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에 제작된 이 삽화에서는 구텐베르크가 수염을 길게 늘어뜨린 모습이지만 그의 실제 모습은 알 수 없다. 구텐베르크는 초상화 제작을 의뢰하지 않았다. |
|
근대인은 인쇄가 낳은 ‘구텐베르크 인간’
구텐베르크는 각종 ‘세상을 바꾼 100대 인물’ 목록에 항상 너끈히 들어간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바퀴나 종이 이래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라는 인식에서다. 1999년 시사 주간지 타임은 그를 ‘밀레니엄 인물(Man of the Millennium)’로 선정했다.
캐나다의 문명 비평가 마셜 맥루언(1911~80)은 자신의 저서
|
구텐베르크가 언제 태어났는지 정확한 출생 연도를 알 수 없다. 편의상 1400년을 그의 출생 연도로 삼는다. 1900년 구텐베르크 탄생 500주년을 맞아 30만 명의 사람이 기념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마인츠를 방문했다. 독일은 1540년부터 인쇄술 발명 100주년을 기념했다. 그러나 구텐베르크를 기념 행사의 중심에 두게 된 것은 프랑스 혁명 이후다. 발명과 발명가를 연관 지어 생각하는 습관은 그리 오래된 습관이 아닌 것이다.
구텐베르크의 가문은 마인츠에서 ‘파트리치어(Patrizier)’라 불리는 세습 지배 계급에 속했다. 그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재판 기록, 금전 거래 기록 등을 통해 추정하는 수밖에 없다. 그는 결혼하지 않았으며 후손을 남기지 않았다. 슈트라스부르크(오늘날의 스트라스부르)에 사는 어떤 여자가 결혼 약속을 어긴 그를 고소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의 어린 시절이나 그가 받은 교육에 대해서도 알 수 없다. 당시 구텐베르크가 속했던 계층의 일반적인 교육 방식으로 보아 아마도 신학교나 수녀원의 부속 학교를 졸업하고 에르푸르트대학에 입학했을 것이다.
젊었을 때 구텐베르크는 금속·보석 세공 기술을 배우며 주형(鑄型)에 대해 알게 됐을 것이다. 그가 살던 마인츠와 슈트라스부르크는 마침 와인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구텐베르크는 포도와 와인을 좋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포도즙을 짜는 와인 프레스(wine press)에 대해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와인 프레스는 인쇄기 제작에 응용됐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 인쇄술이 서양만큼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와인을 마시지 않아서’라는 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1439년 구텐베르크는 아헨으로 몰려드는 순례자들에게 ‘순례용 거울’을 제작해 팔았다. 인파에 가려 순례자들은 성인·순교자들의 유해 등 성물(聖物)을 잘 볼 수 없었다. 그들은 머리 위로 거울을 올려 성물을 비추었다. 성물이 거울에 비치면 그 기운을 고향으로 담아 갈 수 있다는 미신도 있었다. 구텐베르크는 거울 생산에서 터득한 ‘모래 거푸집 주조법(sand-casting)’을 활자 생산에 원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텐베르크는 1438년 이전에 인쇄술 연구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1450년께 인쇄술을 완성했으며 늦어도 1455년
15세기는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다. 구텐베르크는 중세인이면서 ‘시원적 자본가(proto-capitalist)’이기도 했다. 19세기까지는 그에 대해 고독하고 경건한 발명가의 이미지가 주된 평가였으나 20세기부터 그의 다른 면모가 드러났다. 구텐베르크는 큰 부자가 되기를 꿈꾸는 수완 좋은 사업가였다. 전 유럽으로 통하는 교회 네트워크를 감안하면 성경은 따놓은 베스트셀러였다.
구텐베르크는 1450년 자금이 넉넉한 법률가인 요한 푸스트(1400년께~1466년)로부터 800길더를 꿨다. 소 100마리를 살 수 있는 돈이었다. 추가로 돈을 빌리다 보니 1456년께는 빚이 2000길더로 늘어났다. 둘의 사이가 틀어져 푸스트는 돈을 돌려달라고 구텐베르크를 압박했다. 완벽주의자인 구텐베르크는 당장의 이익을 바라는 푸스트의 속을 태웠다. 푸스트는 구텐베르크가 빌린 돈으로 인쇄가 아니라 딴 궁리를 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소송에 져 구텐베르크는 빈털터리가 됐다. 일부 사학자에 따르면 푸스트는 괴테(1749~1832)의
구텐베르크는 부자가 되지 못했으나 그가 발화시킨 인쇄 혁명은 전 유럽으로 확산되며 르네상스 전개의 배경이 됐다. 1500년께 유럽에는 1000곳의 인쇄소에서 1만~2만 명을 고용했다. 1500년까지 4만여 종의 책이 800만~900만 부가량 인쇄됐다. 수도사들이 필기로 책 한 권을 만드는 데는 한두 달씩 걸렸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일주일에 500권씩 찍어냈다.
구텐베르크에게는 예술가적 기질도 있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1454~1455년께에는 면벌부(免罰符)를 인쇄했다. 교황청은 키르로스를 위협하는 터키와 일전을 치르기 위해 자금이 필요했던 것이다. 신성로마제국의 운명을 다룬 ‘미신적인’ 예언서를 찍기도 했지만 구텐베르크는 미사경본(missal), 라틴어 문법책과 같이 교회에 필요한 문헌을 많이 출간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를 빼앗은 푸스트는 1457년 구텐베르크가 비밀리에 준비하던 라틴어
교회에 대한 이런 공로를 인정해 마인츠 대주교는 1465년 구텐베르크를 ‘호프만(Hofmann)’이라 불리는 조신(朝臣)으로 임명했다. 구텐베르크는 몇 가지 특권과 더불어 교회가 주는 연금을 받을 수 있었다.
신앙적으로 구텐베르크는 보수적인 가톨릭 신자였으나 종교개혁의 확산에 기여했다. 마르틴 루터(1483~1546)의 ‘95개 논제’는 구텐베르크가 고안한 인쇄술을 통해 전 유럽으로 전달됐다. 구텐베르크가 없었다면 루터의 주장은 묻혔을지도 모른다. 1518~1525년에 매년 100만 부의 문헌이 인쇄됐는데 그중 30만 부는 루터가 작성한 팸플릿이었다.
소송과 빚 때문에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구텐베르크는 1468년 삶을 마감하고 교회에 묻혔다. 교회는 훗날 파괴돼 구텐베르크의 무덤도 같이 사라졌다.
미국 의회도서관의 그레이트홀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