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취 종(蹤)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좇을 종(從)자를 했습니다. 좇을 종(從)자는 네거리를 그린 다닐 행(行)자의 반쪽인, 조금 걸을 척(彳)자에 사람 인(人)자 두 개를 하고 그 아래에 발 지(止)자의 변형인 글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따른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간체자(簡體字)로 사람 인(人)자를 두 개 해서 ‘从cóng’자로 사용합니다.
+ = 蹤
발뒤축 련(蹥)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잇닿을 련(連)자를 했습니다. 잇닿을 련(連)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수레 거(車)자를 해서, 수레가 줄을 지어 잇달아가는 모양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蹥
뛸 붕(蹦)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무너질 붕(崩)자를 했습니다. 무너질 붕(崩)자는 의부(義符)로 산 산(山)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벗 붕(朋)자를 했습니다. 벗 붕(朋)자는 육 달 월(月,肉)자를 두 개하여 서로 친근하여 살을 비비며 사는 사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蹦
잘못될 조(蹧)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마을 조(曹)자를 했습니다. 마을 조(曹)자는 동녘 동(東)자 두 개를 합하여 놓고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해가 뜨는 쪽이며 나무가 있는 곳이라는 뜻이겠지요. 가로 왈(曰)자는 그렇게 부른다는 말이니, 동쪽 마을이라는 뜻을 표시하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동쪽에 있는 마을에는 마음이 가고, 생각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마음이 거기에 가 있기 때문입니다. 옛날 이웃 마을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래서 관아(官衙) 조(曹)자로도 읽습니다. 성씨로 쓸 때에는 성씨 조(曺)자를 써야 합니다.
+ = 蹧
춤추는 모양 선(蹮)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선(䙴)자를 했습니다. 오를 선(䙴)자는 제사상에 오른다는 표시입니다. 오를 선(䙴)자의 옛글자를 보면 손을 네 개나 그렸습니다. 높은 곳에 오르려니 손으로 부여잡아 힘이 든다는 뜻입니다.
+ = 蹮
발부리를 챌 관(躀)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꿸 관(貫)자를 했습니다. 꿸 관(貫)자는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에 성부(聲符)로 꿰뚫을 관(毌)자를 했습니다. 마치 동전을 줄줄이 꿰어 꾸러미를 만들어 지니고 다니듯이 조개를 꿰미에 줄줄이 꿴 것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 = 躀
줄 축(䠞)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겨레 척(戚)자를 했습니다. 겨레 척(戚)자는 창과(戈)자 안에 콩 숙(尗)자를 했습니다. 콩 숙(尗)자는 콩깍지 안에 콩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기도 하지만, 상처에서 피를 흘리는 그림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겨레 척(戚)자는 피를 나눈 사이라는 뜻입니다. 옷 새뜩한 모양 축(䙘), 단풍나무 축(槭), 찡그릴 축(顣)자들은 겨레 척(戚)자가 들어 있어서 ‘축’으로 읽습니다.
+ = 䠞
종종걸음 칠 첩(䠟)자는 발 족(足)자에 잡을 집(執)자를 했습니다. 종종 걸음이란 당을 밟되 당을 잡는 것처럼 밟아서 걸음걸이가 보폭이 좁으면서 바쁘게 움직이는 것을 뜻합니다. 잡을 집(執)자는 죄인을 잡아 도망가지 못하도록 차꼬를 채운 모양을 한 다행 행(幸)자에 둥글 환(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 환(丸)자는 둥글다는 뜻이 아니라, 물건이나 사람을 잡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䠟
한 발로 갈 체(䠠)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띠 대(帶)자를 했습니다. 띠 대(帶)자는 한 일(一)자로 묶는다는 표시를 한 글자 아래에 덮을 멱(冖)자를 하고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옛 글자를 보면 나무의 윗부분을 묶어 놓은 그림 같기도 하고, 사람의 머리를 동여맨 표시 같기도 합니다. 하여튼 나무이든 사람이든 띠로 묶은 표시는 틀림없습니다. 막힐 체(滯), 높을 체(嵽), 나른할 체(殢), 무지개 체(螮), 이질 체(㿃)자들은 띠 대(帶)자가 들어 있어서 ‘체’로 읽습니다.
+ = 䠠
발자국 소리 차(䠡)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모질 차(虘)자를 했습니다. 모질 차(虘)자는 의부(義符)로 호피 무늬 호(虍)자 변에 성부(聲符)로 또 차(且)자를 했습니다.
+ = 䠡
터덜터덜 가는 모양 몽(䠢)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꿈 몽(夢)자를 했습니다. 꿈 몽(夢)자는 ‘𦭝’자 아래에 덮을 멱(冖)자를 하고 저녁 석(夕)자를 했습니다. 꿈 몽(夢)자에서 저녁 석(夕)자만 배어도 꿈 몽(夢)자의 변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어두울 몽(瞢)자도 꿈 몽(夢)자에서 저녁 석(夕)자 자리에 눈 목(目)자를 했습니다.
