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언(言)자는 입 구(口)자 위에 넉 사(亖)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넉 사(亖)자는 숫자를 듯하지 않고 입에서 나오는 말의 소리를 나팔처럼 나타낸 글자입니다. 말씀 언(言)자는 입에서 말이 나오는 것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言
바로잡을 정(訂)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성할 정(丁)자를 했습니다. 성할 정(丁)자는 못의 모양을 했다 해서 못 정(丁)자로도 읽고, 고무래의 모양을 했다고 해서 고무래 정(丁)자로도 읽습니다. 장정(壯丁)이라고 하면 성할 정(丁)자로 사용한 예(例)입니다.
訂
부고 부(訃)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점 복(卜)자를 했습니다. 점 복(卜)자는 거북점을 칠 때 불에 구운 거북의 등뼈가 갈라지는 것을 나타낸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주술사(呪術師)는 그 갈라진 금을 보고 미래를 점쳤다고 합니다. 나아갈 부(赴), 엎드릴 부(仆)자는 점 복(卜)자가 들어 있어서 ‘부’로 읽습니다.
+
= 訃
급할 구(訄)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아홉 구(九)자를 했습니다. 아홉 구(九)자는 셈을 셀 때 손가락을 구부려서 나타낼 때 그 구부린 모양을 형상하여 아홉임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訄
부르짖을 규(訆)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얽힐 구(丩)자를 했습니다. 얽힐 구(丩)자는 뚫을 곤(丨)자에 서로 얽힌 모양을 단순화한 ‘ㄴ’자를 했습니다. 꼴 규(糾), 뿔 없는 용 규(虯), 헌걸찰 규(赳), 굽은 나무 규(朻)자들은 얽힐 구(丩)자가 들어 있어서 ’규‘로 읽습니다.
訆
큰 소리 굉(訇)자는 말씀 언(言)자에 쌀 포(勹)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쌀 포(勹)자는 소리를 크게 내어 멀리 보내기 위하여 입에 나팔처럼 만드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쌀 포(勹)자는 팔로 싸안을 때 팔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訇
꾀 계(計)자는 말씀 언(言)자에 열 십(十)자를 했습니다. 열 십(十)자는 가로로 긋고 세로로 그은 글자입니다. 이리 생각하고 저리 생각한다는 표시를 한 글자로 보입니다. 꾀는 이리 저리 생각하여 낸 묘안(妙案)입니다.
計
후할 잉(䚮)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이에 내(乃)자를 했습니다. 이에 내(乃)자는 구불구불 선을 그어서 바로 여기 ‘이에’라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아이 밸 잉(孕), 인할 잉(仍), 당길 잉(扔), 다행 잉(礽), 풀이름 잉(艿), 갈 잉(辸)자들은 이에 내(乃)자가 들어 있어서 ‘잉’으로 읽습니다.
䚮
소리 현(䚯)자는 말씀 언(言)자에 칼 도(刀,刂)자를 했습니다. 말을 분석하면 소리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칼 도 (刀,刂)자는 분석한다는 말입니다. 말씀은 바로 소리입니다.
+
= 䚯
자세히 말할 비(䚰)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비수 비(匕)자를 했습니다. 비수 비(匕)자는 칼 날 중에서 가장 날카로운 칼날의 끝 부분을 지적해서 비수를 나타낸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
= 䚰
말 많을 범(訉)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무릇 범(凡)자를 했습니다. 무릇 범(凡)자는 안석 궤(几)자 안에 점 주(丶)자를 했습니다. 무릇 범(凡)자에서 안석 궤(几)자는 안석의 뜻이 아니라, 바람 풍(風)자에서와 같이 바람의 기류, 어떤 힘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점 주(丶)자는 바람과 같은 기류 속에서라는 뜻으로 찍은 점입니다. 무릇 범(凡)자는 세상의 힘과 같은 기류 속에서 견뎌낸다는 뜻입니다.
+
= 訉
물을 신(訊)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빨리 날 신(卂)자를 했습니다. 빨리 날 신(卂)자는 기류를 타고 나는 그림(⺄) 아래에 열 십(十)자를 해서 위로 올라가는 표시를 했습니다. 빨리 날 신(卂)자는 기류를 타고 나는 모습과 위로 올라가는 열 십(十)자와 같은 표시들을 합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訊
쥘 조(訋)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구기 작(勺)자를 했습니다. 구기 작(勺)자는 술 같은 액체를 떠내는 국자 같이 생긴 도구입니다. 낚시 조(釣)자도 구기 작(勺)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
= 訋
무너질 홍(訌)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장인 공(工)자를 했습니다. 장인 공(工)자는 나무토막을 끊고 새겨서 무엇인가 만드는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붉을 홍(紅), 수은 홍(汞), 무지개 홍(虹), 배 클 홍(仜), 여자 이름 홍(妅), 화롯불 홍(灴), 고기 살찔 홍(魟)자들은 장인 공(工)자가 들어 있어서 ‘홍’으로 읽습니다.
