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격은 정관을 볼 때 파격이 된다(상관견관). 그 외에 상관격이 파격이 되는 경우는 일간이 약하면서 재성을 보거나, 일간이 강할 때 인성을 봐도 파격이 된다. 상관은 일간과 음양이 다르면서 일간을 설기하는 기운이 되므로 그 설기가 과도하게 일어난다. 상관은 일간과 음양이 달라서 일간의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일간과 유정하다. 일간과 음양이 다르므로 일간과 다른 마음을 품고 일간을 설기한다. 일간의 주관적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막무가내로 설기한다. 당연히 일간을 과설(過洩)한다.
상관은 정관을 보면 특히 파격이 된다. 상관은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성분이다. 혁명군이다. 구질서인 앙샹레짐(Ancient Regime)을 타파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변화, 새로운 질서, 새로운 국가, 새로운 권력을 추구하므로 정관의 앙숙이 된다. 정관의 입장에서 보면 반란군이다. 상관(傷官)이라는 것은 '정관(반듯함, 올바름)을 손상하는 존재'라는 의미이므로 무법자라는 의미가 되는데, 상관이 스스로 자신의 이름을 이렇게 붙이지는 않았다. 이런면에서 볼 때 명리학이라는 것은 기득권 보호와 기성질서 중심의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관이 반란군 또는 무법자라는 의미를 띠는 것으로 그 이름이 부여된 것은 기성질서인 정관의 입장에서 붙여진 이름이기 때문이다.
상관은 신세계를 추구하므로 당연히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다. 새로운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이다.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에는 무모함이 따르고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상관이 일간을 과설하는 이유가 이런데서 연유한다.
상관은 일간을 과설하는 측면이 있고 일간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적인 설기를 하므로 일간이 약하면 파격이 된다. 말하자면 허약한 체질을 가지고 있는 사람, 또는 투자할 여력이 부족한 사업가가 무리하게 일을 추진하는 것과 같다. 도중에 건강에 문제가 생기거나 자금 조달에 문제가 있어서 파산한다.
상관은 일간이 강한 경우에도 파격이 될 수 있다. 일간이 강한 경우에 상관이 인성을 같이 보게 되면 설기가 원활하지 않아서 파격이 된다. 배부른 사람이 배설을 해야 하는데 배설을 못하는 것과 같다. 이 경우를 억부법으로 사주를 보는 입장에서는 파료상관(破了傷官)이라고 한다. 즉 일간이 강한 경우에는 상관이 흉신이 아니라 길신으로 작용하여 가상관(假傷官)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상관을 인성이 극하게 되면 설기가 방해되어 파격이 된다고 본다.
일간이 약한 구조에서는 상관격이 파격이라면 인성을 만나야 된다. 상관은 일간을 설기하는데 있어서 무법자 행태를 보이고 들쭉날쭉하게 설기하고 제멋대로 닥치는 대로 설기를 하므로 이것에 일정한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설기를 함에 질서와 규칙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상관은 생각 보다는 행동우선주의자이므로 일간이 약한데 상관의 천방지축 행태를 정관이 만나게 되면 정관이 인정사정없이 부서지게 된다. 이 때 인성이 있게 되면 상관에게 이성적 사고체계가 도입되는 경우가 되므로 정관이 보호된다. 신중한 행동 신중한 생각을 한다. 약한 일간에 상관격이 파격이 되면 책을 가까이 하고 선생님을 가까이 하고 학업을 가까이 하고 문서를 가까이 해야 한다. 부친은 도움이 되지 않고 처나 여자도 도움이 되지 않지만 모친은 도움이 된다.
상관격이 일간이 약하여 파격이 되는 경우에는 인성을 만나는 것은 상관패인되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차선책으로 비겁을 만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비겁을 어디에서 만나느냐가 중요하다. 천간에서 만나는 것 보다는 지지에서 만나는 것이 더 좋다. 일간이 약할 때 상관이 비겁을 만나면 일간을 대신하여 비겁이 우선적으로 설기를 당하는 구조가 된다. 친구나 동료, 기타 주변 사람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주변사람의 부추김으로 낭패를 당하는 것으로 귀결 될 수도 있으므로 사주의 구조에 따라서 달라 질 수 있다고 본다.
상관은 일간이 강할 때 인성을 보면 파격이 되기 쉽다. 대표적인 경우가 월겁격(목화통명, 금수상함)이나 양인격에서 식상이 인성을 만나는 경우에 그러하다. 이럴때 개운법은 재성을 만나서 인성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모친 보다는 부친에 의지해야 하고 돈이나 여자를 가까이 해야 좋다.
첫댓글 상관 격이라 자세히 읽었어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