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딧불 견(蚈)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평평할 견(幵)자를 했습니다. 평평할 견(幵)자는 방패 간(干)자를 두 개 나란히 배열(配列)했습니다. 방패는 평평한 두구입니다.
+ = 蚈
지렁이 곡(蛐)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굽을 곡(曲)자를 했습니다. 굽을 곡(曲)자는 농작물을 수확해서 그릇에 가득 담아 놓은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풍성할 풍(豊)자에 있는 굽을 곡(曲)자와 같은 뜻의 글자입니다. 풍성할 풍(豐)자는 풍성할 풍(豊)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입 벌릴 감(凵)자를 가운데를 막아서 두 칸을 만들고 예쁠 봉(丰)자를 좌우(左右)에 두 개 한 글자가 바로 풍성할 풍(豐)자이 윗부분입니다. 바로 농사를 지어 수확이 많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굽을 곡(曲)자는 구부러지다의 듯으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 = 蛐
꽃게 모(蛑)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소 우는 소리 모(牟)자를 했습니다. 소우는 소리 모(牟)자는 소 우(牛)자 머리에 사사 사(厶)자를 해서 소의 울음소리를 표시했습니다. 여기서 사사 사(厶)자는 소리가 나오는 모양 또는 나팔 같은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蛑 + = 蛑
거머리 격(蛒)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각각 각(各)자를 했습니다. 각각 각(各)자는 발을 표시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사람마다 가는 곳이나 행동과 말은 각각 다 다르다는 뜻입니다. 바로잡을 격(格), 칠 격(挌), 이를 격(臵), 뿔 격(觡), 횃대 격(楁)자들은 각각 각(各)자가 들어 있어서 ‘격’으로 읽습니다.
+ = 蛒
쐐기 자(蛓)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𢦏’를 했습니다. 고깃점 자(胾)자도 ‘𢦏’자가 들어 있어서 ‘자’로 읽습니다.
蛓
회충 회(蛔)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돌 회(回)자를 했습니다. 회충 회(蛕)자는 회충 회(蛔)자와 동자(同字)입니다. 돌 회(回)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작은 입 구(口)자를 해서 빙빙 도는 회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蛔
거위 회(蛕)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에 성부(聲符)로 있을 유(有)자를 했습니다. 있을 유(有)자는 왼손 좌(屮)자 아래에 육 달 월(月,肉)자를 해서 고기가 있음을 표시했습니다. 고기가 있다는 말은 먹을 것이 있다는 뜻입니다. 뇌물 회(賄)자도 있을 유(有)자가 들어 있어서 ‘회’로 읽습니다.
蛕
메뚜기 부(蛗)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언덕 부(阜)자를 했습니다. 언덕 부(阜)자는 언덕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蛗
근질근질할 양(蛘)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양 양(羊)자를 했습니다. 양 양(羊)자는 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蛘
개구리 와(蛙)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홀 규(圭)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홀 규(圭)자는 흙 토(土)자를 두 개 상하(上下)로 배열했습니다. 개구리는 흙 속에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입니다. 웅덩이 와(洼)자도 홀 규(圭)가 들어 있어서 ‘와’로 읽습니다.
+ = 蛙
귀두라미 렬(蛚)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줄 렬(列)자를 했습니다. 줄 렬(列)자는 줄을 선다는 뜻의 줄 렬(列)자도 되지만 주고받는다는 뜻을 가진 줄 렬(列)자도 됩니다. 이런 글자들을 보면 우리말과 한자가 표현 방식이 아주 똑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자는 우리 민족이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여기서 줄 렬(列)자는 병이 들어 줄줄이 죽어간다는 뜻도 되고, 점염성이 강하여 병을 저절로 주고받는다는 뜻도 됩니다. 줄 렬(列)자는 죽는다는 뜻이 있는 부서진 뼈 알(歹)자에 칼 도(刀,刂)자를 해서 모두 죽는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蛚
거미 주(蛛)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붉을 주(朱)자를 했습니다. 붉을 주(朱)자는 나무 목(木)자에 ‘𠂉’자를 했습니다. 나무에서 새 순이 나올 때 붉은 색을 띠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또는 나무의 속이 대개 붉은 색을 띤다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蛛
쥐며느리 이(蛜)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저 이(伊)자를 했습니다. 저 이(伊)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다스릴 윤(尹)자를 했습니다. ‘저’라는 말이 내가 아닌 제 3자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나를 다스리는 사람이 바로 저 사람입니다. 다스릴 윤(尹)자는 손에 막대기를 들고 있는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막대기로 때리면서 통제하고 다스린다는 말이지요. 막대기는 벌을 주는 도구입니다. 다스린다는 것은 규칙을 정하고 규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을 제재하는 것입니다.
+ = 蛜
왕개미 알 한(蛝)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어긋날 간(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는 밥을 앞에 놓고 얼굴을 돌려 외면한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좋을 량(良)자는 얼굴을 돌려 외면한 글자(艮)에 점 주(丶)자를 해서 반대 개념의 글자를 만들었습니다. 얼굴을 돌린 모양이 아니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좋아한다는 뜻을 표시한 것입니다. 한계 한(限), 한할 한(恨), 개 싸우는 소리 한(狠), 왕개미 알 한(蛝)자들은 어긋날 간(艮)자가 들어 있어서 ‘한’으로 읽습니다.
+ = 蛝
땅강아지 활(蛞)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혀 설(舌)자를 했습니다. 혀 설(舌)자는 입에서 내미는 혀의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입에서 내민 그것이라는 표시를 한 일(一)자로 했다고 해서 지사(指事) 글자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또 입에서 내미는 혀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로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어찌 되었든 입안의 혀를 나타낸 글자임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얼음 활(㓉), 교활할 활(姡), 트일 활(闊), 근고할 활(濶), 올챙이 활(蛞), 부들자리 활(趏)자들은 혀 설(舌)자가 들어 있어서 ‘활’로 읽습니다.