+ = 䠢
밟을 연(蹨)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그럴 연(然)자를 했습니다. 그럴 연(然)자는 성부(聲符)로 개고기 연(肰)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를 했습니다. 개고기 연(肰)자는 고기 육(肉,月)자에 개 견(犬)자를 했습니다. 개 견(犬)자는 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개고기 연(肰)자는 글자 그대로 개고기를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개고기 연(肰)자에 불 화(灬)자를 해서 그러할 연(然)자를 만들었습니다. 개고기가 그럴듯한 맛이 나는 고기라는 말입니다. 그러할 연(然)자를 보면 동양에서는 오래전부터 개고기를 식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기 중에는 참으로 맛이 좋은 고기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개고기는 소고기보다 비산 값으로 팔립니다.
+ = 蹨
절름발이 별(蹩)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해질 폐(敝)자를 했습니다. 해질 폐(敝)자는 오래 입은 옷이 헐어 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해질 폐(敝)자는 해어진 옷 폐(㡀)자에 칠 복(攵)자를 해서 옷이 더 떨어지도록 두들겨 팬 글자입니다. 언뜻 볼 별(瞥), 금계 별(鱉), 자라 별(鼈), 발끈할 별(嫳), 너울거릴 별(徶), 악할 별(憋), 개미 별(蟞), 털 별(襒)자들은 해질 폐(敝)자가 들어 있어서 ‘별’로 읽습니다.
蹩
넘어질 퇴(蹪)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䝿)자는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는 손을 그려서 대상을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재물을 두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귀(貴)한 것은 내가 잡아당긴 나의 재물입니다. 천한 것((賤)은 그저 쌓여 있는 남의 재물입니다. 같은 재물이라도 내 것이면 귀(貴)하고 남의 것이면 천(賤)합니다. 좇을 퇴(僓), 들피가 질 퇴(尵), 음병 퇴(㿉), 쇠퇴할 퇴(穨), 무너질 퇴(隤)자들은 귀할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퇴’로 읽습니다.
+ = 蹪
마구 달릴 귤(蹫)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송곳질할 율(矞)자를 했습니다. 송곳질할 율(矞)자는 창 모(矛)자 아래에 빛날 경(冏)자를 했습니다. 빛날 경(冏)자를 한 것은 송곳으로(矛) 뚫은 구멍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뚫어서 구멍이 생기니 빛이 들어와서 밝게 빛난다는 뜻으로 빛날 경(冏)자를 한 것입니다. 귤나무 귤(橘)자도 송곳질할 율(矞)자가 들어 있어서 ‘귤’로 읽습니다.
+ = 蹫
비틀거릴 등(蹬)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登)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登)자는 등질 발(癶)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등질 발(癶)자는 좌우(左右) 발을 엇갈려 디디면서 오른다는 뜻이고, 제기 두(豆)자는 제사 음식에 오른다는 뜻입니다.
蹬
비틀거릴 층(蹭)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일찍 증(曾)자를 했습니다. 일찍 증(曾)자는 시루에 떡을 찌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떡을 찔 때 김이 오르는 것을 그렸습니다. 모일 회(會)자는 쪄다놓은 시루 앞에 죽 둘러 모여 앉아서 떡을 먹는 모양입니다. 시루에 쪄놓은 떡이 있으니 떡을 먹으러 시루 주변으로 모두 모인다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모이면 입을 사용합니다. 무엇을 먹는데도 사용하고 의견을 나누는 데도 사용합니다. 모일 회(會)자에서는 가로 왈(曰)자입니다. 모여서 입을 열어 대화를 하기 때문입니다. 층 층(層)자도 일찍 증(曾)자가 들어 있어서 ‘층’으로 읽습니다.
蹭
짐승 발바닥 번(蹯)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갈마들 번(番)자를 했습니다. 갈마들 번(番)자는 쌀 미(米)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해서 농사짓는 순서를 잘 지켜야 함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蹯
머뭇거릴 주(蹰,躕)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부엌 주(㕑,廚)자를 했습니다. 부엌 주(㕑廚)자는 의부(義符)로 기슭 엄(厂)자나 집 엄(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세울 주(尌)자를 했습니다. 세울 주(尌)자는 악기 이름 주(壴)자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손으로 악기를 장치하여 세우는 표시를 했습니다. 악기 이름 주(壴)자는 북이나 장구처럼 장치를 해 놓고 두드리는 악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蹰,躕
어린애 걸을 종(蹱)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아이 동(童)자를 했습니다. 아이 동(童)자는 설 립(立)자에 마을 리(里)자를 했습니다. 마을 리(里)자는 마을에 땅을 집집마다 나누어 가진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밭 전(田)자와 흙 토(土)자가 합해서 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아이 동(童)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마을 리(里)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설 립(立)자는 서 있다는 뜻이 아니라, 동네에 아이들이 떼로 몰려다니며 시끄럽게 떠들며 노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설 립(立)자는 말씀 언(言)자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아이 동(童)자는 무거울 중(重)자로도 씁니다. 같은 글자로 쓰입니다. 아이 동(童)자와 무거울 중(重)자가 같이 쓰이는 것은 모사(模寫)입니다. 모사(模寫)라는 말은 글자를 서로 비슷하게 써서 다른 글자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글자의 사용 범위를 확대하고 뜻도 다양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종 종(鐘,鍾)자도 아리 동(童)자가 들어 있어서 ‘종’으로 읽습니다.