訌
딴 말할 차(訍)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깍지 낄 차(叉)자를 했습니다. 깍지 낄 차(叉)자는 손가락을 서로 물리게 끼워 잡아서 깍지를 낀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訍
칠 토(討)자는 말씀 언(言)자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마디 촌(寸)자는 손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토론은 말을 주고받아 서로 따지는 행위입니다. 말을 주고받는다는 뜻에서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친다, 때린다.’는 것은 손으로 하는 일입니다. 말로 치고 때리는 것을 토(討)라고 합니다. 말을 손으로 하듯이 한다는 뜻입니다. 칠 토(討)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討
클 우(訏)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우(于)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우(于)자는 두 이(二)자에 갈고리 궐(亅)자를 해서 둘을 서로 연결해 준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조사 우(亏)자와 동자(同字:같은 글자)입니다.
訏
들추어낼 알(訐)자는 말씀 언(言)자에 방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말의 공격을 막아내는 데는 들추어내는 말이 제일입니다. 상대편을 공격하는 무기로 상대편이 숨기는 이야기를 들추어내는 것입니다. 방패 간(干)자는 방패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들추어낼 알(訐)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訐
으쓱거릴 이(訑)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야(也)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야(也)자는 뱀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늦출 이(弛), 남쪽 오랑캐 이름 이(㐌), 주전자 이(匜), 찢을 이(肔), 나무이름 이(杝), 옷 선 이(衪), 비스듬할 이(迆), 술 이(酏)자들은 어조사 야(也)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
= 訑
말 더듬을 인(訒)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칼날 인(刃)자를 했습니다. 칼날 인(刃)자는 칼 도(刀)자에서 칼날에 해당하는 부분에 점 주(丶)자를 해서 칼날을 가리키는 글자로 삼았습니다. 칼날 인(刃)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訒
가르칠 훈(訓)자는 말씀 언(言)자에 내 천(川)자를 했습니다. 가르치는 것은 말로 하는데 물이 아래로 흐르듯 순리(順理)대로 순리를 말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訓
논쟁할 은(訔)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논쟁이란 마치 험한 산과 같다는 뜻입니다. 예측할 수 없는 장애물이 널려 있습니다. 마치 산을 오르는 것처럼 험난한 과정이 논쟁입니다.
+
= 訔
헐뜯을 산(訕)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산 산(山)자를 했습니다. 산 산(山)자는 산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訕
+
= 訕
이를 흘(訖)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빌 걸(乞)자를 했습니다. 빌 걸(乞)자는 엎드린 모양인 ‘𠂉’자 아래에 새 을(乙)자를 했습니다. 새 을(乙)자도 엎드린 모양입니다. 비는 일은 자기를 낮추어 엎드려서 비는 것이지요. 산 우뚝 솟을 흘(屹), 질 낮은 명주실 흘(紇), 말더듬을 흘(吃), 날랠 흘(仡), 기쁠 흘(忔), 기뻐할 흘(扢), 거의 흘(汔), 쥐부스럼 흘(疙), 무거리 흘(籺), 몸 흔들릴 흘(肐), 벼룩 흘(虼), 발소리 날 흘(趷), 이를 흘(迄), 말머리장식 흘(釳), 배부르게 먹을 흘(䬣), 보리 싸라기 흘(麧), 깨물 흘(齕)자들은 빌 걸(乞)자가 들어 있어서 ‘흘’로 읽습니다.
訖
부탁할 탁(託)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부탁할 탁(乇)자를 했습니다. 부탁할 탁(乇)자는 풀잎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풀잎으로 점을 칠 때 풀잎을 따서 보고 점 풀이를 합니다. 풀잎이 부탁하는 대로 풀이를 한다는 뜻입니다. 풀잎을 통해서 신(神)이 인간(人間)에게 부탁(付託)하는 것을 알아내는 것이 점쟁이가 하는 일이었습니다.
託
기록할 기(記)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몸 기(己)자를 했습니다. 몸 기(己)자는 태아의 모양과도 같습니다. 뱀 사(巳)자와 이미 이(已)자는 모두 몸 기(己)자의 변형(變形)입니다. 모든 생명체의 잉태 당신 처음의 모습이 몸 기(己)자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記
물을 신(訙)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빨리 날 신(卂)자를 했습니다. 둥글 환(丸)자처럼 보이지만 이는 빨리 날 신(卂)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訙
온화할 은(訚,誾)자는 말씀 언(言)자에 문 문(門)자를 했습니다. 남의 집 문 앞에서 주인을 찾을 때에는 온화(溫和)한 말시를 사용하게 됩니다. 문(門) 앞에서 사용하는 말씨(言)라는 뜻을 가지고 만든 회의(懷疑) 글자입니다.