+ = 蛞
교룡 교(蛟)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사귈 교(交)자를 했습니다. 사귈 교(交)자는 집을 뜻하는 돼지 해(亠)자 아래에 서로 사귐을 나타내는 효 효(爻)자를 했습니다. 다섯 오(㐅)자는 셈대를 엇갈리게 놓은 모양으로 서로 관계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蛟
큰 조개 려(蛠)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힘 합할 협(劦)자를 했습니다. 힘 합할 협(劦)자는 힘 력(力)자를 세 개 했습니다. 타래 붓꽃 려(荔), 칼 치장 려(珕)자도 힘합할 협(劦)자가 들어 있어서 ‘려’로 읽습니다.
+ = 蛠
벌레 길 익(蛡)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깃 우(羽)자를 했습니다. 깃 우(羽)자는 새의 깃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날개 익(翼), 도울 익(翊), 다음날 익(翌)자들은 깃 우(羽)자가 들어 있어서 ‘익’으로 읽습니다.
+ = 蛡
풍뎅이 병(蛢)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어우를 병(并)자를 했습니다. 어우를 병(并)자는 어우를 병(幷)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어우를 병(幷,并)자는 사람 두 명의 발을 묶어놓은 그림입니다. 사람 둘이 어우러져 있다는 뜻입니다. 어우를 병(并)자는 어우를 병(幷)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蛢
장구벌레 길(蛣)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길할 길(吉)자를 했습니다. 길할 길(吉)자는 선비 사(士)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선비의 말이 길한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또 옛 글자를 보면 나무를 그린 글자 같기도 합니다. 나무를 심고 잘 가꾸는 일도 또한 길한 일이겠지요.
蛣
대합조개 합(蛤)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합할 합(合)자를 했습니다. 합할 합(合)자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먹는 것 앞에는 모두 모이게 되고 마음이 한가지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蛣
곤충이름 설(蛥)자는 벌레 충(虫)자 변에 많을 다(多)자를 했습니다. 많을 다(多)자는 저녁 석(夕)자를 두 개 배열한 글자가 아니라, 고기 육(肉)자를 두 개 배열한 글자입니다. 먹을 것이 많다는 뜻입니다.
+ = 蛥
가을 매미 이(蛦)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오랑캐 이(夷)자를 했습니다. 오랑캐 이(夷)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에 활 궁(弓)자를 합하여 활을 메고 있는 사람을 그렸습니다. 중화(中華) 사상으로 보면 중국 한 가운데 사는 한족(漢族)만 백성이고 주변 소수 민족들은 모두 오랑캐라고 했습니다. 중국 동쪽에 우리나라가 살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려서부터 활을 메고 다니며, 활을 잘 쏘았다고 해서 우리 민족의 특성을 잡아서 동쪽 오랑캐는 이(夷)라고 표시했다고 합니다. 지금도 올림픽에서 양궁하면 우리나라임을 보면 참으로 우리 민족은 활을 잘 쏘는 민족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蛦
도깨비 망(蛧)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그물 망(网)자를 했습니다. 구물 망(网)자는 그물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蛧
벌레 이름 맥(蛨)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에 성부(聲符)로 일백 백(百)자를 했습니다. 일백 백(百)자는 의부(義符)로 한 일(一)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흰 백(白)자를 했습니다. 북방 종족 맥(貊), 두렁 맥(陌)자는 일백 백(百)자가 들어 있어서 ‘맥’으로 읽습니다.
+ = 蛨
메뚜기 공(蛩)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알 공(巩)자를 했습니다. 알 공(巩)자는 성부(聲符)로 장인 공(工)자에 의부(義符)로 빨리 날 신(卂)자를 했습니다. 빨리 날 신(卂)자는 새의 깃털을 그린 글자입니다. 빨리 날면 보는 게 많아 자연히 아는 것도 많을 것입니다.
蛩
파리 결(蛪)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교묘히 새길 갈(㓞)자를 했습니다. 교묘히 새길 갈(㓞)자는 예쁠 봉(丰)자에 칼 도(刀)자를 해서 칼로 교묘히 새긴 것을 나타냈습니다. 깨끗할 결(潔), 맑은 물 결(洯), 새길 결(䤿)자들은 교묘히 새길 갈(㓞)자가 들어 있어서 ‘결’로 읽습니다.
+ = 蛪
곤충 이름 궤(蛫)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에 성부(聲符)로 위태할 위(危)자를 했습니다. 위태할 위(危)자는 우러러볼 첨(厃)자에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우러러볼 첨(厃)자는 낭떠러지 끝에 나앉은 모양이고 병부 절(㔾)자도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입니다. 낭떠러지 끝에 위태로운 상태로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속일 궤(詭), 의지할 궤(佹), 허물어질 궤(垝), 자늑자늑 걷는 모양 궤(姽), 헐어버릴 궤(㧪), 제천 사당 궤(祪), 양각 어긋날 궤(觤), 꿇어앉을 궤(跪)자들은 위태로울 위(危)자가 들어 있어서 ‘궤’로 읽습니다.
蛫
귀뚜라미 공(蛬)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함께 공(共)자를 했습니다. 함께 공(共)자는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 = 蛬
거머리 질(蛭)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이를 지(至)자를 했습니다. 이를 지(至)자는 새가 땅으로 내려오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새가 땅에 이르렀다는 뜻입니다. 조카 질(姪), 차꼬 질(桎), 거머리 질(蛭), 어리석을 질(侄), 막을 질(厔), 깨물 질(咥), 깨물 질(㗌), 개밋둑 질(垤), 높을 질(峌), 클 질(晊), 물 질(洷), 벼 이삭 질(秷), 상복 입을 때 매는 끈 질(絰), 고을 이름 질(郅), 낫 질(銍)자들은 이를 지(至)자가 들어 있어서 ‘질’로 읽습니다.
