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팔자(四柱八子) 원리
◇ 10천간(天干)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1 2 3 4 5 6 7 8 9 10
◇ 12지지(地支)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1 2 3 4 5 6 7 8 9 10 11 12
♧ 음양
ㆍ양: 목 화 갑 을 병 정
ㆍ토: 무기
ㆍ음: 금 수 경 신 임 계
ㆍ양: 목 화 갑 병 무 경 임
인 진 사 신 술 해
ㆍ중립: 토
ㆍ음: 금 수 을 정 기 신 계
묘 오 미 유 자 축
♧ 오행
ㆍ木火土金水(목화토금수)
ㆍ相生(상생)
목生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ㆍ相剋(상극)
목剋토 화극금 토극수 금극목 수극화
♧ 간지(干支) 기둥(柱)
ㆍ양간지는 귀(명예)를 추구, 이상, 사상,
나의 생각, 정신, 개인적 능력
ㆍ음간지는 부(재물)을 추구, 현실, 실속,
나의 상황, 배경
ㆍ초년운 년간(조부) 년지(조모) 공전 조상궁
ㆍ청년운 월간(부) 월지(모) 계절 부모궁
ㆍ장년운 일간(나) 일지(배우자) 자전운동
ㆍ노년운 시간(자녀) 시지(자녀배우자) 밤낮 자녀궁
ㆍ甲(양간) 乙(음간) (木) 초록
ㆍ丙(양) 丁(음) (火) 빨깅
ㆍ戊(양) 己(음) (土) 노랑
ㆍ庚(양) 辛(음) (金) 흰색
ㆍ壬(양) 癸(음) (水) 검정
ㆍ甲 큰나무, 나무목부수(木)
ㆍ乙 화초, 꽃, 난초, 넝쿨, 새, 풀초부수(草)
ㆍ丙 해, 태양, 날일부수(日)
ㆍ丁 촛불, 열에너지, 불화(火)
ㆍ戊 큰 산, 큰 토, 대토, 뫼산(山), 언덕부(阜)
ㆍ己 땅, 논, 옥토, 정원, 농토, 들, 밭전(田)
ㆍ庚 바위, 쇳덩이, 원석, 큰돌, 큰쇠, 옥돌, 실금부수(), 돌석(石)
ㆍ辛 보석, 칼, 구술옥부수(玉)
ㆍ壬 큰 바다, 큰물, 물수(水)
ㆍ癸 안개, 비, 작은물, 비우(雨)
ㅡ 시작 생지(生地)
ㆍ寅巳申亥
ㅡ 절정 도달 왕지(旺地)
ㆍ卯午酉子
ㅡ 끝날때 정리, 창고, 묘지(墓地), 고지(庫地), 묘고(墓庫), 환절기, 계절을 마무리, 갈무리, 잠재적 능력이 풍부, 복합적 기운을 가짐, 과거 정리와 미래를 준비, 중용, 분주, 중재자 다리 역할, 울타리 경계,
ㆍ辰(양)봄 습토(濕土) 3월옥토기름진땅
ㆍ未(음)여름 건토(乾土) 6월
ㆍ戌(양)가을 건토(乾土) 9월
ㆍ丑(음)겨울 습토(濕土) 12월
※ 습토는 축축한땅 물(수) 癸
※ 건토는 마른땅 불(화) 丁
※ 옥토는 기름진땅
♧ 사주를 조후로 보고 판단
※ 조후는 한난조습(寒暖燥濕)
ㆍ한: 金 水, 庚辛壬癸(경신임계)
ㆍ난: 火, 丙(火, 태양) 丁(火, 불)
ㆍ조: 火, 戊(土) 戌(土) 未土) 무술미
ㆍ습: 水, 己(土) 辰(土) 丑(土) 기진축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ㆍ자연은 대우주, 인체는 소우주
ㆍ생명체를 품는 것은 木火土金水(목화토금수) 중에 甲乙(갑을)木(목)이 유일하다.
ㆍ庚辛(경신, 金)이 생명을 얻으려면 매우 까다롭다,
ㆍ천간지지의 22글자 한자의 뜻을 아는게 중요(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60갑자(갑골문, 소적, 금문)가 된다.
ㅡㅡㅡㅡㅡㅡㅡ
ㆍ초봄(초목)에 태어난 사람은
辰(土) 濕(土)축축한땅 노란색, 천간의 丙(火해)가 1등 丁(火지열) 2등 지지의 巳(火) 午(火) 글자가 오는게 좋다.
