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ic: the gathering. 통칭 MTG. 발매하는 회사는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 대한 모든 판권을 쥐고있는 위저드 오브 코스트(Wizards of the Coast. 일명 돈법사)
세계 최초의 TCG. 미국의 수학자 리처드 가필드(Richard Garfield)가 취미삼아 만든 것이 위저드 사의 눈에 들어 출판되었으며, 발매후 15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전 세계에서 널리 사랑 받고있다. 국내에서도 한때 한글 카드를 제조하던 때가 있었으나 98년을 마지막으로 사업 철수, 아직까지도 한글 카드가 다시 발매될 예정은 없다. 덕분에 한글 카드들은 희귀판으로 간주되어 일부 콜렉터 사이에는 약간의 프리미엄이 붙기도 한다.
현재 중복카드 포함 발매된 카드 종류 15376장(이상)
당시 맘잡고 하려면 돈이 어마어마하게 들어가서 일명 매직 더 거덜링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좀 더 과격한 표현으로 가진거 다 팔아서 카드를 구입한다는 뜻으로 매직 더 개털링이라고도 했었다 (...)
스토리도 존재하는데, 처음에는 주인공
우르자가 여러 세계를 여행하며 겪는 이야기와 그의 고향인 도미나리아에 벌어지는 이야기가 주가 되었다. (우르자와 관련된 이야기는 Invasion 블럭의 Apocalypse 판에서 공식적으로 종결되었고 Odyssey와 Onslaught는 그 뒤의 도미나리아 이야기. Mirrodin부터는 각각의 판본이 독립된 세계가 배경이며 Time Spiral 블럭은 시간축이 꼬였다는 설정으로 간만에 도미나리아의 관련 인물들이 다시 나온 것) 현재는 새로운 셋이 하나 발매될 때마다 소설이 하나 발매되는 것이 관례로, 원래의 도미나리아에서 벌어지던 이야기와는 동떨어진 이야기가 되었다. 소설 자체의 퀄리티는 평범하거나 그 이하인 수준으로, 그 존재 의의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매직에는 8가지 카드 타입과 5가지 색이 존재한다.
색은 각각의 사상과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흑,백,적,청,녹 으로 구분된다. 그외에 사용하는데 색 제한이 없는 마법물체(Artifact) 와 두가지 이상의 색이 동시에 필요한 멀티컬러(Multicolor), 그리고 두 색중 자신이 원하는 색의 마나를 이용해 사용한수 있는 하이브리드(Hybrid)가 존재한다.
카드타입에는 대지(Land), 인스턴트(Instant), 소서리(Sorcery), 부여마법(Enchantment), 마법물체(Artifact), 생물(Creature), 그리고 얼마 전 새로 추가된 트라이벌(Tribal)과 플레인스워커(Planeswalker) 가 있다.
승리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게임 시작시 주어지는 기본 생명점 20점을 0으로 만든다 -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경우로서 생물이나 주문을 이용해서 상대에게 데미지를 입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2. 상대방이 덱에서 드로우할 시 더 이상 드로우할 카드가 없을 때 - 대개 60장이나 40장에서 시작하는 서고가 0이 되었을 때 발생한다. 흔하지는 않지만 콤보덱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3. 특정 카드에 명시되어 있는 승리 조건을 만족시킨다.
공식 매직의 경우 컨스트럭티드와 리미티드 두가지 경기방식으로 나눠지는데,
컨스트럭티드 경기 방식은 미리 조율해둔 60장 이상의 카드로 이루어진 덱으로(최대 제한은 없다) 경기하며, 기본 대지를 제외한 모든 카드는 최대 4장까지 중복해서 넣을 수 있다 (특수한 예외로서 금지카드와 제한 카드가 있다). 대개 60장의 메인덱과 경기중 바꿔넣을 수 있는 15장의 사이드보드를 만들어 경기하게 된다.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의 수에 따라 포맷이 달라지며, 포맷에 따라 덱과 전략의 다양성이 천차만별이다.
리미티드는 경기당일날 모인 참가자들에게 부스터를 나눠주고 뜯게해서 덱을 짜게한다. 최소 40장으로 이루어지며, 미리 덱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편리함과 일반 컨스트럭티드보다 훨씬 어려운 게임 구성 때문에 꾸준한 인기가 있다. 리미티드는 그 중에서도 자기가 뜯은 부스터 안에서 덱을 구성하는 '실덱(Sealed Deck)'이랑, 여러 사람이 같은 부스터에서 뜯은 카드를 집어서 그것들로 덱을 구성하는 '부스터 드랩(Booster Draft)'으로 나뉜다.