+ = 蹱
웅크릴 준(蹲)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존(尊)자를 했습니다. 높을 존(尊)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술병 유(酉)자를 하고 글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높을 존(尊)자는 사람들이 술을 바쳐서 술을 받아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또 높을 존(尊)자는 두목 추(酋)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두목처럼 떠받드는 사람임을 나타냈습니다. 좇을 준(遵), 술통 준(樽), 모일 준(僔), 무성한 모양 준(䔿), 술통 준(墫), 춤출 준(壿), 가파를 준(嶟), 누를 준(撙), 술두루미 준(罇), 수군거릴 준(譐), 수군거릴 준(譐), 창고달 준(鐏), 송어 준(鱒), 꿩 준(鷷)자들은 높을 존(尊)자가 들어 있어서 ‘준’으로 읽습니다.
蹲
넘어질 발(蹳)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쏠 발(發)자를 했습니다. 쏠 발(發)자는 풀이 자라는 모습을 그린 등질 발(癶)자 아래에 탄력이 있는 무기인 활 궁(弓)자를 하고,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모두 탄력이 있고 튀어 나오는 표시를 한 글자들입니다. 봄이 되어 싹이 나오고 물이 솟아 나오지요. 영어로는 스프링(spring)입니다. 쏠 발(發)자는 튀어 피어나는 듯의 글자입니다.
+ = 蹳
찰 축(蹴,蹵)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이룰 취(就)자를 했습니다. 이룰 취(就)자는 서울 경(京)자 옆에 더욱 우(尤)자를 했습니다. 더욱 우(尤)자는 절름발이 왕(尢)자 오른쪽 위에 점 주(丶)자를 해서 다리가 긴 쪽을 표시했습니다. 더욱 우(尤)자는 절름발이 왕(尢)자에 다리가 더 긴 쪽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더욱 우(尤)자는 간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서울 경(京)자는 높은 집이 많은 서울을 그린 글자입니다. 서울은 사람이 많이 모여 사는 곳입니다. 이룰 취(就)자는 사람이 많이 모여 사는 서울에 왔다는 뜻으로 뜻을 이루었다는 취(就)자를 만들었습니다. 찰 축(蹴), 입 맞출 축(噈)자는 이룰 취(就)자가 들어 있어서 ‘축’으로 읽습니다.
蹴
넘어질 궐(蹶,蹷)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그 궐(厥)자를 했습니다. 그 궐(厥)자는 의부(義府)로 기슭 엄(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상기 궐(欮)자를 했습니다. 상기 궐(欮)자는 사람이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서 피가 얼굴로 모여 얼굴이 붉게 상기 된다는 말입니다.
蹶
짓밟을 린(蹸)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도깨비불 린(粦)자를 했습니다. 도깨비불 린(粦)자는 쌀 미(米)자 아래에 어그러질 천(舛)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쌀 미(米)자는 도깨비불이 밝게 빛나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고, 어그러질 천(舛)자는 빛나는 도깨비불을 보면 도망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蹸
밟을 답(蹹)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합할 흡(翕)자를 했습니다. 합할 흡(翕,翖)자는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에 성부(聲符)로 합할 합(合)자를 했습니다. 합할 합(合)자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먹는 것 앞에는 모두 모이게 되고 마음이 한가지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윤택하게 할 흡(洽), 미칠 흡(恰)자는 합할 합(合)자가 들어 있어서 ‘흡’으로 읽습니다. 옷 답(褟), 밟을 답(蹋), 갈고리 답(鎉)자들은 ‘𦐇’자가 들어 있어서 ‘답’으로 읽습니다. 여기서 합할 흡(翕,翖)자는 밟을 답(蹋)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蹹
발돋움할 교(蹺)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요임금 요(堯)자를 했습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흙 토(土)자 3 개에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별로 높지 않은 자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요임금의 겸손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잘 표시한 글자입니다. 예수님의 정신으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백성들을 섬기는 정신과 자세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정신은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황금률입니다. 지금 사람들은 지도자 되기는 좋아하면서 겸손한 마음은 없습니다. 지도자가 되었다가 쫓겨나거나 창피를 당하게 되어 지도자가 아니 된 것만 못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순리입니다. 메마른 땅 교(磽), 사뿐사뿐 걸을 교(趬)자는 요임금 요(堯)자가 들어 있어서 ‘교’로 읽습니다. 발돋움할 교(蹺)자는 발돋움할 교(跷qiāo)자의 번체자(繁體字)입니다.
+ = 蹺
발돋움할 교(蹻)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교(喬)자를 했습니다. 높을 교(喬)자는 높을 고(高)자처럼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또는 창(矛)을 높이 들어 올렸을 때 창끝처럼 높은 곳을 가리키는 글자로 사용했습니다.
蹻
물갈퀴 복(蹼)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번거로울 복(菐)자를 했습니다. 번거로울 복(菐)자는 풀을 뽑는 그림을 그려서 풀을 뽑는 일이 매우 번거로운 일임을 나타냈습니다.