+
= 誾
믿을 신(䚱)자는 말씀 언(言)자에 작을 소(小)자를 했습니다. 말시가 작은 사람이 믿을 만 하다고 생각하는 글자입니다. 여기서 말시가 작다는 말은 큰 소리를 내지 않는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도 말씨가 적은 사람을 신뢰(信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이 많은 사람과 목소리가 큰 사람은 손해 보는 세상입니다.
+
= 䚱
꾸짖을 산(䚲)자는 말씀 언(言)자에 터럭 삼(彡)자를 했습니다. “비단결 같은 말”을 뜻하는 뜻합니다. 털은 부드럽고 결이 순합니다. 꾸짖을 때에는 부드러운 “비단결 같은 말” 말로 꾸짖으라는 교훈이 담겨 있는 글자입니다. 부드럽게 꾸짖으라는 뜻입니다.
+
= 䚲
그릇될 와(訛)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될 화(化)자를 했습니다. 될 화(化)자는 사람 인(人,亻)자에 비수 비(匕)자를 해서 사람이 칼에 찔려서 죽은 것을 뜻합니다. 주검으로 변한 것이야말로 큰 변화지요. 될 화(化)자는 변화를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움직일 와(吪), 후림새 와(囮)자는 될 화(化)자가 들어 있어서 ‘와’로 읽습니다.
訛
횡설수설할 분(訜)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나눌 분(分)자를 했습니다. 말이 조리가 없고 통일성이 없으면 횡설수설하는 것입니다. 말을 할 때는 일관성 있는 말을 해야 합니다. 이 말 저 말 해서 말이 주제가 나누어지면 횡성수설하는 말이 됩니다. 나눌 분(分)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칼 도(刀)자를 해서, 나눈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
= 訜
맞을 아(訝)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어금니 아(牙)자를 했습니다. 어금니는 아래 윗니가 잘 맞습니다. 잘 맞아야 음식물을 잘 씨을 수 있습니다. 어금니 아(牙)자는 어금니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어금니는 뿌리가 갈래가 져 있습니다.
訝
요사할 요(訞)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어릴 요(夭)자를 했습니다. 어릴 요(夭)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아이가 춤을 추며 노는 모양을 했습니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어린 아이의 상태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또 어릴 요(夭)자에서 머리 부분에 강조를 해서 머리가 크다는 뜻도 나타냈습니다.
+
= 訞
송사할 송(訟)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를 했습니다. 공변될 공(公)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사사로울 사(厶)자를 했습니다. 사사롭지 않고 여러 사람과 관련이 되는 공적이라는 표시로 여덟 팔(八)자를 했습니다. 소나무 송(松), 기릴 송(頌), 두려워서 당황할 송(彸)자들은 공변될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송’으로 읽습니다.
訟
하물며 신(訠)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끌 인(引)자를 했습니다. 끌 인(引)자는 활 궁(弓)자에 뚫을 곤(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뚫을 곤(丨)자는 활시위를 당긴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활을 쏘려고 시위를 당긴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하물며 신(矧)자도 끌 인(引)자가 들어 있어서 ‘신’으로 읽습니다.
+
= 訠
矧
읊을 음(訡)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이제 금(今)자를 했습니다. 이제 금(今)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ㄱ’자를 하여 지금까지 시간이 모여 쌓였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이제’라는 시점은 과거가 쌓인 시간입니다. 응달 음(陰), 읊을 음(吟), 흐릴 음(霒)자들은 이제 금(今)자가 들어 있어서 ‘음’으로 읽습니다.
訡
기뻐할 흔(訢)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도끼 근(斤)자는 도끼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기뻐할 흔(欣), 아침 흔(昕), 화끈거릴 흔(炘), 아름다울 흔(妡), 딴 곳에 갈 흔(庍), 기뻐할 흔(忻), 기쁠 흔(盺)자들은 도끼 근(斤)자가 들어 있어서 ‘흔’으로 읽습니다.
訢
이별할 결(訣)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깍지 결(夬)자를 했습니다. 깍지 결(夬)자는 활을 쏠 때 손가락을 보호할 목적으로 손가락에 끼는 도구입니다.
訣
말 삼가지 않을 효(訤)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효 효(爻)자를 했습니다. 효 효(爻)자는 세상의 변화의 이치를 밝히려는 학문(學問)인 주역(周易)에서 사용하는 변화의 기미를 알아차리는 산가치를 뜻합니다. 산가치의 모양을 보고 깨닫는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
= 訤
말 더듬을 눌(訥)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안 내(內)자를 했습니다. 안 내(內)자는 일정한 범위를 뜻하는 멀 경(冂)자에 들 입(入)자를 했습니다. 안 내(內)자는 일정한 범위 안인, 그 속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말 더듬을 눌(吶), 물에 담글 눌(抐), 살찔 눌(肭)자들은 안 내(內)자가 들어 있어서 ‘눌’로 읽습니다.
