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임 교사 시절은 교단생활 중에서 그야말로 최악의 시절이었습니다.
학습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 한번 치려면
흔히 ‘가리방(がり版)’이라고 하는 등사판이라는 것을 직접 사용해야 했습니다.
기름종이에 철필로 써서 등사 잉크를 묻혀 하나하나 손으로 밀어 찍어내야 했습니다.
그러다가 옵세트 인쇄기가 나와서 손으로 쓴 것을 복사해서 활용하였고,
그 후 한참 지나서 컴퓨터(물론 이전에는 워드프로세서라는 것이 있었지만 거의 비슷한 시기였다)를 활용했거든요.
그때 많은 선후배 교사들로부터 들은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시험 문제를 출제하면서 점독(글자와 구두점까지 읽는 것)을 하면서
문제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교사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어서 가르치다 보면 답에 대한 의견이 다를 때도 있거든요.
필자도 아주 사소한 일로 문제를 출제하다가 다툰 적이 있습니다.
바로 “답을 ( ) 안에 쓰시오.”라고 해야 하는지 “답을 ( ) 속에 쓰시오.”라고 해야 하는지...
그때 동학년을 담당했던 분들 끼리 충돌이 일어났습니다.
얼핏 보기에는 둘 중의 하나를 써도 좋을 것 같은데,
생각하기에 따라 ‘안’이 맞는 것 같기도 하고,
또 다시 보면 ‘속’도 틀리지 않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서로 반대말을 비교해 보면 이해하기 쉽더라구요.
♧'안' <=> '밖' ♧'속' <=> '겉'
이렇게 상대어를 보면 쉽게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안’과 ‘속’을 동의어로 보는 사전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안’을 찾아보면
“1. 속(물체의 안쪽 중심부분), 2. 내부(물건이나 공간의 안쪽 부분), 3. 가운데(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한 복판)”
이라고 나타나 있습니다.
그래서 “팔은 안으로 굽더라고 역시 내심으로는 서희를 위해 걱정되는 모양이라 생각하고 길상은 속으로 미소한다"
.(박경리, <토지> 중에서)”
이 예문을 보면 ‘안으로 굽는다’와 ‘속으로 미소한다’는 말이 나옵니다. 여기서 ‘안’과 ‘속’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지요.
우선 ‘안’은 1,2차원적 선으로 추상화할 수 있는 사물의 한 부분은 가리킵니다.
그냥 평면적인 선을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터널 안, 10년 안, 네모 안, 울타리 안' 등과 같이 쓸 수 있거든요.
한편 속은 ‘안’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면서 좀더 폭 넓게 사용됩니다.
‘속’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물체의 안쪽의 중심”이라고 나타나 있다.
또한 “어떤 현상이나 상황의 안이나 가운데, 어떤 이야기나 영화의 내용”이라고 나타나 있다.
예문으로는
"주머니 속에는 전세계약금이 들어 있다."
"속 빈 강정이란 말이 있더니 네놈이 그렇구나."
"멀미가 심해 속이 올각올각한다."
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속'은 입체적인 3차원의 것에 어울린다는 말이지요.
예를 들면 '사과 속. 머릿속, 바다 속, 땅속, 물속' 등과 같습니다.
사람들은 뭔가 힘든 일을 당하면 ‘속상하다’고 표현합니다.
이런 경우에도 ‘안이 상하다’라고 표현하지는 않잖아요.
속은 꽉 차야 어울립니다. 배추 속, 머릿속 등은 꽉 차 있어야 합니다.
‘머릿속이 빈 사람’은 세상에서 대우받지 못하잖아요.
이런 사람을 보고 ‘머리 안이 비었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한편 '안'은 평면적인 공간이면서 비어 있어도 됩니다.
'버스 안, 집 안, 방 안' 등은 비어 있어도 상관 없거든요.(김경원, <국어실력이 밥먹여준다>에서 발췌)
어떤 단어가 있을 때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제일 좋은 방법은 사전을 찾는 것이고,
그것도 귀찮을 때는 반대말을 알아보면 그 의미가 명확해질 때가 있습니다.
단어의 의미는 상대어, 유사어, 반의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면 명확해지니까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