네 방위(É=Jacques Marie Émile Lacan, Écrits, Seuil, 1977, 53)”에 적용한다면 상상계로서 이미지ⓐ ('utre)와 말(moi) a의 선과 상징계로서 해석A (utre)와 그림(Es) S의 선을 교차하는 대각선 위치에 둠으로써 회화 작품을 '해석의 네 방위(The quadruple)'로 해석한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거울이론을 통해 실재를 드러내는 것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상상계 이미지ⓐ와 동일시하게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자신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서 해석A (utre)된 추상화로 전이한다. 그 추상화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비실재로서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 즉 추상화 다. (ACN. 2022.10.14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대한 최철주 해석)
욕망개념미술 미술가 작품: Louis hoi Chul-joo, morning glory poster55-Jeongcho and Inwangsan Tiger,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 2022/ 라캉적 개념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추상 디자인
욕망 개념 미술로 한 <morning glory poster55-Jeongcho and Inwangsan Tiger> 는 전시 포스터 의미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로 전이한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 의미는 타자의 욕망<morning glory poster55-Jeongcho and Inwangsan Tiger> 를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 개념적으로 추상된 <최철주 나팔꽃>으로 디자인된다.
추상된 <최철주 나팔꽃>에 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는 형상을 디자인하여서 라캉의 오브제ɑ로서 추상적 오브제로서의 재현한다. 그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가 은폐된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자리를 만들어냄으로서 무의식에서 드러난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각각이 다른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가 추상된다.
이렇게 라캉적 개념미술로 추상된 오브제ɑ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개념적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로서 존재한다.
그 의미적 존재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최철주 나팔꽃> 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실제적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 형상과 응시적 형상에서 팝아트 작품<morning glory p33-4> 주제에 어울리는 피상(皮相)적 면으로 이미지가 음영되어서 표상한다.
여기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다. 그것은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의 물질로 감추어지고 사라진다.
그 대상의 작은 조각은 단색화 하여서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보인다. 그리고 또 다른 실재로서의 오브제ɑ가 어떻게 드러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 추상화에서 원근법적 시각체계로 보이는 이미지와 함께 얼룩 이미지 즉 원근법을 역전시킨 왜상적 이미지로 보인다.
추상 공간의 <최철주 나팔꽃 P55-3> 자리를 더 이상 포스터로 명시하지않고 라캉의 “해석의 네 방위(É=Jacques Marie Émile Lacan, Écrits, Seuil, 1977, 53)”에 적용한다면 상상계로서 이미지ⓐ ('utre)와 말(moi) a의 선과 상징계로서 해석A (utre)와 그림(Es) S의 선을 교차하는 대각선 위치에 둠으로써 회화 작품을 '해석의 네 방위(The quadruple)'로 해석한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거울이론을 통해 실재를 드러내는 것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상상계 이미지ⓐ와 동일시하게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자신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서 해석A (utre)된 추상화로 전이한다. 그 추상화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비실재로서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 즉 추상화 다. (ACN. 2022.10.14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대한 최철주 해석)
개념 미술로 한 <morning glory poster 55> 는 전시 포스터 의미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로 전이한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 의미는 타자의 욕망<morning glory poster 55-3> 을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 개념적으로 추상된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로 디자인된다.
추상된 <나팔꽃 윈도우>에 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는 형상을 디자인하여서 라캉의 오브제ɑ로서 추상적 오브제로서의 재현한다. 그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가 은폐된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자리를 만들어냄으로서 무의식에서 드러난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각각이 다른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가 추상된다.
이렇게 라캉적 개념미술로 추상된 오브제ɑ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개념적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로서 존재한다.
그 의미적 존재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 최철주 나팔꽃> 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라캉적 디자인방법론(Lacan's design methodology)으로 한 회화 디자인에 대한 라캉적 도슨트: 라캉적 디자이너, 디자인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디자인방법론: 현대미술 추상 한국화 작품으로서 <morning glory poster 55>에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으로 생성한 페인팅 <morning glory window p55-3>을 중첩한다. 그리고 언어적 은유 이미지를 연쇄하여서 라캉의 환유공식을 재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공간의 또 다른 자리에서 거울에 반사된 현상적 개념적 자리를 정하여 <morning glory window p55-3> 으로 추상화 한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의 포스터로 전이 하여서 라캉적 오브제를 실제화함에 따라 포스터가 아닌 실재의 비사실적 현대 추상화가 된다.