지열보다 햇빛으로 초목을 키우는게 더 좋다.
봄판에는 못자리 물만 필요함
봄에는 甲乙갑을 (木)이 싹이된다.
嫩(연약할 눈, 어릴눈, 예뿔눈, 고울눈) 눈목 嫩(木)을 자른다.
庚辛(경신金) 申酉(신유金)은 싹(甲乙寅卯 木)을 자르게 되어 안 좋다(쇠는 생명을 잘라 죽인다)
ㆍ봄(1,2,3월)에 태어났지만 경신신유(金)을 가지고 있으면 의로울순 있어도 성격이 까다롭다.
ㆍ4,5,6월 여름에 태어나면
자연에서 필요한게 물이다.
壬癸(水)가 필요
6월에 태어나면
壬癸(水) 亥子(水)濕(土)가 필요하다.
未(土) 乾(土), 戌(土) 乾(土)물을 못들어 오게 한다.
ㆍ신유술(土) 가을에 태어나면 금(庚辛 申酉)이 강하면 당연히 화(丙丁 巳午)가 꼭 필요하다(火克金,화극금) 화가 없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ㆍ곡식(가을 금)은 따뜻한 태양이 내리 쬐어야만 자랄 수 있다(금은 불속에서 커야 한다)
날씨가 추워지니 때뜻한 불이 필요하다
ㆍ물이 아주 많은 겨울10, 11, 12, 亥(水)子(水)丑(土) 해자축 습濕(土)에 태어난 사람은
水가 병이면 물을 막는 戊(土)가 필요하다(土가 대게 약으로 쓰임), 그 다음 따뜻해지는 丙丁巳午(火)가 필요하다
이름자나 아호에 土가 들어가야 한다.
※ 자원오행: 이름(아호)를 짓는 방법
ㆍ글자가 가지고 있는 본바탕을 최우선으로 하고
본인이 필요한 에너지가 뭔지 체크한다.
ㆍ土 佳(아름다울 가) 土가 두개
ㆍ火 營(경영할 영) = 熒(등불형)+ 宮(궁궐궁),
營은 火(불화)가 세개
ㆍ겨울철에 태어 났으면 습도가 안들어 와야한다. 乾(土)가 좋다
ㆍ반대로 여름생이 乾(土)가 들어오면 丁(火)의 기운으로 더 더워지게 되고 물이 들어 오지 못하게 막아 버린다.
ㆍ봄 여름에 태어나면 조(무술미)이 안 들어와야 함, 濕(土)가 오면 좋다
ㆍ가을 겨울에 태어나면 습(기진축)이 안 들어와야 함, 乾(土)가 오면 좋다
ㅡㅡㅡㅡㅡㅡㅡ
♧ 天(하늘)
ㆍ정신을 받는 父情(부정): 춘하추동, 희노애락
◇ 원형이정: 하늘이 갖추고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4가지 덕
ㆍ元:으뜸원
ㆍ亨:형통할형
ㆍ利:이로울리
ㆍ貞:곧을정
◇ 4시: 눈에 보이는 4계절
ㆍ春
ㆍ夏
ㆍ秋
ㆍ冬
◇ 人(인, 사람): 성정(본성+감정), 눈에 보이지 않는 인의예지(본성)를 받음 ㅡ 喜怒哀樂(희노애락): 감정(기쁘고 성내고 슬프고 즐겁고)
※ 仁義禮智
1. 측은지심: 불쌍히 여기는 마음 仁(어질 인)
2. 사양지심: 겸손히 남에게사양하는 마음 禮(예절 예)
3.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智(지혜 지)
4. 수오지심: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義(옳을 의)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地(땅)
ㆍ육신을 받는 母血(모혈): 수화목금토, 간심비폐신
◇ 4方
ㆍ東西南北(동서남북)
ㆍ오행 수화목금토
♧ 人(사람)은 前後左右(전후좌우)를 받았다(있다). 上下(상하가를 가지며 입체가 肉身(육신)이며 이것을 오행으로 보면
