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메노스심리치료 블로그
"변용적 과정은 최상의 인간 잠재력(Vaughan, 1982)을 추구하는 심리학적인 자기실현(Maslow, 1943, 1958)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목표를 향해
ㅔ목적 지향적으로 진화 중인 살아 있는 과정(Neville, 2007)으로서 세계를 이해하려는 철학과 우주론을 환기시키는 용어이다."
"심리학에서 이러한 종류의 변용적 과정은
개성화(Jung, 1939, 1969)
정신통합(Assagioli, 1965)
형성 경향성(Rogers, 1978, 1980)
실현 경향성(Rogers, 1963b)
오토포이에시스(Maturana & Varela, 1978, 1980)
홀로트로픽(Grof, 1998, 2003)
의식의 진화( Combs, 1995; Wilber, 1979)등의
용어로 불렸다."
"Rogers(1978)는 형성 경향성을 개인도 함께 참여하고 있는 우주의 특성이라고 가정했다.
Maturana와 Varela(1980)는 오토포이에시스를 모든 살아 있는 시스템의 특징이라고 가정했다.
Wilber(1979)와 Combs(1995)는 의식의 개인적 진화 과정이 우주를 추동하는 충동의 소우주적 반영이라고 이해했다."
"변용적 과정은 자아 너머의 심리학으로서 자아초월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자아 너머 현상의 중요성을 높이는 핵심적 맥락을 제공한다."
"자아초월심리학은 통합적/ 전체론적 심리학으로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인간의 마음은 몸과 공동체
그리고 세계라는 천들이 서로 얽혀서 짜여진 것이라고 이해하기 때문이다.
이 네 가지 모두는 변용적 과정의 모체내에서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
"Berry(1996)는
"우주는 객체들의 집합이라기보다는
주체들의 교감이다"라고 말했다.
마음과 자연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Bateson, 1979),
서로 다른 측면들이 얽혀 있는 자기조직화 과정이며
각각은 다른 것 안에 내포되어 있다.
(Gendlin, 1997)
마음이 상호 연결된 과정의 모체로서의
실재의 맥락 안에 있다고 보기 때문에
전체론적인 접근은
자아초월심리학의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실재는 변용적인 과정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자아초월심리학은 동양적, 서양적, 토착적,
신비적, 과학적 통찰을 넓고 포괄적이며
효과적인 인간심리학으로 통합하려고 애쓰면서
세계의 위대한 영적 전통들과의 관계 안에서
자신을 이해한다."
"세계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진화하고 있는 전체라면,
개인은 그러한 과정 속에 있는
권능을 부여받은 행위자이다.
개인은 자비, 분별력, 차이의 인정과 같은
상위의 인간 가치와 열망에 따라서
개인적, 대인관계적, 사회적 변화를
주의깊게 조성해 내려고 노력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 Grof(2003)는 자신이 홀로트로픽 상태라고 부른
치유와 개인적 변용을 증진시키는
비일상적인 상태를 확인해 왔다.
그러한 상태는 서양과 비서양 문화 모두에게
문헌으로 기록되어 온 수행(Hunt, 2010)과
유사한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인간 사회를 더 큰 진화적 힘과
제휴시키는데(Grof, 2000) 도움이 될 수 있다.
홀로트로픽 상태는 다양한 문화와 전통에서 알려진
영적인 또는 신비적인 상태와
동일시되어 왔고,
직관, 초감각적 지각, 창조적 영감의 배양,
타인, 자연 그리고
인간 존재 이상의 것들과 교감하는 경험,
때로는 통찰이나
심리 정서적 치유와 결부되어 있다.
홀로트로픽 상태의 역동은
자기-확장의 특징을 띤다.
즉 자기가 더 큰 확장된 실재와
동일시함에 따라 자아는 약화된다.
(Friedman, 1981, 1983)"
"홀로트로픽 상태는 변용적 과정의 표지로
쓰일 수 있는 본보기이다.
그 상태는 Tart(1975, 2008)가 제안한 것처럼,
일상적인 마음의 상태에서는 불가능한
가치 있고, 상태 특정적인 지식을 생성해 낼 수 있는
변성 의식 상태와 비교할 만하다."
<참고도서 : 자아초월심리학 핸드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