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는 '곳' '것', '일', '경우'라는 뜻의 '의존 명사'이고,
'-ㄴ데/는데/은데/던데'는 '연결 어미'입니다.
'곳'이나 '것'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면 '의존 명사'로 띄어 써야 합니다.
ex) 철수 아버지는 국회의원인데 이 점이 때로는 행동하는
데 제약이 되기도 한다.
이 문장을 보다 정확히 적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ex) 철수 아버지는 국회의원인데 이 점이 때로는 행동하는 데에 제약이 되기도 한다.
'국회의원인데'의 '-ㄴ데'는 연결 어미로 붙여 써야 하고,
'행동하는 데에'의 '데'는 '것'으로 바꾸어 쓸 수 있어서 '의존 명사'이기 때문에 띄어 써야 합니다.
-ㄴ데
「어미」『'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 ①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여기가 우리 고향인데 인심 좋고 경치 좋은 곳이지./날씨가 추운데 외투를 입고 나가거라./그 사람이 정직하기는 한데 이번 일에는 적합치 않다./저분이 그럴 분이 아니신데 큰 실수를 하셨다./제가 알아보았사온데 사실은 그와 다르옵니다. ②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나무가 정말 큰데./어머님이 정말 미인이신데.
-는데
「어미」『'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①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내가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다./그 애는 노래는 잘 부르는데 춤은 잘 못 춰./눈이 오는데 차를 몰고 나가도 될까? ②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잘 달리는데./성적이 많이 올랐는데?
-은데
「어미」『'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이는 연결 어미. ¶볼 것은 많은데 시간이 모자란다./방이 좁은데 가구를 너무 많이 가져오지 마라./미친놈, 달이 대낮 같은데 어둡다니.≪현진건, 무영탑≫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드러내는 데 쓰는 종결 어미. ¶기분 좋은데./집이 좀 작은데?/경치 좋은데?
-던데
「어미」『'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①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와 상관있는 과거 사실을 회상하여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너 고향에 자주 가던데 집에 무슨 일 있니?/너 그림을 잘 그렸던데 그거 여기에 걸자. ②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의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그 사람은 집에 있던데./그 사람 참, 잘 달리던데!
데
[의존 명사]①'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올 데 갈 데 없는 사람/예전에 가 본 데가 어디쯤인지 모르겠다./지금 가는 데가 어디인데?/그가 사는 데는 여기서 멀다. ②'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말.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사람을 돕는 데에 애 어른이 어디 있겠습니까?/그 사람은 오직 졸업장을 따는 데 목적이 있는 듯 전공 공부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③'경우'의 뜻을 나타내는 말. ¶머리 아픈 데 먹는 약/이 그릇은 귀한 거라 손님 대접하는 데나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