訥
허물 우(訦,訧)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머뭇거릴 유(冘)자나 더욱 우(尤)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머뭇거릴 유(冘)자는 더욱 우(尤)자의 모사(模寫)입니다. 머뭇거릴 유(冘)자는 춤을 추는 동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고, 더욱 우(尤)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큰 대(大)자에 오른쪽 다리가 더 길다는 뜻으로 오른쪽에 점 주(丶)자를 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訦
訧
남의 흠을 들추어낼 지(訨)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발 지(止)자를 했습니다. 발 지(止)자는 발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발 지(止)자는 멈출 지(止)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
= 訨
송사할 흉(訩)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흉할 흉(凶)자를 했습니다. 흉할 흉(凶)자는 그릇을 나타내는 입 벌릴 감(凵)자 안에 아묵서도 없는 ‘㐅’표를 해서 흉년이 들어 수확이 없음을 나타냈습니다.
+
= 訩
찾을 방(訪)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모 방(方)자는 모서리를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訪
믿을 신(訫)자는 말씀 언(言)자에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말과 마음은 믿어야 마땅한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말과 마음은 믿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믿음과 가장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 바로 말(言)과 마음(心)입니다.
+
= 訫
재빠를 초(訬)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적을 소(少)자를 했습니다. 적을 소(少)자는 작을 소(小)자에 삐침 별(丿)자를 해서 크기와 양(量)을 구별해서 사용한 글자입니다. 초 초(秒), 노략질할 초(抄), 볶을 초(炒), 끝 초(杪), 밭 거듭 갈 초(耖), 노략질할 초(鈔)자들은 적을 소(少)자가 들어 있어서 ‘초’로 읽습니다.
訬
베풀 설(設)자는 말씀 언(言)자에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창 수(殳)자는 전서(篆書)를 보면 창을 들고 있는 사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창 수(殳)자는 손(又)에 창(几)을 들고 있는 모양으로, 만드는 일을 나타냈습니다. 베풀 설(設)자는 말로 여러 가지 만드는 기초를 잡는 것을 뜻합니다.
設
다툴 현(訮)자는 말씀 언(言)자에 열 개(开)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열 개(开)자는 마음을 열어 숨김없이 말을 나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말로 다투는 데는 마음을 열어 말을 하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
= 訮
말로 억지 쓸 사(訯)자는 말씀 언(言)자에 미칠 급(及)자를 했습니다. 미칠 급(及)자는 사람 인(人)자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사람 인(人)자는 앞서가는 사람이고, 그 사람을 따라가서 붙잡았다는 뜻으로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말로 억지 쓴다는 말은 말꼬리를 잡고 늘어진다는 말입니다. 미칠 급(及)자는 말꼬리를 잡고 늘어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訯
어지러울 준(訰)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진칠 둔(屯)자를 했습니다. 진칠 둔(屯)자는 군사가 진을 친 모양을 나타낸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어지러울 준(訰)자는 진칠 둔(屯)자와 통운(通韻)입니다.
+
= 訰
허락할 허(許)자는 말씀 언(言)자에 한낮 오(午)자를 했습니다. 낮 오(午)자는 해 시계의 가운데 말뚝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낮 오(午)자는 시간을 표시하는 글자입니다. 허락할 허(許)자는 약속할 허(許)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허락할 허(許)자는 약속을 한 시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해시계의 막대 그림자를 지적해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다는 표시입니다.
許
기분이 좋을 억(訲)자는 말씀 언(言)자에 가운데 중(中)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는 한 가운데를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가운데 중(中)자는 맞힐 중(中)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기분 좋을 억(訲)자는 기분 좋은 말만 해서 듣고 싶은 말을 맞추었다는 뜻입니다.
訲
통변할 역(译yì訳,譯)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엿볼 역(睪)자를 했습니다. 엿볼 역(睪)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다행 행(幸)자를 해서 죄를 짓고 잡혀와 갇혀 있는 죄수를 몰래 엿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잡아온 죄인을 가두어 감추어 두었다는 뜻입니다. 통변할 역(译yì)자는 통변할 역(譯)자의 간체자(簡體字)이고, 통변할 역(訳)자는 통변할 역(譯)자의 약자(略字)입니다.