+ = 蹼
달릴 료(蹽)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횃불 료(尞)자를 했습니다. 횃불 료(尞)자는 횃불이 빛나는 것을 불빛을 그린데다가 밝다는 뜻으로 날 일(日)자를 더하여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불 화(火)자가 두 개 있고 가운데 밝다는 뜻으로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 = 蹽
마구 놓을 돈(蹾)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도타울 돈(敦)자를 했습니다. 도타울 돈(敦)자는 칠 복(攴,攵)자에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칠 복(攵)자는 제사 지낼 짐승을 잡는데 필요한 행동입니다. 누릴 향(享)자는 신전에서 양을 잡아 제사를 올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신에게 잘 대접해서 인간의 평화와 번영을 누린다는 말이지요.
+ = 蹾
솟을 찬(蹿)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숨을 찬(窜)자를 했습니다. 숨을 찬(窜)자는 구멍 혈(穴)자 아래에 꿰미 천(串)자를 했습니다. 꿰미 천(串)자는 고치에 꿰인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꿰미 천(串)자는 꼬챙이 찬찬(丳)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 蹿
올무 선(䠣)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유순할 손(巽)자를 했습니다. 공손할 손(巽)자는 허리를 굽혀 공손히 인사하는 사람 둘을 그린 그림입니다. 또는 공손할 손(巽)자는 사람의 다리를 묶어 나란히 있게 한 나란히 병(幷)자를 우뚝할 올(兀)자로 받쳐 놓았습니다. 말 잘 듣는 공손한 사람을 높이 알린 글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가릴 선(選), 갖출 선(僎), 어린 양 선(䍻), 서두를 선(襈)자들은 공손할 손(巽)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 = 䠣
어린 아이가 아장아장 걷는 모양 타(䠤)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홑 단(單)자는 혼자 끌 수 있는 간단한 수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바퀴도 두 개만 있고 집 싣는 곳도 간단합니다. 손수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휘늘어질 타(嚲), 넓고 두터울 타(軃)자는 홑 단(單)자가 들어 있어서 ‘타’로 읽습니다.
+ = 䠤
밟을 별(䠥)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해질 폐(敝)자를 했습니다. 해질 폐(敝)자는 오래 입은 옷이 헐어 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해질 폐(敝)자는 해어진 옷 폐(㡀)자에 칠 복(攵)자를 해서 옷이 더 떨어지도록 두들겨 팬 글자입니다. 언뜻 볼 별(瞥), 금계 별(鱉), 자라 별(鼈), 발끈할 별(嫳), 너울거릴 별(徶), 털 별(襒), 악할 별(憋), 개미 별(蟞)자들은 해질 폐(敝)자가 들어 있어서 ‘별’로 읽습니다.
+ = 䠥 蹩 절룸발이 별자입니다
넘어질 지(䠦)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슬기 지(智)자를 했습니다. 술기 지(智)자는 성부(聲符)로 알 지(知)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날로 많이 아는 것도 슬기의 하나일 것입니다.
+ = 䠦
머무를 저(䠧)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잡을 도(屠)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늙을 로(耂)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늙을 로(耂)자가 늙었다는 뜻으로 털을 그린 글자가 아니라, 쌀 미(米)자의 변형입니다. 가로 왈(曰)자는 입을 뜻하는 글자로 생명을 말합니다. 놈 자(者)자는 쌀을 목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도읍 도(都), 잡을 도(屠), 담 도(堵), 걸 도(賭)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돼지 저(猪), 젓가락 저(箸), 저(楮), 물가 저(渚), 날아오를 저(翥), 솜옷 저(褚)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䠧
성급할 조(躁)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울 소(喿)자를 했습니다. 울 소(喿)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입 구(口)자를 세 개를 해서 새들이 나무에 올라앉아서 우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잡을 조(操), 마를 조(燥), 조급할 조(趮), 고치 켤 조(繰), 면류관 옥 조(璪)자들은 울 소(喿)자가 들어 있어서 ‘조’로 읽습니다.
躁
미끄러질 달(躂)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통달할 달(達)자를 했습니다. 통달할 달(達)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 변에 다행 행(幸)자를 했습니다. 다행 행(幸)자는 죄인을 잡아 차꼬를 채워 잡아놓은 모양입니다. 잡아 차꼬를 찬 죄인을 걷게 했으니 통달하게 된 것이겠지요. 통달할 달(達)자는 초능력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미끄러질 달(躂)자는 미끄러질 달(跶da)자의 번체자(繁體字)입니다.
+ = 躂
앉은뱅이 벽(躃,躄)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벽(辟)자를 했습니다. 임금 벽(辟)자는 사람을 그린 ‘𡰪’자 옆에 문신을 새길 때 사용하는 침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매울 신(辛)자를 해서, 벌을 마음대로 줄 수 있는 임금을 표시했습니다. 임금 벽(辟)자는 법과 벌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임금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옛날에는 죄를 지으면 벌로 죄인의 몸에 지은 죄목을 문신(文身)을 해서 새겨두기도 했습니다.
+ = 躃
머뭇거릴 촉(躅)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나라 이름 촉(蜀)자를 했습니다. 나라이름 촉(蜀)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쌀 포(勹)자를 하고, 벌레 충(虫)자를 해서 벌레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의 변형입니다. 중국 촉 지방에는 벌레가 많은 듯합니다. 산간 지방이기 때문입니다.