■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 <최철주 나팔꽃>은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는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미술한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 포스터 이미지에 의미가 미출현하는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병아리가 상상하는 닭으로 한 타자의 욕망은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배경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한다. 이것은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병아리가 상상하는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나팔꽃을 스크린으로 한 이미지를 보인다.(ACN ・ 2021. 12. 29. 0:01 라캉의 환상공식($◇ɑ)
Contemporary Art & Cartoon Abstraction artworks: Louis Choi Chul-joo, Choi Chul-joo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는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하나의 자리로서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재가 변화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소리가 멈춘 그 실재의 형상을 맟춘다. 그 형상을 이룬 이제의 빛과 타자의 욕망하는 움직임에서의 또 다른 소리를 동일시하는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의 개념 즉 오브제ɑ 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념: 최철주현대미술이론 / ACN ・ 2023. 6. 19. 23:08 )
형상의 환유는 기표이미지와 기표이미지의 구조를 연결하여서 반복하여 적용한 왜상적 이미지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은 추상적 표상 이미지 오브제를 재현하는 음영적 도식으로 한 시각체계를 은폐하고 있으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가역적 빛의 음영에서 드러난 사실적 형상을 순간적인 응시로서 보이는 추상화 오브제ɑ다.
추상화로서 오브제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은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라캉적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생성하여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에서 드러낸 사실적 이미지가 순간적 왜곡된 타자의 욕망적 이미지를 의미적 구조으로 비실재의 사실적 추상화의 개념 예술성을 드러낸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이성적 회화성에서 시간성에 따른 왜상적 배경을 타자의 욕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나팔꽃 형상의 틀을 객관적 실재와 표상적 개념미술과는 차이가 있다. 그 오브제는 상징계에서 전이된 실재에서 분리된 오브제ɑ를 실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징계 실재에서 환상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고 그 오브제ɑ가 순간적 창조성과 자율적 추상성으로 한 예술적 의미를 담는다.
따라서 라캉적 개념으로 한 환상적인 사실적 회화다. 그러나 추상성으로 한 라캉의 상상계에서의 실체적 형상인 기표로서 예술적 형상의 실체는 사라지고 결과로서의 존재적 상징의 기의로 한 비실재적 형상으로 환유적 추상으로 고착된다.
이것은 순간적 형상으로 보이는 현상적 추상을 본뜬 추상화다. 그 추상화에서 현상적 이미지가 은유성을 띠지만 그것이 비실재적 이미지라고 가정할 때 실재는 상사적으로 실재를 재현한 현상적 이미지에서 존재한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2022 뉴욕 전시 포스터55는 상징계의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인 실재로서 삶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그 표현하려는 오브제를 보이지 않고 은폐로서의 인간의 실제적 의미를 <morning glory poster55>와 <Jeongcho and Inwangsan Tiger>에 비유한다. 즉 "인왕산도 모르는--- 호랑이가 있나!" 말풍선을 통해서 보이지 않는 은폐로서 정초(定礎)는 대상에서 기초가 정해진 존재이며 그 존재를 대신하는 인왕산 호랑이가 사물의 가치를 모르고 있음을 상징하는 의미를 추상하는 표상을 사실적으로 추상한다.
이것은 상상계에서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타자를 동일한 주체로서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타자의 의미를 형성한다. 여기서 형성된 의미는 거울 앞에 선 유아가 본 것으로서의 유아적 상상은 모성애의 영역에서 누릴 수 있는 상상의 세계다. 유아는 보이는 오브제와의 관계를 생모와의 공생적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는 거울에 비친 오브제를 봄으로써 실재의 오브제의 상과 유아로서 만족하는 이미지로서의 오브제다.
