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은하(The Milky Way Galaxy)
어디냐고요? 바로 여러분이 앉아있는 그곳입니다.
바로 우리모두가 이속에 살고있습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가 속해있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가장 큰 집단이죠..
길이가 무려 10만광년에 이르는 우리은하에는
약 1000억개 이상의 '항성'이 존재하는것으로 추측됩니다.
항성이란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뜻하는데요
즉 ...우리은하에는 태양같은 것이 1000억개나 더 있다는 뜻이랍니다.
<우리은하의 옆모습>
인간은 광대한 대우주는 커녕, 10만광년 크기의 우리은하도 영원히 파헤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평생 자기집 앞마당도 벗어나지 못하지는 나약한 존재인 것이죠
그리고...
우리은하와 같은 은하계는
전우주적으로 1000억개가 존재한답니다...
가장 가까운 은하는 16만광년 떨어져있는 '대마젤란은하' 이지만
왜소은하로 분류될만큼 크기가 작아,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정도로만 여겨집니다
실질적으로 가장 가까운 재대로 된 은하는 '안드로메다(Andromeda)' 은하입니다
<250만광년 떨어져있는 안드로메다 은하>
우리은하의 이웃으로 불리우며, 크기와 구성 모두 우리은하와 상당히 비슷하답니다.
250만광년 떨어져있는 은하가 가장 가깝다니..
현재 이곳 안드로메다에서 바라보는 지구의 모습은
신생대 제3기... 인류가 막 탄생하려는 시점이겠네요
그리고 가장 멀리 있는 은하...
<IOK-1 상상도> 너무 멀어 그 모습을 우리는 볼수 없다.
우리은하에서 무려 130억광년 떨어져 있는 IOK-1은하가 바로 그곳입니다.
우주의 끝이 150억광년이라고 볼때 거의 끝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우주의끝이 150억광년이라는 것은
150억년전의 빛까지만 발견되서 그렇다고 추측할뿐... 어디까지나 가설에 불과하답니다...
가장 짧은시간에 가장 큰 온도변화가 일어나는 행성
아직 이름지어지지 않는 한 행성이 과학자들을 놀라게 하였습니다
527도였던 대기온도가 6시간만에 1227도로 올라갔다가
다시 6시간만에 원상태로 돌아왔다가를 반복하는것...
궤도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것이랍니다...
어떻게 살까요 이런곳에서?
항상 제글을 사랑해주시는분들 감사합니다
여러분이 좋아하실때마다 이글을 올리는 보람을 느낀답니다
출처 : I Love Soccer 글쓴이 : 아스날무패시절
|
첫댓글 이런거 볼때마다...나는 지금 왜 살고있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