躅
벋디딜 거(躆)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원숭이 거(豦)자를 했습니다. 원숭이 거(豦)자는 돼지 시(豕)자에 호피 무늬 호(虍)자를 했습니다. 원숭이의 생김새가 머리 부분 얼굴은 호랑이처럼 생기고 몸통과 꼬리 부분은 돼지처럼 생긴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躆
머뭇거릴 저(躇)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분명할 저(著)자를 했습니다. 분명할 저(著)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물가 저(渚), 돼지 저(猪), 젓가락 저(箸), 닥나무 저(楮)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저’로 읽습니다.
+ = 躇
말굽 교(躈)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노래할 교(敫)자를 했습니다. 노래할 교(敫)자는 흰 백(白)자 아래에 모 방(方)자를 하고 글자의 오른쪽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흰 백(白)자는 북을 뜻합니다. 모 방(方)자는 북을 받쳐 놓은 기구입니다. 북을 소리가 잘 나게 받쳐 놓고 두드리는 그림입니다. 노래는 북에 맞추어 부르게 되겠지요.
+ = 躈
거룻배 돈(躉)자는 발 족(足)자에 일만 만(萬)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일만 만(萬)자는 거룻배의 위험성을 일만 만(萬)자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전갈이 위험한 r서처럼 거룻배도 위험하다는 뜻입니다. 일만 만(萬)자는 전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일만이라는 수가 전갈처럼 무서운 숫자라는 말입니다. 거룻배 돈(躉)자는 거룻배 돈(趸)자의 번체자(繁體字)입니다.
+ = 躉
말이 빨리 달릴 첨(䠨)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이를 첨(詹)자를 했습니다. 이를 첨(詹)자는 우러러볼 첨(厃)자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하고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이를 첨(詹)자는 그 수준이 높은 데에 도달했음을 나타냈습니다.
+ = 䠨
지칠 궤(䠩)자는 발 족(足)자에 해 세(歲)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해 세(歲)자는 세월이 흘러 모두 잊혀져 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지친다는 말은 모두 잊혀져 간다는 말입니다. 해 세(歲,歳)자는 세월은 가는 것이기에, 발 지(止)자를 하고, 젊음도 가기에 젊을 소(少)자를 하고, 힘 있는 자도 가기에 창 과(戈)자를 했습니다. 모두 흘러간다는 세월의 법칙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혜로운 임금 다윗의 반지에 새겨 넣은 글귀처럼 “이 또한 지나가리라.”가 바로 세월입니다. 세월이 약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과거는 흘러갔을 뿐입니다.
+ = 䠩
머뭇거릴 주(躊)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목숨 수(壽)자를 했습니다. 목숨 수(壽)자는 옛 글자를 보면 털이 길고, 허리가 구부정하고, 세월을 의미하는 구불구불한 물가를 걷는 사람을 그린 글자입니다. 나이가 많은 사람의 특징을 잘 잡아서 그린 글자입니다. 쇠 부어 만들 주(鑄), 밭두둑 주(疇), 저주할 주(譸), 투호 살 주(籌), 짝 주(儔), 휘장 주(幬), 근심할 주(懤), 밝을 주(燽), 덮을 주(䓓,薵), 파 주(薵), 명주 주(䌧)자들은 목숨 수(壽)자가 들어 있어서 ‘주’로 읽습니다. 머뭇거릴 주(踌chóu)자는 머뭇거릴 주(躊)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躊
오를 제(躋)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가지런할 제(齊)자를 했습니다. 가지런할 제(齊)자는 꽃이나 곡식 이삭이 가지런하게 피어 있는 모양입니다.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오를 제(跻jī)자는 오를 제(躋)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躋
밟을 무(躌)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춤출 무(舞)자를 했습니다. 춤출 무(舞)자는 의부(義符)로 어그러질 천(舛)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없을 무(無)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어그러질 천(舛)자는 스텝을 뜻합니다. 없을 무(無)자는 겨드랑이에 사람을 둘씩이나 숨겨 두고 없다고 오리발을 내미는 표시를 했습니다. 없을 무(無)자 아래에 점이 네 개 있는 것은 불 화(火,灬)자가 아니라, 숨겨놓은 사람의 발을 그린 표시입니다.
+ = 躌
뛸 약(躍)자는 발 족(足)자에 꿩 적(翟)자를 했습니다. 꿩은 날아갈 때는 멀리 날지만 대체로 쪼르르 달려 다닙니다. 잘 뛰어다니는 새입니다. 꿩 적(翟)자는 깃 우(羽)자에 새 추(隹)자를 해서, 날개가 발달하고 꼬리가 짧은 암꿩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꿩은 잘 날지는 않지만 한번 날면 멀리까지 날아갑니다. 그래서 깃 우(羽)자를 한 것입니다.
躍
밟을 련(躎)자는 발 족(足)자에 너 이(爾)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너 이(爾)자를 한 것은 발 족(足)자가 바로 밟는 것이라는 표시입니다. 너 이(爾)자가 바로 발 족(足)자를 가리키는 글자라는 뜻입니다. 너 이(爾)자는 화살을 그린 글자입니다. 상대방 즉 과녁을 형해 날아가는 화살을 그린 글자지요. 화살을 그려서 내가 아니 상대방을 표시했습니다. 너 이(爾)자에서 'X'표가 있는 것은 화살의 날개를 그린 것입니다. 화살을 쏘려면 목표물을 자세히 보아야 합니다.