+
= 訳
譯
쾌할 치(䚳)자는 말씀 언(言)자에 가를 지(支)자를 했습니다. 가를 지(支)자는 열 십(十)자 아래에 손을 뜻하는 또 우(又)자를 해서 물건을 찢어 갈래를 만든다는 뜻도 있고, 손에 물건을 들고 지탱하도록 받침을 해놓는다는 뜻도 있습니다. 또 사람 몸의 팔 다리를 그린 글자로도 보입니다. 말의 갈래를 잡아서 잘 들으면 통쾌합니다. 쾌할 치(䚳)자는 말을 잘 정리해 들어서 통쾌한 마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䚳
성낼 월(䚴)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달 월(月)자는 달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䚴
꾀일 두(䚵)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말 두(斗)자를 했습니다. 말 두(斗)자는 곡식의 부피를 계량하는 도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䚵
꾸짖을 천(䚶)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하늘 천(天)자를 했습니다. 하늘 천(天)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큰 대(大)자 위에 한 일(一)자를 해서 사람 머리 위에 하늘이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
= 䚶
진실한 말 혜(䚷)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혜(兮)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혜(兮)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공교할 교(丂)자를 했습니다. 감탄문(感歎文)이 끝날 때 쓰는 어조사입니다. 문장의 끝에 어조사 혜(兮)자가 써 있으면 그 문장이 감탄문이라는 표시가 됩니다. 공교할 교(丂)자는 조각칼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미세한 부분까지 조각하기 위하여 섬세하게 구부려 놓은 조각칼입니다. 조각한 것이 너무너무 잘 만들어, 감탄을 금치 못한다는 뜻입니다.
+
= 䚷
착하게 말할 해(䚸)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끼일 개(介)자를 했습니다. 끼일 개(介)자는 사람 인(人)자 아래에 삐침 별(丿)자와 뚫을 곤(丨)자를 해서 둘 사이, 이쪽과 저쪽 사이에 끼인 모습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시새울 해(妎)자도 끼일 개(介)자가 들어 있어서 ‘해’로 읽습니다.
+
= 䚸
갖추어질 비(䚹)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견줄 비(比)자를 했습니다. 견줄 비(比)자는 사람이 한 방향을 보고 나란히 앉아 있는 모양입니다. 둘을 견주기에 매우 좋은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
= 䚹
노래 요(䚺)자는 말씀 언(言)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노래를 부르며 장단을 맞추어 손으로 무릎장단을 치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말에 리듬이 있으면 노래입니다.
+
= 䚺
노래 요(䚻)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도 달 월(月)자가 들어 있어서 ‘요’로 읽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장군 부(缶)자 위에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그릇인 장군을 빚어 만든다는 뜻으로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말을 빚어 만든다는 뜻으로 말씀 언(言)자 위에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노래 요(䚻)자는 노래 요(謠)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달 월(月)자는 그릇 요(䍃)자의 모사(模寫)입니다.
䚻
부끄러울 뉵(䚼)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수갑 축(丑)자를 했습니다. 수갑 축(丑)자는 수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수갑은 장갑입니다. 그리마 뉵(䖡), 코피 뉵(衄)자는 수갑 축(丑)자가 들어 잇어서 ‘뉵’으로 읽습니다.
+
= 䚼
소식 호(䚽)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털 모(毛)자를 했습니다. 털 모(毛)자는 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털 모(毛)자와 소식 호(䚽)자는 통운입니다.
+
= 䚽
생각할 임(䚾)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짐질 임(壬)자를 했습니다. 임금 왕(王)자처럼 보이지마는 임금 왕(王)자가 아니라, 짐질 임(壬)자입니다. 짊어질 임(壬)자는 짐을 짊어진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䚾
울음 그치지 않을 음(䚿)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하품 흠(欠)자를 했습니다. 하품 흠(欠)자는 하품을 할 때 입을 크게 벌리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마실 음(飮)자도 하품 흠(欠)자가 들어 있어서 ‘음’으로 읽습니다.
+
= 䚿
도리에 합당할 반(䛀)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되돌릴 반(反)자를 했습니다. 되돌릴 반(反)자는 손등을 나타내는 기슭 엄(厂)자에 손바닥을 표시하는 또 우(又)자를 해서 손바닥을 앞뒤로 뒤집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䛀
수다스러울 염(䛁)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나아갈 염(冄)자를 했습니다. 나아갈 염(冄,冉)자는 저울추와 반대편 저울 접시에 올려놓은 같은 무게의 물건 양쪽을 모두 그린 글자입니다. 또 짐승의 꼬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기도 합니다. 또는 걸어갈 때 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나타낸 글자 같기도 합니다. 곧 걸어가는 모양이겠지요.
䛁
누대 이름 이(䛂)자는 말씀 언(言)자에 되 (升)자를 했습니다. 되 승(升)자는 곡물의 부피를 재는 되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되 승(升)자는 오를 승(昇)자를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
= 䛂
사람이름 완(䛃)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으뜸 원(元)자를 했습니다. 으뜸 원(元)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높아서 으뜸임을 나타냈습니다. 완전할 완(完), 희롱할 완(玩), 완고할 완(頑), 관문이름 완(阮), 깎을 완(刓), 좋을 완(妧), 가파를 완(岏), 탐할 완(忨), 꺾을 완(抏), 둥글 완(輐)잗르은 으뜸 원(元)자가 들어 있어서 ‘완’으로 읽습니다.
