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분별하라 원문보기 글쓴이: 모래시계
키티 제노비스 사건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티 제노비스 사건(Murder of Kitty Genovese)은 1964년 3월 13일 뉴욕 주 퀸스에서 캐서린(키티)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강도에게 강간살해당한 사건으로, 방관자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사건의 전개[편집]1964년 3월 13일 금요일, 뉴욕 주 퀸스 지역에서 키티라고 불리던 캐서린 제노비스라는 28살의 여성이 지배인으로 일하던 술집에서 야간당번을 마치고 귀가하던 새벽 3시쯤 한 수상한 남성에 의해 자상을 입는다.[1] 제노비스는 분명하고 큰 목소리로 구조 요청을 하였고, 아파트에 살던 동네 사람들은 불을 켜고 사건을 지켜보았다. 제노비스를 살해한 범인인 모즐리는 후에 법정 진술에서 집집마다 불이 켜졌지만 사람들이 사건 장소로 내려올 것 같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고 했다.[2] 갑자기 불을 켜고 지켜보던 사람 중 한 명이 사건 장소로 오지 않는 대신 "그 여자를 내버려 두시오."라고 소리를 질렀다.[2] 그러자 모즐리는 바로 도망을 쳤고, 제노비스는 난자당한 몸을 이끌고 어느 가게 앞으로 드러누웠다.[2] 그러자 모즐리는 다시 나타나 제노비스의 온몸을 난자했다. 제노비스는 계속 소리를 질렀고, 또다시 아파트 불이 켜지자, 모즐리는 또 도망을 갔다.[3] 제노비스는 힘겹게 자신의 집이 있는 아파트 건물 복도로 걸어갔다. 하지만 몇 분 후에 모즐리가 다시 나타나 제노비스를 강간했다.[3] 이 살인사건은 새벽 3시 15분에서 50분까지 약 35분 동안 일어났다. 집에 불을 켜고 제노비스가 살해당하는 장면을 목격한 사람은 총 38명이었고, 그들은 직접 사건 현장으로 내려가 제노비스를 구출하지 않았다.[4] 사건이 끝나고 한 명이 경찰에 신고했으나, 그녀의 목숨은 이미 끊겨 있었다. 사건의 여파[편집]처음에 이 사건은 뉴욕 타임스지에 달랑 네 줄짜리 기사로 실렸다. 그러나 나중에 뉴욕 주의 섹션 담당 편집자 로젠탈이 그 사건을 목격하고도 도와주지 않은 38명의 방관자들이 있었음을 발견했다.[5] 로젠탈은 뉴욕 타임스지에 38명의 방관에 대하여 기사를 실었고, 미국 전역에 38명의 도덕성에 대한 논란이 가속화되었다.[4] 뉴욕 타임스의 독자들은 38명의 방관자들을 맹비난 하였다.[4] 그러나 뉴욕 타임스의 보도는 사실과 매우 다르다. [6] 달리와 라테인은 이 사건에 흥미를 가지고 이에 관련한 심리 실험을 실행했다(책임 분산). 방관자 효과[편집]![]() 방관자 효과 또는 제노비스 신드롬은 주위에 사람들이 많을수록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게 되는 현상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또 주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을 경우, 곁에서 지켜보기만 할 뿐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 현상이다.
|
제노비스 신드롬 방관자 효과 왜 일어날까
제노비스 신드롬은 다른말로 방관자 효과라고 하며 대중들이 많은곳에서 도움을 청하면 서로 도우지 않고 가만히 있는것으로 이것이 도덕성의 타락이 아닌 서로의 책임전가로 인한 결과인것이 밝혀졌습니다. 제노비스는 뉴욕의 집에서 살해를 당하였는데 당시 아무도 경찰에 신고하지 않아 살해당하였고 가장 유명한 실험은 라테인의 실험이 있습니다. 대학생들을 위한 집단 토론명목하에 다른 사람과 전화로 통화하게하였고 갑자기 머리가 아프다 뭔가 이상하다 라며 조용해졌으며 이것은 미리 각본이 있는 행동이었습니다. 이때 단둘이 혹은 3명정도의 경우 즉각 보고가 들어갔지만 사람들이 많은경우는 남들이 알릴것으로 생각하여 서로에게 미루는 책임분산효과가 일어났습니다. 결국 여러사람마다 사람이 많은 수록 그 숫자 행동하는 수는 줄어들게 되고 불안하다고 하니 남들이 가만히 있길래 나도 가만히 있었다라는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제노비스 신드롬은 그래서 대중적 무관심 방관자 바이사이드 이펙트정도로 표현을 하고 있으며 비슷한 단어로 깨인 유리창 이론이 있습니다. 출처☞→▶ http://sergiojang.tistory.com/232
|
첫댓글
진리되시며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우리 주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이
밟히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예수님의 이름으로 구원받은자들 입니다.
우리는 모두 예수님 이름의 증언자 입니다
증인의 책무를 잊지 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