蛭
오랑캐 만(蛮,蠻)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어지러울 련(䜌)자를 했습니다. 어지러울 만(䜌)자는 실이 엉키고, 말이 꼬인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참으로 사람을 어지럽게 만듭니다. 물굽이 만(灣), 어리석은 사람의 눈빛 한(䂅), 굽을 만(彎), 볼 만(矕)자들은 어지러울 련(䜌)자가 들어 있어서 ‘만’으로 읽습니다.
蠻
새우 로(蛯)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에 성부(聲符)로 늙은이 로(老)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로(老)자는 늙은이의 털이 긴 것을 그린, 늙은이의 특징을 잘 나타낸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蛯
숨을 칩(蛰,蟄)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잡을 집(执)자를 했습니다. 잡을 집(执)자는 잡는 다는 뜻으로 손 수(手,扌)자 변에 잡는 대상을 표시한 둥글 환(丸)자를 했습니다. 잡을 집(执)자는 잡을 집(執)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잡을 집(執)자는 죄인을 잡아 도망가지 못하도록 차꼬를 채운 모양을 한 다행 행(幸)자에 둥글 환(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 환(丸)자는 둥글다는 뜻이 아니라, 물건이나 사람을 잡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숨을 칩(蛰zhé)자는 숨을 칩(蟄)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땀날 칩(漐)자도 잡을 집(執)자가 들어 있어서 ‘칩’으로 읽습니다.
蟄
나비 협(蛱,蛺)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낄 협(夾)자를 했습니다. 낄 협(夾)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큰 대(大)자의 옆구리 양편에 사람(人)자를 하나씩 양 옆에 끼고 있는 표시입니다. 낄 협(夾)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나비 협(蛱)자는 나비 협(蛺)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蛺
요충 요(蛲,蟯)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요임금 요(堯)자를 했습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흙 토(土)자 3 개에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별로 높지 않은 자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요임금의 겸손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잘 표시한 글자입니다. 예수님의 정신으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백성들을 섬기는 정신과 자세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정신은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황금률입니다. 지금 사람들은 지도자 되기는 좋아하면서 겸손한 마음은 없습니다. 지도자가 되었다가 쫓겨나거나 창피를 당하게 되어 지도자가 아니 된 것만 못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순리입니다. 요충 요(蛲)자는 요충 요(蟯)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요임금 요(堯)자를 시로 읊은 고려(高麗)의 김부식(金富軾)이 있습니다. 그의 시를 보면,
堯階三尺卑(요계삼척비) 요임금 계단은 석 자 밖에 안 되지만
千載餘其德(천재여기덕) 천 년에 그 덕이 남아 있고
秦城萬里長(진성만리장) 진 나라 성은 만리(萬里)나 길지만
二世失其國(이세실기국) 2 대에 나라를 잃었다네
古今靑史中(고금청사중) 고금(古今) 역사 속에는
可以爲觀式(가이위관식) 보고 배울만한 일이 있으나
隋皇何不思(수황하불사) 수나라 황제는 어찌 이를 생각지 못하고
土木竭人力(토목갈인력) 토목(土木) 공사(工事)로 인력(人力)을 말린다냐?
라고 하여 아무리 큰 토목 공사라도 덕으로 백성을 다스림만 못하다는 교훈을 노래했습니다.
蟯
다슬기 사(蛳,螄)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스승 사(師)자를 했습니다. 스승 사(師)자는 장수 수(帥)자에서 오른쪽에 한 일(一)자를 더 한 글자입니다. 스승 사(師)자나 장수 수(帥)자는 모두 거느린다는 뜻이 있습니다. 장수 수(帥)자는 깃발을 앞세워 거느린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그런데 스승 사(師)자는 오른쪽에 한 일(一)자를 더하여 장수의 기상을 막아서 그저 거느리기만 하는 사람임을 표시하였습니다. 스승이란 아이가 자라는 것을 지켜보는 사람입니다. 우렁이(螺蛳luó‧sī)를 뜻할 때에도 다슬기 사(蛳,螄)자는 사용합니다. 다슬기 사(蛳)자는 다슬기 사(螄)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螄
풍뎅이 유충 제(蛴,蠐)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가지런할 제(齊)자를 했습니다. 가지런할 제(齊)자는 꽃대가 올라와서 가지런하게 꽃이 핀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풍뎅이 유충 제(蛴)자는 풍뎅이 유충 제(蠐)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蠐
거미 권(䖭)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𠔉’자를 했습니다. 돌아볼 권(眷), 문서 권(券), 쇠뇌 권(卷), 우리 권(圈), 주먹 권(拳), 자루 권(帣)자들은 ‘𠔉’자가 들어 있어서 ‘권’으로 읽습니다.
자에서 눈 목자의 자리에 벌레 충(虫)자를 한 글자가 거미 권(䖭)자입니다.
번데기 향(䖮)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향할 향(向)자를 했습니다. 향할 향(向)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집 면(宀)자는 삼면이 깜깜하게 가려진 모양이고, 입 구(口)자는 빛이 들어오도록 구멍을 낸 것을 뜻합니다. 빛을 향하는 사람의 속성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은 늘 빛이 환한 쪽을 향하게 마련이거든요.
䖮
별자리 이름 규(䖯)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홀 규(圭)자를 했습니다. 별자리 이름 규(䖯)자는 개구리 와(蛙)자와 다른 글자입니다. 별자리 이름 규(䖯)자에는 홀 규(圭)자가 들어 있고, 개구리 와(蛙)자에는 흑 토(土)자 두 개가 들어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개구리는 흙 속에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이라는 말이고, 별 이름 규(䖯)자는 별자리의 모양을 홀에 비유한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홀은 신하들이 어전 회의에 나갈 대에 손에 들고 있는 의전용 도구입니다. 본래 뜻은 임금님의 말씀을 기록하는 메모의 용도가 있었지마는 세월이 가면서 그저 의전용으로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䖯
날벌레 패(䖰)자는 벌레 충(虫)자 변에 ‘𠂢’자를 했습니다. 갈래를 져서 데로 날아다니는 날벌레를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물갈래 파(派)자는 냇물이나 강줄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맥 맥(脈), 훔쳐볼 맥(眽), 몰래볼 맥(覛), 찢어질 백(挀)자들은 ‘𠂢’자가 들어 있어서 ‘맥’ 또는 ‘백’으로 읽습니다.