+
= 䛃
기뻐할 흔(䜣,訢)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도끼 근(斤)자는 도끼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기뻐할 흔(欣), 아침 흔(昕), 화끈거릴 흔(炘)자들은 도끼 근(斤)자가 들어 있어서 ‘흔’으로 읽습니다.
+
= 訢
하소연할 소(訴)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물리칠 척(斥)자를 했습니다. 물리칠 척(斥)자는 도끼 근(斤)자에 점 주(丶)자를 해서 무기로 도끼를 사용해서 적을 물리쳤음을 나타냈습니다. 거슬러 올라갈 소(泝)자도 물리칠 척(斥)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訴
斥
은근히 알 치(訵)자는 말씀 언(言)자에 넉 사(四)자를 했습니다. 넉 사(四)자는 넉 사(亖)자를 90도 회전한 글자입니다. 넉 사(四)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은근히 알 치(訵)자에서 넉 사(四)자를 한 것은 바로가 아니라, 4단계나 거쳐서 은근히 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訵
꾸짖을 가(訶)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옳을 가(可)자를 했습니다. 옳을 가(可)자는 찬성한다는 뜻으로 입 구(口)자에 ‘ㄱ’같은 에움을 했습니다. 지금도 찬성한다는 표시로 ‘ㄱ’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할아버지께서 한약국을 하셨는데, 외상 주신 장부를 보면 갚은 사람 이름을 ‘ㄱ’자로 에워 놓으신 외할아버님의 장부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쓰는 말에도 ‘기역자’를 했다.’라고 말하면 그 사람은 제외해 놓았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ㄱ’자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자는 일종의 기호라는 인식을 할 수 있습니다. 옳을 가(可)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訶
말할 신(訷)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펼 신(申)자를 했습니다. 펼 신(申)자는 등뼈를 두 손으로 주물러서 곧게 펴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펼 신(申)자에서 뚫을 곤(丨)자는 등벼를 나타낸 글자이고 좌우(左右)로 한 글자는 손을 나타냈습니다. 납 신(申)자는 12지에서 원숭이를 뜻하고 거듭 신(申)자는 반복한다는 말입니다. 거듭 신(申)자의 뜻이 있는 것은 등뼈가 여러 뼈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서 생긴 뜻입니다. 말미암을 유(由), 첫째 갑(甲), 펼 신(申)자는 세 글자 모두 한꺼번에 익혀서 좋은 글자들입니다. 말미암을 유(由)자는 흙에서 싹이 뾰족하게 올라오는 그림이고, 첫째 갑(甲)자는 거북의 등껍질을 그린 글자이고, 펼 신(申)자는 사람의 등뼈를 두 손으로 주물러 펴는 그림입니다. 글자의 출발은 모두 다른 데서 시작했습니다.
+
= 訷
화평할 화(訸)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벼 화(禾)자를 했습니다. 벼 화(禾)자는 벼의 꽃이나, 벼가 익어서 구부러진 벼 이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화할 화(和)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
= 訸
꾀일 수(訹)자는 말씀 언(言)자에 차조 출(朮)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차조 출(朮)자는 새의 먹이입니다. 새에게 먹이를 주어 꾀이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차조 출(朮)자는 차조의 이삭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어려서 새를 덫으로 잡으려할 때 덫의 미끼로 좁쌀이나 조 이삭을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좁쌀이나 조 이삭으로 새를 꼬였던 것이지요.
訹
볼 진(診)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숱 많을 진(㐱)자를 했습니다. 숱이 많다는 말은 털이 촘촘하게 많이 났다는 뜻입니다. 사람 인(人)자 아래에 터럭 삼(彡)자를 해서 털이 촘촘하게 많이 나서 숱이 많음을 나타냈습니다.
診
주낼 주(註)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주(主)자를 했습니다. 임금 주(主)자는 등잔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람은 밝은 곳을 향하게 마련입니다. 향일성(向日性)이지요. 그래서 임금 주(主)자는 주인 주(主), 님 주(主)자 등으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註
증거 증(証)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발 지(止)자를 했습니다. 반듯하게 서 있는 자세를 나타냈습니다. 증세 증(症)자도 바를 정(正)자가 들어 있어서 ‘증’으로 읽습니다.
証
꾸짖을 후(訽)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글귀 구(句)자를 헸습니다. 글귀 구(句)자는 말을 표시하는 입 구(口)자를 싸안는 쌀 포(勹)자를 해서 말을 보충하는 것이 글이라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받는 말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글입니다. 따뜻하게 할 후(煦), 코 고는 소리 후(齁)자는 글귀 구(句)자가 들어 있어서 ‘후’로 읽습니다.
