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古人)의 공안상에 복탁(卜度)을 하지 말어라. / 송담 큰스님
전강 큰스님
법문 가운데에 모다 인경양구탈(人境兩俱奪)이니
모다 그런 어려운 말씀들이 나와서 잘 이해가 안 되실 분
계실 줄 생각합니다마는
쥐가 괴밥을 먹었다.
또 밥그릇이 이미 깨졌다.
이런 것도 전부 이 공안에 해당된 말씀입니다.
여러 신도님들 가운데에 설사 이러한 뜻이
무슨 뜻인가 알지 못하신다 하더라도 하나도 걱정하실 것이 없습니다.
또는 뿐만 아니라 억지로
그것을 무슨 뜻인가 알려고 하실 것이 없습니다.
다못 자기의 본참화두 '이뭣고?'를 하신 분은 '이뭣고?
'판치생모'를 하신 분은 '판치생모'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해서 열심히 화두를 거각하고
정진을 할 따름인 것입니다.
고인의 그러한 공안 · 화두에 대해서
이리저리 따져서 알아보려고 하고 이런 것은
우리의 공부를 지연시키고 시간을 낭비하는 것뿐인 것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전강) 조실 스님께서는 그러한 공안에
대해서 말씀을 하셨을까?
이것은
이러한 공안을 우리 앞에 제출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더욱 분심을 내고, 신심을 내서 자기의 본참화두에
대의단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인 것입니다.
언제나 (전강)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고인의 공안상에 복탁(卜度)을 하지 말어라'
공안이 천칠백 공안이나 있습니다.
문헌에 오른 것만 하더라도.
그 많은 공안에 대해서 우리는 어록을 본다든지
어떤 큰스님네 법문을 들을 때에 가끔 그런 공안을
대중을 향해서 물으신 경우를 만납니다.
자기의 본참공안을 투철히 타파하지 못한 경우에는
결정코 다른 공안에 대해서 손을 댈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깨닫지 못한 분상에 이론적으로
그 공안을 이리 뒤적거리고, 저리 더듬어서
그럴싸한 답을 내려고 해 본댔자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일호 이익이 없는 일인 것입니다.
그래서 조실 스님께서 법문하실 때 어떤 공안에 대해서
그 대중을 향해서 '한마디 일르라'고
그렇게 그 고함을 치신다 하더라도 그러실 수록에
우리는 대분심과 대의심으로
자기의 본참공안에 철저해야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염화실
첫댓글
복탁(卜度)
속정俗情의 世念으로 의심하고 헤아리며 의논하거나 혹 해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