+ = 䖰
대하 광(䖱)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바룰 광(匡)자를 했습니다. 바룰 광(匡)자는 굽거나 휘어진 것을 반듯하게 똑바르게 만드는 것을 뜻합니다. 의부(義符)로 상자 방(匚)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왕(王)자를 했습니다. 미칠 광(狂), 어지러운 모양 광(抂), 속일 광(迋)자들은 임금 왕(王)자가 들어 있어서 ‘광’으로 읽습니다.
+ = 䖱
벌레이름 순(䖲)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열흘 순(旬)자를 했습니다. 열흘 순(旬)자는 열흘을 한 묶음 단위로 삼는다는 뜻으로 쌀 포(勹)자 안에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 = 䖲
해파리 차(䖳)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집 택(宅)자를 했습니다. 실의할 차(侘), 자랑할 차(姹), 벌릴 차(挓), 놀랄 차(㤞)자들은 집 택(宅)자가 들어 있어서 ‘차’로 읽습니다.
+ = 䖳
강요주 요(䖴)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조짐 조(兆)자를 했습니다. 조짐 조(兆)자는 점괘 조(兆)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고대에는 나라의 큰 일이 생기면 나라의 운수를 점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나라의 운수를 미리 집작하는 점은 거북 등껍질을 불에 구워서 등껍질에 균열(龜裂)이 가는 것을 보고 점을 쳤습니다. 이 때 거북 등껍질의 균열(龜裂)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제사장(祭司長)입니다. 처음에는 임금이 겸했었지요. 그러다 차츰 정치와 제사장(祭司長)이 분리 되어 신앙(信仰)과 정치(政治)가 분리 되었습니다. 예쁠 요(姚), 빛날 요(烑), 자개 요(珧)자들은 조짐 조(兆)자가 들어 있어서 ‘요’로 읽습니다. 강요주(江瑤珠)는 꼬막이나 돌조갯과의 하나입니다.
+ = 䖴
벌레 곤(䖵)자는 벌레 충(虫)자를 두 개좌우(左右)로 나란히 했습니다. 벌레가 데지어 많이 모여 잇는 것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벌레 충(蟲)자는 벌레가 더욱 많이 모여 있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䖵
땅강아지 방(蛖)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삽살개 방(尨)자를 했습니다. 삽살개 방(尨)자는 털이 길고 많은 삽살개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蛖
잠자리 형(蛵)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지하수 경(巠)자를 했습니다. 지하수 경(巠)자는 지하수는 당 밑에 흐르는 물이니까, 땅을 표시한 한 일(一)자 아래에 물이 흐르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개미허리 변 천(巛)자를 하고, 땅 속에서 흐른다는 뜻으로 장인 공(工)자를 했습니다. 냄비 형(鋞), 지레목 형(陘)자는 지하수 경(巠)자가 들어 있어서 ‘형’으로 읽습니다.
蛵
벌레이름 렬(蛶)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취할 률(寽)자를 했습니다. 취할 률(寽)자는 손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또 손을 뜻하는 마디 촌(寸)자를 했니다. 물건을 취할 때에는 손으로 취한다는 뜻입니다. 닭 우는 소리 렬(哷), 갈빗살 렬(脟), 여섯냥의 무게 렬(鋝)자들은 취할 률(寽)자가 들어 있어서 ‘렬’로 읽습니다.
蛶
집게벌레 구(蛷)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구할 구(求)자를 했습니다. 구할 구(求)자는 물 수(水)자 위에 한 일(一)자와 점 주(丶)자를 해서 물에 빠진 사람을 건져내는 모양을 했습니다. 물에 빠진 사람을 건져내는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상형(象形) 글자이고, 한 일(一)자와 점 주(丶)자 물 수(水)자가 합해서 만들어진 글자라고 생각하면 회의(會意) 글자가 됩니다. 상형(象形) 글자냐? 회의(會意) 글자냐? 하는 문제는 각자 생각하기에 달려 잇는 것이니,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고 할 수 없습니다.
+ = 蛷
갈거미 소(蛸)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닮을 초(肖)자를 했습니다. 닮을 초(肖)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육 달 월(月,肉)자를 해서 고기를 잘게 나누었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고기를 잘게 나누면 모두 비슷한 모양이니, 닮을 초(肖)자가 된 것입니다. 사라질 소(消), 거닐 소(逍), 녹일 소(銷), 밤 소(宵), 없앨 소(捎), 활고자 소(弰), 녹일 소(焇), 옥 이름 소(琑), 두통 소(痟), 대그릇 소(筲), 고물 소(艄), 모진 풀 소(莦), 움직일 소(踃), 군사 수레 소(輎), 하늘 소(霄), 물고기 이름 소(鮹)자들은 닮을 초(肖)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蛸
번데기 용(蛹)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길 용(甬)자를 했습니다. 길 용(甬)자는 가로수나 담장을 한 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지금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속도록 부근에 담장을 한 길을 볼 수 있지마는 이미 당나라 대에 현종은 양귀비와 온천인 화청지에 무시로 드나들기 위하여 담장을 샇은 길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蛹
나비 협(蛺)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낄 협(夾)자를 했습니다. 낄 협(夾)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큰 대(大)자의 옆구리 양편에 사람(人)자를 하나씩 양 옆에 끼고 있는 표시입니다. 낄 협(夾)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蛺
허물 태(蛻)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빛날 태(兌)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맏 형(兄)자를 해서 엄마 몸에서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맏 형(兄)자는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蛻
큰 바지락 차(蛼)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수레 차(車)자를 했습니다. 수레 차(車)자는 바퀴가 넷 달린 수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蛼
조개 패(蛽)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조개 패(貝)자는 조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蛽
나방 아(蛾)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나 아(我)자를 했습니다. 나 아(我)자가 손 수(手)자에 창 과(戈)자를 해서 창을 들고 있는 모습인 것처럼 나 여(予)자나, 나 여(余)자도 창을 그린 글자입니다. 나를 나타내는 글자들이 모두 무기를 그려서 외적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어적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적으로부터 나 자신을 지키는 것이겠지요. 생명 유지를 무기를 그려서 표시한 것입니다.
