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② 한국철도 (기술, 차량) 철도 무선 통신망에 대한 질문입니다.
검은콩두유 추천 0 조회 1,433 16.01.25 17:43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1.26 02:41

    첫댓글 일단 첫번째로 고속철도이전에 전국 철도망에서는 VHF 방식으로 통화를 하였습니다. 2번째로 고속철도 1단계(경부선입니다) 착공 시 관제센터와 고속철도 전 구간 통화 및 고장정보 송신 등 데이터 통신을 위해 Astro방식으로 했습니다.
    3번째로 고속철도 2단계 구간 착공 시 정부에서 추진 한 통합지휘무선통신망 구축계획에 따라 소방방재청이 지시한 TETRA 방식으로 구축되었습니다. 기타 사항으로 고속선에서 TRS 사용이유는 통화대기 시간 감소, 주파수(채널) 사용효율 증가, 시스템 내부 디지털화(이는 곧 깨끗한 음색을 들을수 있습니다.),문자송신 등이 있습니다. 해당 답변은 코레일 관제교육 당시 메모와 책 내용에서 참고하였습니다.

  • 16.01.26 08:46

    유익한 답변이네요~

  • 작성자 16.01.26 12:20

    답변 감사합니다.

    각 통신 방식별 장단점,
    도입 당시 시기 및 정책의 차이도 있겠지만..

    결국 현재의 고속철도 TRS 통신에서
    ASTRO와 TETRA 방식 모두 도입한 것은
    현장의 안전성 및 운영면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인것 같습니다..

    길게 내다보고 설계를 해야 하는데
    시기에 따라 너무 왔다갔다하며
    도입했다고 보여지네요..

  • 16.01.28 23:43

    이유야 어찌됐던 1단계는 ASTRO 시스템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TETRA는 오픈된 유럽 표준으로 제조사가 표준만 따르면 되나 ASTRO는 모토로라 독점입니다.
    즉 기술이 공개되지 않았으며 모토로라에서만 생산한다는 얘기인데 문제는 여기서 시작합니다.
    수많은 ASTRO 설비들의 유지보수가 필요한데 단종된 품목이 많습니다.
    즉 모토로라에서만 물건을 사올 수 있는데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이 없습니다.
    단일 시스템이었으면 참 좋았겠지만...
    그래서 1단계 구간에 TETRA를 설치하려고 준비중이라고 합니다.

  • 16.02.28 10:27

    무전기를 3대 갖고다니는게 아니라 절환이 되는 겸용 무전기를 가지고 다닙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