이러한 상상계는 유아가 만족하는 이미지로서 은유되어진 정초가 거울에 비친 실재의 상에서 은유로서의 실재의 이미지가 거울에 비친 실재의 호랑이 상 일수도 또 다른 의미의 인왕산 호랑이 상 일수도 있다. 이것은 마르리트(René Magritte, 1898~1967)의 그림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처럼 파이프의 이미지를 제시하고 파이프가 아니다. 라고 한 것은 파이프의 실재를 재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그림으로 실재를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림에서 파이프 그림과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이미지와 문장은 전체의 그림이다.
따라서 상징계 영역속에서 타자의 욕망으로 분리된 실재의 영역인 실재의 상<Jeongcho and Inwangsan Tiger>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그 표현하려는 오브제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드러낸 실제적 의미를 인왕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호랑이 속담에 비유하여서 그 의미와 비유하는 정초를 사실적 표상으로 개념 추상 화한다.
여기서 현상적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순간적으로 라캉적 개념과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그 실재로서의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비실재로서의 라캉적 개념 추상화와의 어긋난 만남이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를 재현하는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는 은폐하고 있으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응시로서의 오브제는 순간적으로 드러낸다.
회화로서 오브제ɑ가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라캉적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존재로서 오브제ɑ를 생성하여 의미적 구조의 예술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자율적 예술성은 전체가 비실재로서의 가상적 이미지를 드러내면서 회화가 가지는 공간의 영역과 매너리즘적 형식을 소거시킨다.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오브제ɑ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의미를 회화에 담고 있다.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인 <나팔꽃 윈도우>는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윈도우 속에 보이면서 형상의 실재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에 가려지는 추상적 풍경 형상의 의미를 말한다.
상상계에서 시작한 형상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상을 보고 만족하는 것처럼 실재화한 경험과 관계없이 상상적 인식에서 비롯된다. 서로 다른 형태로써 각각의 기표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상상적 인식으로 인한 오인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오인은 서로 다른 기표 간에 유사성을 통해서만 즉 사실적 형태로서 상상계의 보이는 은유가 가능한 것임을 말해준다. 사실적 형상의 기표가 갖고 있는 각각의 형태는 기표의 차이성에 따라 동일화 과정에서 유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통제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나팔꽃>은 모방적인 방식 안에서 사실적 형상 기표의 차이성을 연쇄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추상한다.
그리고 추상적 구조로서 양감과 가역적 빛의 그림자를 소거함으로써 물리적 구조를 명확하여서 욕망의 형상을 재현과 인식되어 있는 실재를 총합화하여서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함으로써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으로 의미화되고, 하나의 자리로서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재가 변화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그 실재의 형상을 이룬 빛의 움직임에서 소리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처럼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를 추상한다.
Webtoon News Cartoonist Choi Chuljoo's One-Sentence Cartoon Review &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Pop Art Abstract Painting design
Cartoon designer Choi Chul-joo, contemporary conceptual art pop art work & Webtoon design historical painter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 that exists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eview images, abstract painting is drawn through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that interprets others abstract desires into images. In other words,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desire is a momentary encounter with the concept of desire in a straight form of non-realistic image generated by reversible light.
The image of non-realism, which emerged as the concept of desire, is a distorted form of similar factual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place and shape of the real form are not the same.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Choi Chul-joo'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When desire arises, you observe through the window and lie as an opportunity to covet.: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covered by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shape,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the realistic shap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is a linguistic abstraction of the same meaning.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cultural background is linguistic abstraction. The abstract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subsequent reality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desire of others in a momentary event.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55-3-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covered by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shape,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the realistic shap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is a linguistic abstraction of the same meaning.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cultural background is linguistic abstraction. The abstract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subsequent reality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desire of others in a momentary event.
Desire Design Methodology in Abstract Art Theory on Painting Design,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Design Methodology: <morning glory> As an Abstract Korean painting of Modern Art, Desire Formula <D(I...I')d=I(D...D'i)i> is applied to overlap the painting <morning glory> created by reversible light. In addition, by re-applying the desire formula by linking verbal metaphor images, a phenomenal conceptual place is set in another place in one space as a shade of reversible light and abstracted.