訽
헐뜯을 자(訾,訿)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이 차(此)자를 했습니다. 이 차(此)자는 발 지(止)자에 비수 비(匕)자를 했습니다. 발 지(止)자는 사람의 발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비수 비(匕)자는 비수의 뜻이 아니라, 발을 지시해서 가리키는 뜻이 있는 글자입니다. 또는 사람 인(人)자로 보아도 좋습니다. 이 차(此)자는 바로 사람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암컷 자(雌), 약할 자(啙), 흠 자(疵), 구차할 자(呰), 꾸짖을 자(呲), 쟁깃술 자(庛), 흉 자(玼), 흘깃 자(眦), 흘깃 자(眥), 지치 자(茈), 자황석 자(䂣)자들은 이 차(此)자가 들어 있어서 ‘자’로 읽습니다.
訾
우두커니 설 참(詀)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차지할 점(占)자를 했습니다. 차지할 점(占)자는 점 복(卜)자 아래에 입 구(口)를 했습니다. 여기서 점 복(卜)자는 차지한 땅에 내 것이라는 표시로 깃발을 꽂아 표시를 해놓은 모습이고, 입 구(口)자는 차지한 영토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우두커니 설 참(站)자도 차지할 점(占)자가 들어 있어서 ‘참’으로 읽습니다.
+
= 詀
주낼 고(詁)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세월이 많이 지난, 죽은(十) 입(口)을 표시해서 오래 되었음을 표시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무덤을 표시한 글자로 보기도 합니다.
詁
핑계 댈 부(詂)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줄 부(付)자를 했습니다. 줄 부(付)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마디 촌(寸)자는 손을 뜻합니다. 줄 대에는 손이 따라야 하는 일입니다. 받을 수(受)자와 줄 수(授)자를 비교해 보면 주는 일에 손이 하나 더 들어 있음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 詂
꾀일 견(詃)자는 말씀 언(言)자에 검을 현(玄)자를 했습니다. 검을 현(玄)자에서 돼지해 밑 두(亠)자는 땅 밑에 곤충이 꼬리를 박고 알을 낳는 모습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에서 땅 밑을 나타냈습니다. 작을 요(幺)자는 곤충의 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검을 현(玄)자는 두 돼지해 밑 두(亠)자와 작을 요(幺)자가 합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꾀일 견(詃)자에서 검을 현(玄)자를 한 것은 곤충이 알을 낳아 놓을 때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눈에 띠지 않게 하려고 요러가지 속임수를 슨다는 점을 글자에 나타냈습니다. 그래서 꾀일 견(詃)자는 속일 견(詃)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詃
잊을 질(詄)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잃을 실(失)자는 했습니다. 잃을 실(失)자는 사람 인(人)자에서 머리에 해당하는 윗부분에 ‘𠂉’자를 해서 머리가 없어졌음을 나타냈습니다. 곧 죽었다는 뜻입니다.
詄
팔 령(詅)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영 령(令)자를 했습니다. 영 령(令)자는 공손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서 영(令)을 받는 사람의 자세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합할 집(亼)자는 영(令)을 받는 사람이 어렷임을 나타낸 글자이고 병부 절(㔾)자는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영(令)을 받는 자세를 나타냈습니다.
+
= 詅
꾸짖을 저(詆)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근본 저(氐)자를 했습니다. 근본 저(氐)자는 아이를 밴 그림인 상형(象形) 글자, 각시 씨(氏)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해서 사람이 태어나는 근본을 가리켰습니다.
詆
슬기로울 앙(詇)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가운데 앙(央)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앙(央)자는 사람을 뜻하는 큰 대(大)자에 좌우(左右)를 동형(同形)으로 해서 획을 가하여, 한가운데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詇
꾸짖을 리(詈)자는 말씀 언(言)자에 그물 망(罒)자를 했습니다. 꾸짖는 것은 말로 그물을 치는 것입니다. 관념을 현상적(現象的)으로 잘 표현한 글자입니다. 꾸짖는다는 것은 바로 잘못한 것을 금지하기 때문입니다.
詈
떠들썩할 노(詉)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종 노(奴)자를 했습니다. 종 노(奴)자는 여자 여(女)자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또 우(又)자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종 노(奴)자는 잡힌 여자입니다. 잡혀서 시키는 대로 일을 해야 하는 여자이지요. 일할 로(勞)자는 불 화(火)자 두 개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열나게 일을 하는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힘쓸 노(努)자는 종 노(奴)자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종이기 때문에 억지로 힘을 써서 일을 하는 심리적 상태를 표시했습니다. 일하는 것이 힘쓰는 일이기도 하지만 억지로 하는 일은 힘을 써야 합니다. 하기 싫은 일을 힘을 들여서 하는 것에는 힘쓸 노(努)자를 쓰고 그저 힘이 드는 일에는 일할 로(勞)자를 씁니다. 공부에 노력(努力)한다는 노력(努力)은 노력(勞力)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노동(勞動)은 노동(努動)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
= 詉
말 잘 할 반(詊)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반 반(半)자를 했습니다. 반 반(半)자는 글자의 좌우(左右)를 똑같이 나누어 쓴 글자입니다. 글자가 자체가 정확하게 반을 나타내지요.