蛾
누에나방 아(䖸)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나 아(我)자를 했습니다. 나 아(我)자가 손 수(手)자에 창 과(戈)자를 해서 창을 들고 있는 모습인 것처럼 나 여(予)자나, 나 여(余)자도 창을 그린 글자입니다. 나를 나타내는 글자들이 모두 무기를 그려서 외적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어적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적으로부터 나 자신을 지키는 것이겠지요. 생명 유지를 무기를 그려서 표시한 것입니다.
+ = 䖸
쐐기 함(蛿)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머금을 함(含)자를 했습니다. 머금을 함(含)자는 이제 금(今)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지금 입에 물고 있는 것이 머금은 것입니다.
= 蛿
나라이름 촉(蜀)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쌀 포(勹)자를 하고, 벌레 충(虫)자를 해서 벌레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자는 누에고치 실로 짜내는 비단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중국 촉 지방에는 예로부터 누에를 많이 길러서 비단이 유명한 고장이었습니다.
蜀
소라 선(蜁)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돌 선(旋), 옥 선(琁), 회오리바람 선(颴)자들은 ‘𠂉’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한 글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 = 蜁
벌 봉(蜂)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끌 봉(夆)자를 했습니다. 끌 봉(夆)자는 의부(義符)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예쁠 봉(丰)자를 했습니다. 끌 봉(夆)자는 눈길을 끌어서 발걸음을 그쪽으로 오게 만든다는 말입니다.
蜂 + = 蜂
이무기 신(蜃)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때 신(辰)자를 했습니다. 때 신(辰)자는 별 진(辰)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별을 보고 때를 짐작했던 관습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때 신(辰)자는 별빛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蜃
움직일 진(蜄)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에 성부(聲符)로 별이름 진(辰)자를 했습니다. 별 이름 진(辰)자는 별빛이 빛나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蜄
벌레이름 보(蜅)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고,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싸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 = 蜅
가막조개 현(蜆)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나타날 현(見)자를 했습니다. 나타날 현(見)자는 볼 견(見)자를 전주(轉注)한 글자입니다. 보면 나타나겠지요. 모두 눈에 보이는 것은 한가지입니다. 볼 견(見)자는 눈 목(目)자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했습니다. 눈을 받쳐 놓아서 잘 보이게 한 글자입니다.
蜆
쏠 철(蜇)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꺾을 절(折)자를 했습니다. 꺾을 절(折)자는 손으로 꺾는다는 뜻으로 손 수(手,扌)자 변에 꺾는 도구로는 도끼를 표시하는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꺾을 절(折)자는 꺾는 손과 꺾는 도구를 가지고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밝을 철(哲), 공경할 철(悊), 화기 철(焎)자들은 꺾을 절(折)자가 들어 있어서 ‘철’로 읽습니다.
+ = 蜇
지네 오(蜈)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오나라 오(吳)자를 했습니다. 오나라 오(吳)자는 입 구(口)자 아래에 팔을 들어 휘저으며 춤을 추는 모양을 한 큰 대(大)자 비슷한 글자를 했습니다. 오나라 오(吳)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오나라 오(吳)자에서 입 구(口)자 아래 글자는 바로 춤추는 모양을 그린 글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나라 오(吳)자는 노래 부르고 춤추는 글자입니다. 오나라는 물이 풍부하고 땅이 비옥해서 농사가 잘 되어 백성들의 생활이 풍족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춤을 추는 글자가 오나라를 대표하게 된 것입니다.
+ = 蜈
하루살이 부(蜉)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비쁠 부(孚)자를 했습니다. 미쁠 부(孚)자는 손을 나타내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아들 자(子)자를 하고, 온당할 타(妥)자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여자 녀(女)자를 했습니다. 딸(女)은 손으로 쓰다듬어 온당한 것이고, 아들은 손으로 쓰다듬어 미쁜 것입니다. 이 글자들를 보면 여자는 사랑받아 마땅한 존재이고, 아들은 믿음직하고 귀여운 존재입니다.
蜉
참조개 리(蜊)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이로울 리(利)자를 했습니다. 이로울 리(利)자는 벼 화(禾)자에 칼 도(刀,刂)자를 해서 벼를 칼로 베어 거두는 모양입니다. 이렇게 추수를 하면 이로움이 크겠지요.
+ = 蜊
사마귀 랑(蜋)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에 점 주(丶)자를 더해서 어긋나지 않고 순종하는 착하고 좋은 뜻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가 밥을 많이 먹어서 외면을 한 글자인데 좋을 량(良)자는 밥을 많이 먹어서 기분이 좋아 만족스러움을 나타낸 글자가 된 것입니다. 수크령 랑(莨), 물결 랑(浪), 사나이 랑(郞), 밝을 랑(朗), 이리 랑(狼), 옥 이름 랑(琅), 산 이름 랑(崀), 햇볕에 쬘 랑(㫰), 광랑나무 랑(桹)자들은 좋을 량(良)자가 들어 있어서 ‘랑’으로 읽습니다.