ㆍ오장육부의 뜻으로 나타내는: 肝心脾肺腎(간심비폐신)
ㅡㅡㅡㅡㅡㅡ
ㆍ寅(양) 卯(음) (木) - 辰(土) 봄의 기운, 어린 아이
푸릇푸릇 새싹이 돋아나듯이 새로 시작, 도전, 전진, 위로 뚫고 올라오고, 끝없이 성장
이 기운이 없으면 시작과 도전 하는데 두려움이 심하다
ㆍ巳(양) 午(음) (火) - 未(土) 여름, 청소년, 청년
발산, 가지가 생기고 나뭇잎이 무성해짐
이 기운이 없으면
ㆍ申(양) 酉(음) (金) - 戌(土) 가을, 장년, 중년
수축, 숙성, 결실, 수확, 실리적인 전문가
이 기운이 없으면
ㆍ亥(양) 子(음) (水) - 丑(土) 겨울, 말년, 노인
휴지기, 멈춤, 땅속으로 숨음, 얼어 있음, 새싹을 튀울 날을 기다림, 겨울생 아이는 애어른 같으며 저축도 잘함
이 기운이 없으면 쉬는 방법을 모른다
ㅡㅡㅡㅡㅡㅡ
ㆍ인묘진 봄 초록 파랑 ㅡ 씨를 뿌리고 노력해도 얻는게 없다
ㆍ사오미 여름 빨강 ㅡ 기르고 노력한 만큼 얻는게 적다
ㆍ신유술 가을 흰색 ㅡ 노력하면 거두어 들여 보다 얻는게 많다
ㆍ해자축 겨울 검정 ㅡ 노력해도끝이 없고 소용없고 얻는게 없다
ㅡㅡㅡㅡㅡㅡ
♧ 십성(十聖)
◇ 대운에서 조심할(인생의 큰일) 십성은?
※ 편인, 편관, 상관, 겁재가 있으면 인생에 큰일이 많거나 있을 경우가 높다
※ 정인, 정관, 편재, 정재, 식신, 비견이 올 경우 큰일이 적거나 없을 경우가 높다
ㆍ편인 ㅡ> 식신을 도식 시킴(밥그릇 업는다/집밥)
ㆍ편관 ㅡ> 일간을 괴롭힘(건강, 스트레스조심)
ㆍ상관 ㅡ> 정관을 경관시킴(명예, 구설 시비)
ㆍ겁재 ㅡ> 정재를 분탈시킴(재물 손실 조심)
※ 비겁(비견, 겁재)
◇ 비견
1~2개 시 주장, 뚝심, 주관, 자수성가
◇ 겁재
1~2 시 고집, 경쟁심, 승부욕, 주장이 아주 강함
※ 식상(식신, 상관)
3개이상 시 빨리빨리 이것 저것 조금식 하고 한곳에 오래 집중 못함, 느리면 답답해 함
식상이 없으면 갈등, 감정 표출 및 꼭 필요한 말을 못함, 재주와 일 머리가 없다
◇ 식신
1~2개 시 전문성(한 우물만 깊게 팜), 손재주, 그림, 창작, 실력
◇ 상관
1~2개 시 화술에 능함, 교사, 영업, 창의성,
※ 인성(정인, 편인)
생각이 많아 행동의 제약이 올 만큼 뭘 못함, 지식 등 in put은 잘 되나 out put 안됨,
인성이 없으면
◇ 정인
호감형, 귀여운 인상, 대인관계 폭 넓고, 있는 그대로 사람을 보고, 한번 마음에 들면 간도 쓸개도 준다. 지식 추구형
◇ 편인
섣불리 사람을 믿지 않음, 경계, 정신적 성숙한 삶 추구
※ 관성(정관, 편관)
통제의 힘
중압감 책임 체면으로 피곤 과중과로, 일간을 극하는 게 많아 건강 악화
관이 없으면 나의 통제 규율이 없어 사고방식이 자유로우나 선을 넘는 행동으로 조직과 어울리기 힘듬 외국기업, 관공서, 대기업에 취직이 용이하고 텃치 당하기를 싫어하고 호불호도 명확하다
◇ 정관
안정적인 것 선호, 합리적 사고력,
◇ 편관
책임감, 원리원칙주의,
※ 재성(정재, 편재)
정재 편재가 함께 있으면 인생 한방이라고 생각, 돈이 돈을 벌게함
재성이 없으면 현실성이 떨어짐, 경제관념 떨어짐, 뒷 마무리나 결과 완성도 떨어짐, 심하면 선택장애 있음
◇ 정재
꼼꼼하고 저축하는 유형, 알뜰살뜰,
◇ 편재
재화 활용 능력 뛰어남, 규모 큰 사업가
ㆍ비견/일간과 오행과 음양이 같다.