+ = 躎
짓밟을 린(躏lìn,躙,躪)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골풀 린(藺)자를 했습니다. 골풀 린(藺)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새 이름 린(閵)자를 했습니다. 새 이름 린(閵)자는 문 문(門)자에 새 추(隹)자를 한 것을 보면 아마도 집에서 기르는 새일 것입니다. 짓밟을 린(躏lìn)자는 짓밟을 린(躪)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躪
발자국 단(䠪,躖)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이을 계(㡭)자를 했습니다. 이을 계(㡭)자는 작을 요(幺)자를 네 개 했습니다. 칸을 나누어서 네 개를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작을 요(幺)자가 작다는 뜻이 아니라, 실 사(糸)자의 변형입니다. 실 사(糸)자 네 개를 칸을 나누고 써넣은 것입니다. 이어간다는 뜻을 표시한 것이지요. 끊을 단(斷), 함축성이 있는 말 단(䜝)자도 이을 계(㡭)자가 들어 있어서 ‘단’으로 읽습니다.
躖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가는 모양 주(䠫)자는 발 족(足)자에 모일 취(聚)자를 했습니다. 술에 취해서 비틀거리는 모양은 발이 꼬여서 잘 걷지 못하는 모양입니다. 여기서 모일 취(聚)자는 다리가 모여 꼬여서 잘 걷지 못하여 비틀거리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모일 취(聚)자는 의부(義符)로 나란히 설 음(乑)자에 성부(聲符)로 취할 취(取)자를 했습니다. 나란히 설 음(乑)자는 햇빛 아래서 사람이 나란히 여러 명 서 있는 모양을 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람이 모인다는 듯을 나타내는 무리 중(衆)자나 모일 취(聚)자에 들어 있습니다. 취할 취(取)자는 귀 이(耳)자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귀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입니다. 귀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딸려옵니다. 취하게 되는 것이지요.
+ = 䠫
밟을 렵(躐)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목 갈기 렵(巤)자를 했습니다. 목 갈기 렵(巤)자는 개미허리 천(巛)자 아래에 쥐 서(鼠)자를 해서 쥐의 털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쥐 서(鼠)자는 쥐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개미허리 천(巛)자는 말의 목 갈기 털을 그린 글자입니다.
+ = 躐
머뭇거릴 척(躑)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정 나라 정(鄭)자를 했습니다. 정나라 정(鄭)자는 당나귀가 짐을 등에 짐을 지고 가는 그림 같다고 해서 당나귀 정(鄭)이라고도 합니다. 나라 정(鄭)자의 옛 글자를 보면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邑,阝)을 그리고, 그 앞에 제사지낼 전(奠)자를 했습니다. 조상을 숭상하는 그림입니다. 정(鄭) 나라 사람들의 특징을 그린 글자라고 생각합니다. 정(鄭) 나라 사람들은 조상께 제사도 잘 지내고, 예의가 바르다든지, 상(商)나라 사람들은 장사를 잘 했다든지 하는 등의 생각입니다. 던질 척(擲)자도 나라 이름 정(鄭)자가 들어 있어서 ‘척’으로 읽습니다.
+ = 躑
움직일 력(躒)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즐길 락(樂)자를 했습니다. 즐길 락(樂)자는 소리가 나는 여러 물체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실과, 바가지와 나무들을 가리키는 글자들을 조합하여 소리를 조화롭게 만들어 낸다는 뜻으로 즐길 락(樂)자를 만들었습니다. 삐걱거릴 력(轢), 조약돌 력(礫), 상수리나무 력(櫟), 옥빛 력(瓅), 흰 모양 력(皪), 뿔끝 력(觻), 동자개 력(鱳)자들은 즐길 락(樂)자가 들어 있어서 ‘력’으로 읽습니다.
+ = 躒
넘어질 지(躓)자는 발 족(足)자에 바탕 질(質)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바탕 질(質)자를 한 것은 바탕이 단단하면 넘어지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바탕 질(貭,質)자는 모탕 은(斦)자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모탕은 장작을 팰 때 도끼날이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탕에 두는 나무토막을 일컫는 말입니다. 바탕은 모탕과 같은 말입니다. ‘소도 어덕이 있어야 비빈다.’는 말처럼 장사를 하려면 작은 돈이지만 밑천이 있어야 장사를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바탕 질(貭)자는 바탕 질(質)자의 약자(略字)입니다.
