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청소년의 수면장애, 불면증
수면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충족 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수면을 통해 뇌와 신체조직에 발생한 손상을 회복시키고 에너지를 보존하며 온 몸 조직에 휴식을 제공해 일상생활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유아동 청소년기에 수면의 질은 신체적 발달, 기능과 연관이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 수면 장애 개선이 아동, 청소년의 작업치료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기도 합니다.
수면 습관은 뇌기능, 호흡, 심장 기능, 호르몬 분비, 혈압 등의 다양한 생리적 변화와 관련이 있어 일생에 걸쳐 발달해 갑니다. 불안정한 수면 습관은 주의력 결핍, 행동 장애를 포함해 낮은 사회적응력과 상관있고 수면의 양이 채워지지 않았을 때 아이들은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성, 인지수행능력 및 과제수행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보고되고 있습니다. 충분하지 못한 수면양은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안정적인 수면 습관이 자리잡혀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 중 ‘수면장애’가 있습니다. 수면장애란 수면의 양적, 질적, 잠드는 순간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이릅니다. 증상으로는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야간각성(야경증), 수면 시작 지연, 수면 불안, 악몽 등을 포함 합니다. 또 수면장애는 우울, 불안 장애, PTSD 등의 주요한 정신병리의 동반 증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수면에 방해가 되는 요인, 수면장애를 경험하게 하는 영향 요인은 신경발달장애(자폐스펙트럼, ADHD), 트라우마, 취침 전 미디어사용, 심리적 불안감, 스트레스, 부모의 수면습관 등이 있습니다.
정서 조절과 정신 건강을 위해 적절한 수면을 필수적입니다. 때문에 치료적 개입도 최근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수면장애 치료는 약물치료, 비약물 치료가 나눠져 있으며 약물 치료는 수면제, 항우울제, 멜라토닌이 주로 처방되며 비약물치료에는 수면 위생교육, 행동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등 과 같은 행동 접근 중재가 알려져있습니다. 특히,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아이들에게 사회적 능력, 스스로 해야하는 일을 학습하고 문제 행동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이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단편만을 보고 접근하는 것은 아이에게 있는 또다른 문제를 간과하고 넘어갈 수 있기에 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수면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은지 아래의 척도를 활용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수면 어려움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
1. 어린시절부터 건강한 수면 환경 조성 해주기
긍정적인 수면 이미지를 심어주어야합니다. 뇌는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며 작동하기 때문에, 장기 기억속에 수면 습관이 자리잡히면 바꾸는 것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온도, 소음, 어두움 등을 기본으로 편안하고 안정감을 주는 수면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 잠들기 전 일정한 루틴을 만들고, 잠드는 시간을 정해서 규칙적으로 잘 수 있도록 하는 것, 주양육자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정서적 안정감을 가진채 잠에 들수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빨리 잠들지 않으면 도깨비, 괴물이 나타나서 잡아간다~” 등의 공포를 조성하는 표현을 지양해야 합니다.
2.아이가 잠을 자지 못하는 이유 파악하기
아동, 청소년기 정서 조절, 정신건강, 신체발달에 수면은 중요한 필수 요소입니다. 수면시간을 통해 뇌와 신체가 회복하게 되는 데 이 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아이에게 나타나고 있는 수면과 관련된 문제가 파생된 문제인건지 2차 이상행동의 원인인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심리정서적 상태를 통합적으로 이해해 아이에 맞는 전문적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긍정적인 사회경험 늘리기
또래, 대인 관계 속 건강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은 아이가 자신을 인식하고 행동을 수정해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 인터뷰 및 칼럼] >> 가족 행복학 개론 "밥상머리에서 얻는 작은행복“
[상담 후기] >> 부적응과 우울한 아동이 심리치료 후 IQ가 20 상승된 아동 치료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 이향숙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 참고문헌
강은경, (2019)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 선별을 위한 소아용 수면 설문지
https://aard.or.kr/DOIx.php?id=10.4168/aard.2019.7.3.122
김지호, 유은영 (2023) 수면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적 이야기 중재 효과 : 체계적 고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21:2, 69-83
김현경 (2022), 유아기 수면특성과 수면장애 및 정서적 안정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학, 31(4):107~123.
류희정, 김기현, 김재원 (2020), 아동의 성폭력 피해와 우울 간의 관계 연구: 수면장애와 동네 안전감의 역할분석, 사회복지연구 51(4):133-172.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현지
첫댓글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홈페이지
http://www.kccp.kr.
★ 상담 후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702
★ 무료온라인상담하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