+
= 詊
빌 주(詋,呪)자는 말씀 언(言)자에 맏 형(兄)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맏 형(兄)자를 한 것은 첫째 아들의 이름으로 제사 때에 축문을 올리기 때문입니다. 제사를 지내는 제주(祭主)가 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
= 詋
다물 감(詌)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달 감(甘)자를 했습니다. 달 감(甘)자는 입 구(口)자 안에 한 일(一)자를 해서 혀를 내밀고 있는 입을 그렸습니다. 달 감(甘)자는 단 맛을 잊지 못해 혀를 내밀고 있는 글자입니다. 달 감(甘)자는 입 구(口)자에 한 일(一)자를 더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詌
수다스러울 예(詍)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대 세(世)자를 했습니다. 대 세(卋,世)자는 열 십(十)자 세 개를 붙여 놓은 글자입니다.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사람의 수명을 기준으로 볼 때 30년이 한 시대입니다. 3개의 30년이면 인생 한 세상 모두입니다. 세상을 숫자 개념으로 표시한 글자입니다. ‘卋’자와 ‘世’자는 모두 열 십(十)자를 세 개 겹쳐 놓은 글자인데, 모양만 조금 변형을 했습니다. 수다스러울 예(呭), 예(怈), 옥돌 예(玴), 수다스러울 예(詍), 넘을 예(跇), 조위 안장 예(靾)자들은 대 세(世)자가 들어 있어서 ‘예’로 읽습니다.
詍
어찌 거(詎)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클 거(巨)자를 했습니다. 클 거(巨)자는 머리와 꼬리를 잘라나고, 가운데 가장 큰 토막을 나타냈습니다. 클 거(巨)자는 가운데 토막을 가리키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詎
거스를 요(詏)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어릴 유(幼)자를 했습니다. 어릴 유(幼)자는 작을 요(幺)자에 힘 력(力)자를 해서 힘이 약하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작을 요(幺)자는 곤충의 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힘 력(力)자는 어깨를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지금도 힘을 자랑삼아 쓰는 깡패를 어깨라고 합니다.
+
= 詏
속일 사(詐)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잠깐 사(乍)자를 했습니다. 잠깐 사(乍)자의 갑골 문자를 보면 비수 비(匕)자 안에 에운 그림(∨)을 그려서 물건에 비수 비(匕)로 흠을 내서 표시를 한 모양을 그렸습니다. 무엇을 만들 때 칼을 사용해서 깎고 다듬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또는 비수 비(匕)자를 망할 망(亡)자로 보아 죽은 사람을 잠시 받쳐놓아서 잠깐 살아 있는 사람처럼 한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詐
자랑할 이(詑)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다를 타(它)자를 했습니다. 다를 타(它)자는 뱀 타(它)자로도 읽습니다. 뱀이 여러 종류래서 다르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다를 타(它)자는 집 면(宀)자나 비수 비(匕)자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단순히 뱀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일 뿐입니다. 다를 타(他)자는 사람 인(人)자 변에 어조사 야(也)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야(也)자도 뱀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늦출 이(弛), 주전자 이(匜), 이구릉이름 (崺), 나무이름 이(杝), 찢을 이(肔), 옷 선 이(衪), 비스듬할 이(迆), 비스듬할 이(迤), 비스듬할 이(陁), 술 이(酏)자들은 어조사 야(也)자나 다를 타(它)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詑
보낼 이(詒)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별 태(台)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는 별이 빛나는 모양을 표시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기쁠 이(怡), 엿 이(飴), 끼칠 이(貽), 미련스러울 이(佁), 땅이름 이(眙)자들은 별 태(台)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詒
숨소리 거(詓)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갈 거(去)자를 했습니다. 갈 거(去)자는 다리를 벌리고 걷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갈 거(去)자는 걸을 때 보폭을 나타냈습니다.
+
= 詓
고할 조(詔)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부를 소(召)자를 했습니다. 부를 소(召)자는 칼 도(刀)자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사람을 부를 때 손짓을 하고 소리를 질러 부릅니다. 칼 도(刀)자는 칼을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손을 표시한 글자이고, 입 구(口)자는 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비출 조(照), 참매미 조(蛁), 새로 길들인 말 조(駋)자들은 부를 소(召)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詔
꼲을 평(評)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평평할 평(平)자를 했습니다. 평평할 평(平)자는 좌우(左右)가 동형(同形)으로 균형이 맞아 평화로움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기우는 곳이 없이 평평함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꼲는다’는 말은 능력을 측정하여 우열을 가리는 것을 곦는다고 합니다.
+
= 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