ㆍ겁재/일간과 오행은 같고, 음양이 다르다.
ㆍ식신/일간이 생한 오행, 음양이 같다.
ㆍ상관/일간이 생한 오행, 음양이 다르다.
ㆍ편재/일간이 극한 오행, 음양이 같다.
ㆍ정재/일간이 극한 오행, 음양이 다르다.
ㆍ편관/일간을 극한 오행, 음양이 같다.
ㆍ정관/일간을 극한 오행, 음양이 다르다.
ㆍ편인/일간을 생한 오행, 음양이 같다.
ㆍ정인/일간을 생한 오행, 음양이 다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무식상 인성다자는
말 주변 없고 행하는데 긴 시간 요함
+식상다자는 말이나 행동이 먼저 나감, 리드하고 애정 표현 많음.
※ 비겁다자는 고집 많고 자존심 크고
+비겁다자 서로 트러블 충돌 많음
ㆍ사주를 알면 미워하기 보다 이해하게 된다
♧ 신살
※ 인생이 순탄치 않은 경우
◇ 양인살(월살 밑에)
◇ 백호살(일주 밑에) 괴강살
ㆍ합과 충의 변화에 의해 좋거나 안좋게 발현되기도 한다.
ㆍ자기 기운이 뿜어져 나오는 경우다.
ㆍ수장이 되는 기운으로 고독할수 있다.
※ 업상 대체
ㆍ일주 밑에 양인 백호/월주 밑에 양인살/월주와 시주 밑에도 백호살 괴강살이 있으면 센 직업(군, 검, 경, 의료, 종교)을 가져야 한다.
ㆍ양인살은 운동 선수, 보안검색 직업 등
◇ 고란살(일주 밑에)
ㆍ배우자와 문제 외로움, 배우자에 정성(존중, 배려, 타협)을 쏟아야 한다
◇ 도화살(子卯酉)
ㆍ자기 개성이 뚜렷하다.
ㆍ지지에 子卯酉가 있으면 모두 있으면
개성을 내세워 주목 받을 수 있는 직업으로 업상대체 해야 좋다.
ㆍ형살로 작동 하게 되면
(관재, 구설, 수술, 사건, 사고)
◇ 지지에(寅巳申)
ㆍ첫 시작의 기운
ㆍ자기가 무엇을 해야 할지 모름
ㆍ삶이 무엇 때문에 힘든지 모름
ㆍ좌충우돌 사건 사고 많다
ㆍ권력형 조직 직업의 업상대체가 좋다.
◇ 지지에(丑戌未) 모두 있으면 센 직업으로 업상대체가 좋다.
ㆍ많이 돌아다니는 직업이 좋다. 해외출장 등
◇ 식신 위아래로 편인이 포진되어 극을 받고 있으면 대운이나 세운에서 식신이 없는거나 마찬가지다.
◇ 혼인하기 힘든 어려운 사주
※ 비겁신강 사주
ㆍ여명: 관성 극화(무관 사주는 영향없다) 자주독립의 의지가 강해 늦게 혼일하려는 생각이 강함
ㆍ남명: 재성 극화(무관 사주는 일찍 결혼을 하려는게 강함)
※ 일지(관, 재) 절지에 놓이면
※ 일지에 충파가 많고
지지에 충파가 많으면
◇ 혼인을 아예 못하는 인연이 없는 사주
※ 진정한 성직자, 법정스님, 성철스님, 김수환 추기경 등
ㆍ신강하고 무재 사주는 결혼이 힘들다
ㆍ불량 성직자 중에 재가 많으면 잿밥에 관심이 많다.
◇ 혼인을 유지하기 힘든 사주
ㆍ길신: 용신, 희신
ㆍ흉신: 기신, 구신, 한신
(인성과 식신이 기구한이 들어오면 혼인이 힘들다)
ㆍ편인(기구한)이 많은 사주는 결혼도 유지 하기도 힘들다.
ㆍ편인이 많으면 천재적이고 자기 중심적 외골수다, 사시적(비판적, 부정적)이다. 관을 깨고 식상을 깬다. 여명의 경우 자식도 없고, 몰두하여 성공하기는 좋다.
애뜻함이 없이 부부생활을 삶의 일정 부속품(부분)으로 생각한다. 해로 자체를 논할수 없다. 피카소 고호 베토벤 등
월지에 비겁이 신깅하고 식상이 혼잡한 경우
관성 재성이 공망이 들어온 경우
과다에 대한 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