이 밖에 순수하게 재미를 추구하는 캐쥬얼 포맷이 몇 있어, 공식 포맷에는 신경쓰지 않고 이쪽을 즐기는 플레이어도 상당수 있다. (예를 들어서
EDH룰이라던가, 역대 커먼들만 쓸 수 있는 파우퍼라던가)
PC 게임으로는 돈먹는 마법사의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과 아타리의 매직 더 개더링:배틀 그라운드가 있는데...둘다 원작의 재미를 크게 살리지는 못했다는 지적.(특히 전자.후자의 배틀그라운드는 본게임이 턴제인 것에 비해 무려 반실시간 게임인데다가 게임에선 주문으로밖에 간섭하지 않는 플레이어가 직접 상대를 후드려패기도 한다. 흠좀무.)그외에도 랜플레이가 되는
매직 워크스테이션등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기도 하다.(랜 플레이 게임의 경우 덱구성하는데 돈이 안드므로(...) 실제 덱이었다면 거의 돈덩어리였을 덱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두개 말고 마이크로프로즈의
매직 더 개더링 PC판도 있는데, 4판 시절에 나온 것이라서 지금과는 카드 구성이 다르고 룰도 약간 다른 점이 있지만 RPG 형식으로 몹과 대전해서 앤티를 얻고 마을에서 카드거래를 하는 형태로 '그나마' MTG를 PC 게임으로 구현에 성공했다는 평가이다. (게다가 던전에서
파워 나인 카드까지 구할 수 있다)
한국에 들어왔을 당시에는 아래의 판본이 한국어판으로 존재했다.
- 4th Edition (한국어판으로 맨 처음 발매된 코어셋이라서 언리미티드~9th까지의 코어셋인데도 불구하고 한국어판 4th는 테두리가 검정색이었다)
- 5th Edition
- Mirage 블럭 중에서 Visions, Weatherlight (Mirage는 한국어판 없음)
- Tempest 블럭 (Tempest, Stronghold, Exodus)
- Urza Age 블럭 일부 (...라고해도 Urza's Saga 하나뿐.)
(Portal Three Kingdoms의 경우는
소개 페이지에서는 한국어판 데모 카드가 있지만 실제로 한국어판은 판매가 되지 않고 영문판 그대로 판매되었다)
카드 판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기본 판본 (Core Set) - 매직 더 개더링의 '뼈대'가 되는 판본. 맨 처음에 Limited Edition(Alpha, Beta), Unlimited Edition, Revised Edition 이렇게 각각 1~3번째 판이 나오고 4th Edition부터 10th Edition까지 서수를 붙이는 형태로 표기했다가 Magic 2010부터는 출시한 년도의 다음 년도를 표기하는 식으로 나왔다.. 확장판에 있었던 카드 중에서도 뼈대에 적합하다 싶은 카드는 그 다음의 기본 판본에 포함되기도 하며, Type 2에서는 가장 최신의 기본 판본만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최신은 Magic 2010으로, 이 Magic 2010은 기본판에서 새로운 카드를 도입했고 플레인즈워커를 도입한 상당히 파격적인 판본이다. 룰 변화도 좀 심하게 많이 되었다.
- 확장 판본 (Expansion Set) - 각기 특색있는 스토리가 펼쳐지는 판본이며, 한 블럭은 3개의 판본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블럭의 첫번째 판본은 토너먼트 팩이 존재하며 그 판본의 기본 대지가 있고, 2번째와 3번째 판본은 부스터로만 존재한다. 각 판본에 따라서 그 판본 특유의 능력이 존재한다. 현재 가장 최근 판본으로 Zendikar 블럭의 첫번째 판본인 Zendikar가 출시되었다. '함정'과 '보물'을 컨셉으로 한 블럭.
- Portal - 입문자를 위해서 기본적인 능력을 가진 카드로만 이루어진 판본. 입문자를 위한 판본이라 카드 내에 그 카드의 효과가 다른 판본의 카드보다 좀 더 자세히 적혀있으며, 생물의 공방 표시가 다른 판본은 단순히 슬래쉬(/) 기호로 구분하는 것과 달리 이 판본은 공격력 옆에 칼 그림이, 방어력 옆에 방패 그림이 그려져 있다. 또한 카드 종류가 기본대지/생물/소서리밖에 없고, 부여마법/인스턴트/마법물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부 카드가 소서리 주제에 '상대방이 생물로 공격할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 '상대방이 주문을 사용할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 라고 써 있다. 물론 그런 카드들은 인스턴트로 에라타된 상태) 국내에는 이 Portal 중에서 삼국지를 테마로 한 Portal Three Kingdoms가 들어왔다. Portal은 Three Kingdoms 이후로 더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본래 공식 대회에는 Portal 판본의 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했지만(다만 기본이나 확장 판본에 같은 카드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 Portal에 있는 카드라도 사용할 수 있다) 2005년 10월부터 레가시와 빈티지에서 사용이 가능해졌다.