蜋
홍합 폐(蜌)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섬돌 비(坒)자를 했습니다. 섬돌 비(坒)자는 의부(義符)로 흙 토(土)자에 성부(聲符)로 비할 비(比)자를 했습니다. 섬돌 폐(陛), 울짱 폐(梐), 짐승 이름 폐(狴)자들은 섬돌 비(坒)자가 들어 있어서 ‘폐’로 읽습니다.
+ = 蜌
두꺼비 서(蜍)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나 여(余)자는 창처럼 끝이 뾰족한 무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나를 방어하는 무기를 그려서 나임을 표시했습니다. 천천할 서(徐), 차례 서(敍), 천천히 걸을 서(俆), 베풀 서(叙), 의심스러울 서(悇), 차례 서(敘), 들 양 서(䍱)자들은 나 여(余)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 = 蜍
장구벌레 연(蜎)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장구벌레 연(肙)자를 했습니다. 장구벌레 연(肙)자는 장구벌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蜎
하루살이 유(蜏)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빼어날 수(秀)자를 했습니다. 빼어날 수(秀)자는 벼 화(禾)자에 이에 내(乃)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벼 화(禾)자는 곡식이 되는 식물을 말한 것이고, 이에 내(乃)자는 곡식의 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빼어날 수(秀)자는 곡식에 꽃이 핀 것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빼어날 수(秀)자는 높이 솟아날 수(秀), 꽃 필 수(秀)자로도 전주(轉注)되어 읽습니다. 꽃 중에는 곡식의 꽃이 가장 빼어날 것입니다. 사람이 먹을 것을 제공하니까요. 조선 시대 완비를 간택할 때 어느 지원자께서 목화 꽃이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고 해서 간택이 된 일화가 있습니다.
+ = 蜏
거북손 겁(蜐)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위협할 겁(劫)자를 했습니다. 위협할 겁(劫)자는 갈 거(去)자 변에 힘 력(力)자를 해서 가서 힘으로 위협함을 나타냈습니다.
+ = 蜐
오랑캐 단(蜑)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끌 연(延)자를 했습니다. 끌 연(延)자는 길게 걸을 인(廴)자 변에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발 지(止)자를 해서, 사람이 바르게 서 있는 모습입니다. 바르게 서 있는 사람을 끌어간다는 뜻이지요. 참소할 단(唌)자도 끌 연(延)자가 들어 있어서 ‘단’으로 읽습니다.
蜑
구불구불할 연(蜒)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끌 연(延)자를 했습니다. 끌 연(延)자는 길게 걸을 인(廴)자 변에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발 지(止)자를 해서, 사람이 바르게 서 있는 모습입니다. 바르게 서 있는 사람을 끌어간다는 뜻이지요. 한자는 대체로 같은 부수에 같은 글자를 하면 같은 뜻과 같은 소리로 읽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런데, 더러는 오랑캐 단(蜑)자와 구불구불할 연(蜒)자처럼 같은 부수에 같은 글자를 했어도 다르게 일고 다른 뜻을 가진 경우가 드물게 더러 있습니다.
+ = 蜒
잠자리 정(蜓)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조정 정(廷)자를 했습니다. 조정 정(廷)자는 간다는 뜻이 있는 길게 걸을 인(廴)자에 짐질 임(壬)자를 했습니다. 조정 정(廷)자는 짐을 지러 간다는 뜻이 있는 글자입니다. 조정은 임금이 있는 정치 마당입니다. 책임을 지러 가는 곳이 조정(朝廷)이라는 말입니다. 조정은 정치하는 마당입니다. 정치의 본질은 백성 대신 짐을 지는 것입니다. 작금(昨今)의 정치 현실은 정치가인 자기만의 욕심을 위하여 표를 얻어서 사기치고 돈을 축적(蓄積)할 목적으로 정치를 합니다. 백성들이 주는 짐을 질 생각은 없고 자기 자신만의 이익과 영달만을 위하여 정치를 합니다. 지금의 정치 현실은 너무나 본질에서 멀어져 있습니다. 대통령을 바꾸면 나아질까 했는데....
蜓
나전 전(蜔)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경기 전(甸)자를 했습니다. 경기 전(甸)자는 에워싸고 있다는 뜻으로 쌀 포(勹)자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밭 전(田)자는 임금 직할지(直轄地)를 뜻합니다. 여기에서 임금은 농사도 짓고 사냥도 합니다. 대개 범위는 말로 달려 하루에 왕복이 가능한 거리를 정합니다. 경기도(京畿道)는 경기 전(甸)자의 뜻으로 만든 행정 구역입니다.
+ = 蜔
탈피할 태(蜕)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빛날 태(兌)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맏 형(兄)자를 해서 엄마 몸에서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맏 형(兄)자는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蜕
회충 회(蜖)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돌 회(囬)자를 했습니다. 돌 회(囬)자는 돌 회(回)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돌 회(回)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작은 입 구(口)자를 해서 빙빙 도는 회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蜖
달팽이 와(蜗,蝸)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입 삐뚤어질 괘(咼)자를 했습니다. 입 삐뚤어질 괘(咼)자는 뼈 발라낼 과(冎)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입의 뼈가 잘못되어 삐뚤어짐을 나타냈습니다. 소용돌이 와(渦), 달팽이 와(蝸), 움집 와(窩), 발바리 와(猧)자들은 입 삐뚤어질 괘(咼)자가 들어 있어서 ‘와’로 읽습니다. 달팽이 와(蝸)자는 달팽이 와(蜗)자의 번체자(繁體字)입니다.
蝸
벌레 곤(蜫)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형 곤(昆)자를 했습니다. 형 곤(昆)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견줄 비(比)자를 해서 날짜를 견주에 형을 삼았다는 뜻입니다. 먼저 태어나서 세상에서 산 날자가 많은 사람이 형입니다.