躓
궤도 전(躔)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가게 전(廛)자를 했습니다. 가게 전(廛)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마을 리(里)자를 하고 흙 토(土)자를 해서 일정한 자리를 정하고 터를 잡아 장사를 하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躔
머뭇거릴 주(躕)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부엌 주(廚)자를 했습니다. 부엌 주(廚)자는 의부(義符)로 집 엄(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세울 주(尌)자를 했습니다. 세울 주(尌)자는 악기 이름 주(壴)자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손으로 악기를 장치하여 세우는 표시를 했습니다. 악기 이름 주(壴)자는 북이나 장구처럼 장치를 해 놓고 두드리는 악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躕
발자국 단(躖)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이을 계(㡭)자를 했습니다. 이을 계(㡭)자는 작을 요(幺)자를 네 개 했습니다. 칸을 나누어서 네 개를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작을 요(幺)자가 작다는 뜻이 아니라, 실 사(糸)자의 변형입니다. 실 사(糸)자 네 개를 칸을 나누고 써넣은 것입니다. 이어간다는 뜻을 표시한 것이지요. 끊을 단(斷), 함축성이 있는 말 단(䜝)자도 이을 계(㡭)자가 들어 있어서 ‘단’으로 읽습니다.
躖
쓰러져 누울 등(䠬)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나라 이름 등(鄧)자를 했습니다. 나라 이름 등(鄧)자는 의부(義符)로 읍 읍(邑,⻏)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登)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登)자는 등질 발(癶)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등질 발(癶)자는 좌우(左右) 발을 엇갈려 디디면서 오른다는 뜻이고, 제기 두(豆)자는 제사 음식에 오른다는 뜻입니다.
+ = 䠬
손발로 지킬 위(躗)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지킬 위(衛)자를 했습니다. 지킬 위(衛,衞,䘙)자는 의부(義符)로 다닐 행(行)자에 성부(聲符)로 다룸가죽 위(韋)자를 했습니다. 지킬 위(衞,䘙)자는 다룸가죽 위(韋)자의 변형들입니다. 다룸가죽 위(韋)자는 가운데 가죽을 뜻하는 입 구(口)자를 하고, 위와 아래에 발(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가죽을 밟고, 으깨서 부드럽게 해야 이용할 수가 있는 가죽이 됩니다. 다룸가죽 위(韋)자는 뻣뻣한 가죽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가죽으로 만들어진 가죽을 말합니다.
躗
어린애 걸음 룡(躘)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용(龍)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躘
짓밟을 린(躙)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골풀 린(藺)자를 했습니다. 골풀 린(藺)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새 이름 린(閵)자를 했습니다. 새 이름 린(閵)자는 문 문(門)자에 새 추(隹)자를 한 것을 보면 아마도 집에서 기르는 새일 것입니다. 짓밟을 린(躏lìn)자는 짓밟을 린(躪)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躙
춤출 선(躚)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옮길 천(遷)자를 했습니다. 옮길 천(遷)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오를 선(䙴)자를 했습니다. 오를 선(䙴)자는 제사상에 오른다는 표시입니다. 오를 선(䙴)자의 옛글자를 보면 손을 네 개나 그렸습니다. 높은 곳에 오르려니 손으로 부여잡아 힘이 든다는 뜻도 됩니다.
躚
거짓 위(躛)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지킬 위(衛,衞,䘙)자는 의부(義符)로 다닐 행(行)자에 성부(聲符)로 다룸가죽 위(韋)자를 했습니다. 지킬 위(衞,䘙)자는 다룸가죽 위(韋)자의 변형들입니다. 다룸가죽 위(韋)자는 가운데 가죽을 뜻하는 입 구(口)자를 하고, 위와 아래에 발(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가죽을 밟고, 으깨서 부드럽게 해야 이용할 수가 있는 가죽이 됩니다. 다룸가죽 위(韋)자는 뻣뻣한 가죽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가죽으로 만들어진 가죽을 말합니다.
躛 + = 躛
발을 모을 찬(躜)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찬(赞 zàn)자를 했습니다. 도울 찬(赞 zàn)자는 도울 찬(贊)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그런데 걸터앉을 찬(躦)자는 발을 모을 찬(躜)자의 번체자(繁體字)이기는 하지만 뜻이 달라서 다르게 쓰입니다. 도울 찬(賛,贊,赞zàn)자는 조개 패(貝)자에 먼저 선(先)자를 두 개 했습니다. 도우려면 먼저 재물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도울 찬(賛)자는 도울 찬(贊)자의 약자(略字)이고, 도울 찬(赞zàn)자는 도울 찬(贊)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躜
절름발이 뢰(䠭)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힘입을 뢰(賴)자를 했습니다. 힘입을 뢰(賴)자는 짐질 부(負)자에 묶을 속(束)자를 했습니다. 짐질 부(負)자는 힘을 입는다는 뜻입니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 목(木)자의 중간에 입 구(口)자를 해서 나무에 묶어 둔 표시를 했습니다. 묵을 속(束)자도 나무에 힘을 실어준 모양입니다.
+ = 䠭
오를 등(䠮)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駦)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駦)자는 ‘𠔉’자에 말 마(馬)자를 해서 말에 오른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베낄 등(誊)자도 ‘𠔉’자가 들어 있어서 '등'으로 읽습니다.