This translates to the first non-realistic abstraction poster at Louis Choi Chul-joo's 2022 New York Exhibition to actualize the Desire Object. The image <morning glory> becomes a non-real abstraction of reality.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covered by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shape,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the realistic shap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is a linguistic abstraction of the same meaning.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cultural background is linguistic abstraction. The abstract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subsequent reality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desire of others in a momentary event.
■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Formul: The image of desire, which applies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 to 'morning glory', connects the concept of desire with the background of 'morning glory ' as an image to create a landscape by floating morning glory in the sky. In addition, in <morning glory>, the desire formula "D(I...I')d=I(D...D')i" is substituted, the connection effect between the concept of desire and the "morning glory" as desire image shades the concept of desire in the reversible shadow structure by setting the object as the concept of desire image of women by the "morning glory". In other words, the image of desire (I) is the structure of desire (D) because desire (D) is repeated (I...I') in several images (D...D'), and the image of art behavior or desire image(I) appears as the concept of desire(i)
Cartoon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s present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eview images, the abstraction is drawn through a reversible shade of light that interprets another person's abstract desire as a cartoon review image as an image.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bamboo forest-114-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covered by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shape,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the realistic shap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is a linguistic abstraction of the same meaning.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cultural background is linguistic abstraction. The abstract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subsequent reality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desire of others in a momentary event.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In front of the bamboo forest-114-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Desire Design Methodology in Abstract Art Theory on Painting Design,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Design Methodology: <morning glory> As an Abstract Korean painting of Modern Art, Desire Formula <D(I...I')d=I(D...D'i)i> is applied to overlap the painting <People in power regret if they force unreasonable corruption> created by reversible light. In addition, by re-applying the desire formula by linking verbal metaphor images, a phenomenal conceptual place is set in another place in one space as a shade of reversible light and abstracted.
By repeatedly sketching design and applying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conceptual image of desire, it instantly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the meaning of abstract desire by realizing realistic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at that moment. / The abstract meaning of the shape in which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desire shape is hidden by the reversible movement of light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it is verbal abstraction with the same meaning as a realistic form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or performance scene. Choi Chul-joo's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the background of cultural abstraction is the linguistic abstraction of images. The abstraction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reality after the meaning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abstract desire of others in momentary events and performance scenes.
-------------------------------------------------------------------------------------
Background image of an artist's artwork: Louis Chul-joo Choi, the bamboo forest 11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Background image of an artist's artwork: Louis Chul-joo Choi, In front of the bamboo forest b11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Background image of an artist's artwork: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p55,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Background image of an artist's realistic Abstraction: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p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카툰 만평/ 시사 평론가 & 카툰니스트 최철주 카툰 만평 뉴스: 한국 뉴스 만화평론 Review of Korean News Cartoon [168] 견강부회·牽强殕悔: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처럼 권력자가 이치에 맞지 않는 부패를 억지로 끌어붙이면 후회한다. (2023.12.05.)/ 시사만평가 & 카툰니스트 최철주 시사만화평론, 팝아트만화뉴스, 만화평론, 개념만화평론 Comics critic & cartoonist Choi Chul-joo, current affairs cartoon review, pop art cartoon news, cartoon review, and conceptual cartoon review. 시사 평론가 최철주는 뉴스부산 인터넷신문 문화기자했고, 그는 현대 미술 작품과 웹툰에서 시사 만평 뉴스와 추상화를 그리는 문화평론과 디자인평론가인 추상 화가입니다. Choi Chul-joo, a current affairs critic, was a reporter at the Ministry of Culture of the News Busan Internet Newspaper. He is a cultural design critic and abstract artist who paints Current affairs cartoon cartoons News and abstract paintings in contemporary art works and webtoons. ■ 카툰니스트 최철주 카툰 만평 한줄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시사 평론가 최철주가 새로운 한자 구성(단어+단어)으로 한 사자성어의 제목으로서 의미를 재해석한 만평을 한줄 문장으로 칼럼하여서 게재함. ▶殕(부): 부패하다. ▶悔(회): 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