+ = 蜫
바구미 양(蝆,䖹)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양 울 미(羋)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양 양(羊)자의 모사(模寫) 글자입니다. 바구미 양(蝆)자와 바구미 양(䖹)자는 같은 글자입니다. 양 울 미(羋)자는 양 양(羊)자가 양의 특징이 뿔임을 표시한 글자인 것처럼 바구미도 뿔이 난 곤충임을 나타냈습니다. 바구미 양(蝆,䖹)자에서 양 울 미(羋)자는 바구미의 뿔을 그린 글자입니다.
+ = 蝆
돼지가 땅을 뒤질 회(䖶)자는 벌레 충(虫)자 변에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돼지가 땅을 뒤집는다는 뜻이니까, 돼지 시(豕)자를 했고, 땅을 뒤집는 것은 돼지의 거두리가 땅을 뒤집기에 좋게 생겼음을 벌레 충(虫)자로 나타냈습니다. 벌레는 대개 입이 뾰족하게 생겼습니다.
+ = 䖶
독충 이름 희(䖷)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바랄 희(希)자를 했습니다. 바랄 희(希)자는 옷감을 재단하는 표시로 ‘X'자를 하고 베 포(布)자를 했습니다. 바랄 희(希)자는 옷감으로 옷을 재단하는 모양을 표시해서 옷이 다 만들어졌을 때를 기다리고 바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䖷
조용 조(䖺)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바 유(攸)자를 했습니다. 바 유(攸)자는 사람 인(人)자 변에 뚫을 곤(丨)자를 하고 칠 복(攵)자를 해서 사람이 몽둥이를 들고 친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바는 ‘~ 한 바’라는 불완전 명사입니다. 불완전 명사라는 것은 앞에 수식이 와야 뜻이 분명해지는 명사라는 뜻입니다. ‘잘 한 바’라든가, ‘뛰어 간 바’라고 해야 ‘~ 바’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을 때리면 무엇인가 실토를 하여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 같기도 합니다. 피라미 조(鯈), 고삐 조(鞗), 끈 조(絛), 김매는 연장 조(莜), 가지 조(條)자도 바 유(攸)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조용’은 전설상의 물벌레인 동물입니다.
+ = 䖺
하루살이 류(䖻)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깃발 류(㐬)자를 했습니다. 깃발 류(㐬)자는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䖻
굼벵이 각(䖼)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물리칠 각(却)자를 했습니다. 물리칠 각(却)자는 갈 거(去)자 옆에 병부 절(卩,㔾)자를 했지만 옛 글자인 본 글자로는 ‘卻’자를 씁니다. 물리칠 각(却)자는 가라고 내어 쫓는 표시입니다. 병부 절(卩,㔾)자는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을 그린 글자입니다. 무릎을 굴려서 내어 쫓는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골짜기 곡(谷)자는 입천장을 그린 상형문자(象形文字)입니다. 입천장을 혀로 핥아보면 골이 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골이 진 것을 그린 것이 입 구(口)위에 굴곡을 뜻하는 여덟 팔(八)자가 두 개가 위 아래로 있는 것입니다.
䖼
합리 리(䖽,䖿)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이로울 리(利)자를 했습니다. 이로울 리(利)자는 벼 화(禾)자에 칼 도(刀,刂)자를 해서 벼를 칼로 베어 거두는 모양입니다. 이렇게 수확을 하면 이로움이 크겠지요. 합리(蛤蜊)는 바지락으로 백합과의 조개입니다.
+ = 䖽
거미 지(蜘)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알 지(知)자를 했습니다. 알 지(知)자는 화살 시(矢)자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입 구(口)자는 말을 뜻합니다. 입에서 나오는 말을 쏘아놓은 화살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화살도 한번 쏘면 어찌할 수 없듯이, 말도 한번 뱉으면 어찌할 수 없습니다. 말에는 책임이 따릅니다. 안다는 것은 말로 인식하고, 지식도 말로 인하여 생기고 저축되는 것입니다. 말이 나왔으니, 가르칠 훈(訓)자도 말씀 언(言)자에 내 천(川)자를 했습니다. 냇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가르치는 것도 많이 아는 사람에게서 조금 아는 사람에게 말을 통해서 흘러갑니다.
蜘 + = 蜘
베짱이 송(蜙)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소나무 송(松)자를 했습니다. 소나무 송(松)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송사할 송(訟), 기릴 송(頌), 두려워서 당황할 송(彸)자들은 공변될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송’으로 읽습니다.
蜙
바퀴벌레 비(蜚)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아닐 비(非)자는 새의 깃털을 그려서 새가 날아가 없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蜚
벨레이름 거(蜛)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있을 거(居)자를 했습니다. 있을 거(居)자는 주검 시(尸) 아래에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대대로 그 자리에 이어 살고 있다는 말이겠지요. 전서(篆書)를 보면 사람이 자리를 정하고 거기에 눌러 앉아 있는 그림입니다. 글자가 간략하게 변하면서 지금의 모양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 蜛
꿀 밀(蜜)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성 복(宓)자를 했습니다. 성 복(宓)자는 지붕이 있는 집을 표시한 집 면(宀)자를 하고, 반드시 필(必)자를 했습니다. 빽빽할 밀(密)자도 성 복(宓)자가 들어 있어서 ‘밀’로 읽습니다.
