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뼈 사이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추간판)는 몸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고
몸이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80%의 수분성분의 젤리 같은'수핵'과
이 수핵을 보호하는 '섬유륜'이라는 막이 둘러싸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디스크 수핵의 수분함량이 감소해 탄력성이 떨어지는데,
나쁜 자세나 사고 등 외부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디스크가 밀리게 되고
디스크를 감싼 섬유륜이 터지면서 디스크가 돌출된다.
그렇게 제자리에서 벗어난 디스크가 주위 신경근을 누르고
동시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디스크(추간판 탈출증)'이다.
심한 충격으로 인해 디스크가 파열되는 계기가 없었다면
발병 원인의 대부분은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퇴행성 변화와
음식의 불균형으로 인해 수기(水氣, 짠맛)의 부족으로 신장과 방광경락이 약해지면서 생기게 된다.
디스크의 노화는 다른 근골격계와 달리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부터 나타나는데,
짠맛의 음식을 적게 먹는 부족한 젊은이들은 더욱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나이가 들면 피부에 수분이 빠져 주름이 생기는 것처럼
디스크의 수핵도 노화로 수분이 점점 빠져나가서 충격을 잘 흡수하지 못하고 닳게 데는데,
이 때 MRI를 보면 정상디스크는 흰색인 반면
퇴행된 디스크는 까맣게 보인다는 점에서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신장과 방광경락이 약화되어 몸에 짠맛의 기운인 수기가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뒷목이나 어깨 주변에 뻐근한 통증을 나타내면서
목을 뒤로 젖히기가 힘들고, 아픈 쪽의 방향으로 목을 틀기도 힘들며,
팔이 저리거나 둔한 느낌이 나타면 '목 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를 의심할 수 있다.
심한 경우 걸레짜기와 같이 손목을 비트는 동작은 물론 손의 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놓치게 된다.
주로 장시간 앉아서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밀며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책을 보는 습관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일자목 변형도 목 디스크의 위험 요소 중 하나이다.
목디스크에 좋은 음식은 짠맛과 신맛이 있는 음식
1) 신장과 방광을 영양하는 짠맛의 음식
곡식 : 콩, 서목태(검정콩)
과일 : 밤, 수박
야채 : 미역, 다시마, 콩떡잎, 김, 파래, 각종 해산물
양념 : 소금, 간장, 된장, 젓갈, 치즈, 죽염, 두유
고기 : 돼지고기, 뼈곰국, 멸치
2) 간과 담낭을 영양하는 신맛과 고소한 맛의 음식
곡식 : 팥, 밀, 메밀, 보리
과일 : 딸기, 자두, 포도, 사과, 귤, 잣, 호두, 땅콩, 들깨
야채 : 부추, 신김치, 깻잎
양념 : 식초, 참기름
차 : 유자차, 오렌지 주스, 오미자차, 포도즙
고기 : 닭, 계란
특별히 추천하는 음식은 간간하게 간한 닭고기 미역국이다.
여러가지 좋은 음식들이 있지만 생각에 걸리지 말고 먹는다면 입에 딱딱 달라붙지 않을까?
돼지 국밥에 새우젓 덤뿍 넣어서 땀 날정도로 한 그릇 먹어도 그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