- Dual Deck - 2종류의 고정된 덱을 준비해서 그 덱으로 1대1로 듀얼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구성된 덱이다. 이전 카드와 현재 카드가 섞여 있으며, 이 듀얼덱에 있는 카드 중에서 현재 판본에 있는 카드는 스탠다드에서 쓸 수 있고, 그 외 카드들은 그 카드를 쓸 수 있는 공식대회에서 쓸 수 있다. 컨스트럭티드 덱같이 강력한 덱은 아니지만 두 덱의 밸런스가 잘 맞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매직 더 개더링을 입문시킬 때 괜찮은 구성. 현재 Elves vs. Goblins와 Jace vs. Chandra, 그리고 Divine vs. Demonic 이렇게 3종류가 출시된 상태이고, 앞으로 출시될 4번째 듀얼덱은 Garruk vs. Liliana라고 이름이 확정된 상태.
- Unset - Unglued, Unhinged가 여기에 해당한다. 말 그대로 웃기는 카드들로만 이루어진 판본. 유명 카드의 패러디가 아주 뒤집어지도록 되어 있고 패러디가 아니라도 요절복통할만한 카드가 많다. 이 Unset에 해당하는 카드들은 기본 대지를 제외하고 모두 테두리가 회색이라는 특징이 있다.
Unset의 골때리는 카드의 예(
Unglued카드 리스트,
Unhinged카드 리스트)
- Unglued의 B.F.M. (Big Furry Monster) - 99/99. B 15개로 부르며, 카드 '두 개'가 한 세트이고 하나가 죽었을 경우 다른 하나도 같이 무덤으로 보내야 한다. (카드 텍스트도 카드 두 개에 나뉘어 적혀있다) B.F.M.이 공격할 경우 3마리 이상의 생물로만 방어가 가능하다.
- Unglued의 Ashnod's Coupon - 플레이에 탭되어 들어오며, 탭하고 희생하면 목표 플레이어는 당신에게 음료수를 사야 한다. (에라타 - 음료수 값은 당신이 지불해야 한다)
- Unglued의 Clam Session - 2/5. 1UU. Clam Session이 플레이에 들어올 때, 단어 하나를 선택한다. 당신의 업킵 단계때, 당신은 최소 6단어 이상의 노래를 불러야 한다. 이 6단어 중에서는 먼저 선택한 단어가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한다. 만약 당신이 노래를 부르지 못하면 Clam Session을 희생한다. 당신은 같은 노래를 여러 번 부를 수 없다.
- Unhinged의 Atinlay Igpay - 땨불 슈튜랴이쿠. 이 섕뮤레 죠죵쟈갸 왜걔어로 마라지 아느먄 이 섕뮤룰 히생 햬야햬.(Double Strike. 이 생물의 조종자가 외계어로 말하지 않으면 이 생물을 희생한다) - 원문 : Oubleday ikestray. Eneverwhay Atinlay Igpay's ontrollercay eaksspay ay onnay-Igpay-Atinlay ordway, acrificesay Atinlay Igpay. (원문을 제대로 된 영어로 번역 : Double Strike. Whenever Atinlay Iglay's controller speaks a non-Pig-Latin word, sacrifice Atinlay Iglay.)
- Unhinged의 City of Ass - 플레이에 탭되어 들어오며, 탭하면 당신의 마나 풀에 아무 색의 마나 1.5개를 더한다. (0.5개의 마나 역시 마나 폭주의 대상이 된다)
- Unhinged의 Our Market Research Shows That Players Like Really Long Card Names So We Made this Card to Have the Absolute Longest Card Name Ever Elemental - 아트 광란 2. 하지만 능력이 중요한게 아니라 이름이 엽기적으로 길다는게 중요하다. 카드 이름을 해석하면 '우리 시장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플레이어들은 굉장히 긴 카드명을 좋아한다고 나왔기에 그 어떤 것보다도 이름이 가장 절대적으로 긴 카드를 만들었습니다 정령'
- Unhinged의 Mouth to Mouth - 당신과 당신의 상대방은 숨참기 내기를 한다. 당신이 이길 경우, 상대방의 목표 생물 하나에 대한 조종권을 얻는다.
당연히 공식 대회에서는 이 Unset에 해당하는 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단순한 대인 듀얼에서도 상대방에게 미리 양해를 구하던가, 친한 친구사이가 아니면 여기에 해당하는 카드들은 웬만하면 사용을 자제하자(...)
첫댓글 우왕ㅋ굳ㅋ
그 때 엔하위키에서 '매직 더 게더링'으로 검색해보고 없길래 이 오덕들은 딱지는 안 치는 구나... 했는데 매직 더 "개더링" 이었군요. "게더링" 이 맞는건데...
개인 블로그에 퍼가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