蜜
방게 기(蜝,蜞)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蜞
껍질 못벗은 매미 육(蜟)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기를 육(育)자를 했습니다. 기를 육(育)자는 이를 운(云)자 아래에 고기 육(月,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이를 운(云)자는 말한다는 뜻이 아니라, 태어나는 아기의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아기 태어날 때에는 머리부터 세상에 나옵니다. 이를 운(云)자처럼.....이를 운(云)자는 아기가 탄생할 때 머리부터 나오는 것을 그린 글자입니다. 태어난 아기는 길러야 합니다. 기를 육(育)자는 아기의 탄생부터 책임지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인류의 번성의 기본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蜟
자개 군(蜠)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창고 균(囷)자를 했습니다. 창고 균(囷)자는 큰 입 구(囗)자 안에 벼 화(禾)자를 해서 추수한 벼를 가득 쌓아 둔 창고를 표시했습니다. 벼 화(禾)자는 벼가 익어 늘어진 이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蜠
납향 사(蜡)자는 벌레 충(虫)자 변에 예 석(昔)자를 했습니다. 예 석(昔)자를 해서 지난 일을 보낸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예 석(昔)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위에 물결무늬를 하여 세월이 지났음을 나타냈습니다. ‘납향’은 세말 납일에 지내는 제사로, 군신(群神:여러 신들)의 합사(合祀) 형태로 지냅니다.
蜡
벼메뚜기 맹(蜢)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맏 맹(孟)자를 했습니다. 맏 맹(孟)자는 그릇 명(皿)자 위에 아들 자(子)자를 해서 신에게 바친 아들이라는 표시를 했습니다. 여기서 그릇 명(皿)자는 제기(祭器)를 뜻합니다. 신에게 바친 아들이니 맏아들이지요. 동서(東西)가 모두 맏아들을 신에게 바치는 풍속은 같습니다. 동양에서 집안의 제사를 맏아들이 받들도록 전통을 이어가는 것도 맏아들을 신에게 받쳤다는 뜻을 실천하는 전통입니다.
蜢
쇠똥구리 강(蜣)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굳셀 강(羌)자를 했습니다. 굳셀 강(羌)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어진 사람 인(儿)자는 양의 다리를 강조해서 표시한 글자입니다. 양은 다리가 특히 강인하여 잘 뜁니다. 양은 초식을 약한 동물이기에 생명을 지키기 위하여 잘 달리게 되어 있습니다. 굳셀 강(羌)자는 종족 이름 강(羌)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모두 강인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 蜣
여치 사(蜤)자는 벌레 충(虫)자 변에 가를 석(析)자를 했습니다. 여치는 두 발을 잡으면 마치 도끼로 장작을 패듯이 꾸벅거립니다. 가를 석(析)자는 나무 목(木)자에 도끼 근(斤)자를 해서 나무를 도끼로 쪼개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가를 석(析)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蜤
도마뱀 석(蜥)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가를 석(析)자를 했습니다. 가를 석(析)자는 나무 목(木)자에 도끼 근(斤)자를 해서 나무를 도끼로 쪼개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가를 석(析)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蜥
꿈틀꿈틀 갈 륜(蜦)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둥글 륜(侖)자를 했습니다. 둥글 륜(侖)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나무 막대기를 여러 개 해서 둥글게 만든 새장처럼 묶어 놓은 ‘𠕁’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다고 하는 것은 새 조롱이나 닭장처럼 평면적인 표현이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볼 때 둥글다는 말입니다.
蜦
신령스러운 뱀 려(蜧)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어그러질 려(戾)자를 했습니다. 어그러질 려(戾)자는 지게문 호(戶)자 아래에 개 견(犬)자를 했습니다. 개는 집을 지키는 본분이 있습니다. 지게문 호(戶)자와 함께 개 견(犬)자가 있을 때에는 어그러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 견(犬)자가 없어지면 어그러지게 됩니다. 어그러질 려(戾)자는 문을 지키는 개의 본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蜧
나비 접(蜨)자는 벌레 충(虫)자 변에 베틀디딜 섭(疌)자를 했습니다. 베틀 디딜 섭(疌)자는 베틀에 올라 옷감을 짜는 형상입니다. 옷감을 생산하는 공장이 따로 없던 시대에는 집 안에서 베틀로 옷감을 짰습니다.
+ = 蜨
매미 조(蜩)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두루 주(周)자를 했습니다. 두루 주(周)자는 먼 거리를 나타내는 멀 경(冂)자에 땅을 뜻하는 흙 토(土)자를 하고 사방 범위를 표시하는 네모인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먼 곳(冂)까지 두루 모두라고 범위(口)를 표시하는 글자(周)입니다. 두루 주(周)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고를 조(調), 시들 조(凋), 비웃을 조(啁)자들은 두루 주(周)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蜩
메뚜기 새끼 도(蜪)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도(匋)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도(匋)자는 쌀 포(勹)자 안에 장군 부(缶)자를 했습니다. 장군 부(缶)자는 진흙을 빚어서 만든 액체를 담는 그릇입니다. 장군 부(缶)자는 질그릇을 만드는 물레를 그린 상형 글자입니다.
+ = 蜪
작은 소라 함(蜬)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함 함(函)자를 했습니다. 함 함(函)자는 상자를 뜻하는 글자로 입 벌릴 감(凵)자 안에 함에 넣어둔 물건을 뜻하는 글자를 했습니다. 함(函)은 뚜껑이 잇는 상자 그릇입니다. 결혼식 때 사용하여 예물을 담아 보내는 그릇으로 사용합니다.
+ = 蜬
쐐기 함(蜭)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함정 함(臽)자를 했습니다. 함정 함(臽)자는 구덩이의 모양과 같은 절구 구(臼)자 위에 사람 인(人)자를 해서 사람이 구덩이에 빠진 모양을 했습니다. 함정이란 사람이 빠지도록 만든 구덩이입니다.
蜭
물여우 역(蜮)자는 의부(義符)로 벌레 충(虫)자 변에 성부(聲符)로 혹시 혹(或)자를 했습니다. 혹 혹(或)자에서 창 과(戈)자는 무기니까 죽음을 뜻하고, 입 구(口)자는 사람의 입을 가리키니까, 생명을 뜻합니다. 창에 찔려 죽었는데, 혹시 살았나 하는 글자입니다. 지경 역(域), 어망 역(罭), 문지방 역(閾), 어린아이 귀신 역(魊)자들은 혹 혹(或)자가 들어 있어서 ‘역’으로 읽습니다.
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