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통한 자의 복(마5:1~4) 2023.9.17(주일설교)
Ⅰ. 들어가는 말
(유머)일가족 사건
우리 크리스천들은‘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는 데살로니가 전서 5장 말씀에 익숙합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오늘 본문 마태복음 5장 4절에서 “애통하는 자들이 복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은 우리 성도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상반된 가르침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애통한다는 것은 무엇이며 애통하는 자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또 어떤 복을 받는가를 생각해 보고 주의 음성을 듣기를 원합니다. 오늘은‘애통하는 자의 복’에 대해 함께 은혜를 나누겠습니다.
Ⅱ. 내 용
1. 왜 애통하는 자가 복이 있는 자인가?
1)‘애통하는 자’의 어원적 의미(마5:4)
(1) 마5:4“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❶개역 개정 성경은‘애통하는 자’라고 단수로 번역 되었는데, 원문은‘애통하는 자들’로 복수로 되어 있습니다.
❷‘애통하는 자들은 복이 있다’헬라어‘마카리오이 호이 펜뚠테스’영어로‘Blessed are those mourning'으로‘애통하는 자들이 복이 있다’입니다.
❸이 펜떼오(πενθέω)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때문에 가슴을 치며 통곡할 때 사용하는 말로서 헬라어의 슬픔을 표현하는 여러 단어들 가운데 슬픔의 강도가 가장 센 단어입니다.
2) 누가 어느 때 왜 애통해야 하는가?
(1) 사람들은 어느 때에 애통해 할까요?
❶애통하는 사람이 복이 있다고 말씀하는데, 사람은 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애통해야 할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❷그러므로 무조건 애통하는 모든 사람들이 복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적절한 이유로 애통해 하는 사람이 복이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 정욕 때문에 하는 애통
❶자신의 탐욕을 채우지 못해 애통해 하는 세속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이기적인 애통함이 있습니다.
❷이 세상에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바라는 욕심을 채우기 위해 애를 씁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바란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닙니다. 욕망은 간절한데 그 욕망을 채우지 못해 애통해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❸이런 자기 연민에 사로잡혀 슬퍼하거나, 욕심대로 하지 못해서 억울해서 애통해 한다면 하나님 앞에 복은 고사하고 책망을 받게 될 것입니다.
❹예를 든다면 이스라엘의 왕 아합은 나봇의 포도원을 보고 갖고자 하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❺그러나 나봇이 그 포도원을 팔기를 거절하니 그 포도원 때문에 애통해 하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❻결국 아합의 아내 이세벨의 흉계로 나봇에게 누명을 씌워 제거한 후에 그 포도원을 차지했는데, 결국 이러한 범죄를 저지른 아합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전쟁터에서 비참한 죽음을 당하고 말았습니다(왕상 21장)
(1-2) 거룩한 애통
❶첫째는, 예수님의 애통입니다. 예수님은 요한복음 11장 35절에서 애통해 하셨는데, 그 이유는 오빠 나사로의 죽음으로 마리아가 슬퍼하며 울었고 또 조문을 와서 마리아와 함께 우는 유대인들을 보셨기 때문입니다.
❷이러한 예수님의 애통해 하심은 우선은 마리아의 슬픔에 감정이입을 하셨기 때문이고 또 사망권세 아래 고통과 슬픔을 당하는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셨기 때문입니다.
❸예수님은 누가복음 19장에서 예루살렘 성을 보시고 애통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예루살렘에 있던 유대인들이 저지른 범죄로 인해 하나님의 징계와 장차 예루살렘의 멸망과 세계만방에 흩어질 것을 보시고 애통하심.
❹히브리서 5장 7절에서 예수님은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하나님 아버지께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예수님의 애통하심으로 기도응답을 받으셨습니다.
❺둘째, 성령님의 애통하심이 있습니다. 에베소서 4장 30절에서 성령님께서도 근심하고 애통해 하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❻그 이유는 성령으로 거듭난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님의 인도하심에 순종하지 않고 죄를 짓기 때문입니다.
❼그래서 성령님은 하나님의 백성들의 마음속에서 탄식하시기도 하고 또한 소멸되시기도 합니다.
3) 우리 성도들은 어떤 이유로 애통해야 할까요?
(1) 자신의 연약함과 죄로 인해 애통해야 합니다.
❶성도가 주의 말씀에 순종하며, 주의 뜻대로 살기를 바라지만 자신의 연약함과 육신의 죄성으로 인해 번번이 넘어졌을 때, 자신의 미약함과 죄로 인해 슬퍼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구해야 합니다.
❷다윗도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와 동침하고 난 후 나단 선지자의 책망을 듣고, 자신의 죄에 대해 깊이 슬퍼하며 애통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삼하11장, 시6:6)
❸사도 바울은 로마서 7장 24절에서“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라고 탄식했습니다.
❹이것은 사도 바울 자신이 죄인 됨과 자신의 능력으로 이 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하는데서 나오는 탄식이요, 애통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❺그러나 사도 바울은 자신의 죄로 인한 연약함과 애통함이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해결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라고 찬양합니다.
❻우리들은 범죄와 연약함으로 인한 애통함을 느끼는 동시에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 문제를 해결하셨음을 깨닫고 사죄의 확신으로 말미암아 감사와 찬양을 성 삼위 하나님께 돌려야 합니다.
(2) 고통을 당하고 있는 지체들을 위해 애통해야 합니다.
❶이 세상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신앙 때문에 고통과 박해를 당하고 있습니다. 그들을 위해 애통해야 합니다.
❷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와 자매가 된 동일한 신앙을 가진 우리들은 그들이 믿음 때문에 당하는 고난을 생각하고 애통해 하는 마음으로 기도해야만 합니다. /모로코의 지진, 리비아의 폭우로 인한 비참
(3) 지금 예수를 믿지 않고 있는 불신자들을 위해 애통하며 기도해야 합니다.
❶영생 천국, 이 구원은 오직 복음을 듣고 예수 그리스도만이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것을 믿고 영접하는 자들에게만 주어집니다.
❷다른 길은 없습니다. 이 복음을 듣지 못하고 또 들었다고 하더라도 주 예수 그리스도께 나오지 않고 하나님의 심판을 자처하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애통하며 기도와 전도를 해야 합니다.
Ⅲ. 적 용
1. 애통하는 자들에게 주시는 복?
1) 누가복음 7장에서 나인성 과부의 아들의 죽음으로 애통할 때, 주님은 죽은 청년을 살려 주셨습니다.
2) 요한복음 11장 마르다와 마리아의 애통을 보시고, 역시 죽은 나사로를 주님은 살려 주셨습니다.
3) 마가복음 5장 회당장 야이로의 믿음과 애통을 보시고 죽은 딸을 살려 주셨습니다.
4) 이사야 38장 히스기야 왕이 병에 걸려 죽게 되었는데, 그의 심한 통곡을 보시고 주님은 고쳐주셨습니다.
☞‘펜뚠테스’이 애통은 영적인 측면에서의 애통으로 죄에 대한 애통이요, 자신의 연약함에 대한 애통으로 개인의 죄와 민족의 죄로 인해 눈물 흘리며 애통할 때, 하나님의 위로(파라칼레오)가 임하게 됩니다. 그러므로‘파라칼레오’는 예수님이 애통하는 자들 가운에 임하셔서 역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Ⅳ. 결 론
마5:4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