+ = 䠮
넘을 란(躝)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가로막을 란(闌)자를 했습니다. 가로막을 란(闌)자는 문 문(門)자 아래에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가릴 간(柬)자는 나무를 묶어 가려놓은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躝
걸을 섭(躞)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불꽃 섭(燮)자를 했습니다. 불꽃 섭(爕)자는 불꽃 섭(燮)자의 속자(俗字)입니다. 불꽃 섭(燮)자에서 말씀 언(言)자는 불이 번져 나가는 것을 소리가 퍼지는 것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또 우(又)자는 손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불꽃 섭(燮)자는 또 우(又)자가 있어서 불을 들고 있는 모양입니다. 말씀 언(言)자를 말소리라고 보면 ‘불이야’하고 외치는 소리를 쓴 글자가 불꽃 섭(燮)자입니다.
+ = 躞
바삐 걸을 양(躟)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양(襄)자를 했습니다. 도울 량(襄)자는 옷 의(衣,衤)자를 상의(上衣)와 하의(下衣)로 나누고 그 사이에 입 구(口)자 두 개와 ‘𠀎’자를 했습니다. 입 구(口)자 두 개와 ‘𠀎’자를 한 것은 주머니에 담는 여러 가지 물품들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옷에서 주머니는 도움을 주는 형식입니다.
+ = 躟
둘러갈 설(躠)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맑은 대쑥 설(薛)자를 했습니다. 맑은 대쑥 설(薛)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허물 설(辥)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허물 설(辥)자는 임금 벽(辟)자와도 흡사합니다. 그러나 성부(聲符)임을 생각해서 허물 설(辥)자로 보아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 임금 벽(辟)자는 허물 설(辥)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躠
뽑을 약(䠯)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피리 약(龠)자를 했습니다. 피리 약(龠)자는 입 구(口)자 세 개를 하고 그 아래에 대나무 통을 엮은 그림을 그려서 합한 글자로, 입에 대고 부는 퉁소 같은 피리를 여러 개 묶어놓은 글자입니다.
+ = 䠯
밟을 섭(躡)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소곤거릴 섭(聶)자를 했습니다. 소곤거릴 섭(聶)자는 귀 이(耳)자를 세 개나 했습니다. 귀 이(耳)자를 세 개나 한 것은 그만큼 귀를 기우려서 들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소곤거린다는 말은 귀에 입을 바싹대고 소곤거리는 것을 뜻합니다. 귀 이(耳)자는 귀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躡
밟을 답(躢)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다락문 탑(闒)자를 했습니다. 다락문 탑(闒)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𦐇’자를 했습니다. 옷 답(褟), 밟을 답(蹋), 갈고리 답(鎉)자는 ‘𦐇’자가 들어 잇어서 ‘답’으로 읽습니다.
+ = 躢
가는 모양 구(躣)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볼 구(瞿)자를 했습니다. 볼 구(瞿)자는 눈 목(目)자 두 개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눈 목(目)자나 새 추(隹)자는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새는 늘 경계심이 많습니다. 경계심이 많은 새가 눈을 둥그렇게 뜨고 주변을 살피는 글자가 볼 구(瞿)입니다.
躣
밟을 적(躤)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깔개 자(藉)자를 했습니다. 깔개 자(藉)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적전 적(耤)자를 했습니다. 적전 적(耤)자는 의부(義符)로 쟁기 뢰(耒)자에 성부(聲符)로 예 석(昔)자를 했습니다. 예 석(昔)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위에 물결무늬를 하여 세월이 지났음을 나타냈습니다. 고을 이름 적(庴), 밟을 적(踖)자는 예 석(昔)자가 들어 있어서 ‘적’으로 읽습니다. 적전은 옛날에 임금이 몸소 농사꾼을 두고 농사를 짓던 토지의 이름입니다.
+ = 躤
솟을 찬(躥)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숨을 찬(竄)자를 했습니다. 숨을 찬(竄)자는 구멍 혈(穴)자 아래에 쥐 서(鼠)자를 했습니다. 구멍(穴)에 쥐(鼠)는 잘 숨습니다. 쥐의 성질이 구멍 같은 피신처를 좋아합니다. 쥐가 쥐구멍에서 밖을 살피는 쥐의 조심성을 보는 듯한 글자입니다.
+ = 躥
등을 구부리고 걸을 권(䠰)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황새 관(雚)자를 했습니다. 황새 관(雚)자는 목을 길게 뽑고 긴 다리를 가지고 눈을 둥그렇게 뜨고 사방을 살피는 황새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노린재 권(蠸), 저울 추 권(權), 권할 권(勸), 산 이름 권(巏), 광대뼈 권(顴), 허리 굽혀 가는 모양 권(䟒)자들은 황새 관(雚)자가 들어 있어서 ‘권’으로 읽습니다.
+ = 䠰
걸터앉을 찬(躦)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도울 찬(贊)자를 했습니다. 도울 찬(賛,贊,赞zàn)자는 조개 패(貝)자에 먼저 선(先)자를 두 개 했습니다. 도우려면 먼저 재물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도울 찬(賛)자는 도울 찬(贊)자의 약자(略字)이고, 도울 찬(赞zàn)자는 도울 찬(贊)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躦
신 사(躧)자는 발 족(足)자에 고울 려(麗)자를 했습니다. 신은 발을 보호하는 실용적인 의미도 있지마는 곱게 치장하는 역할(役割)도 합니다. 신 사(躧)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고울 려(麗)자는 사슴 록(鹿)자 위에 사슴의 뿔을 아름답게 표시한 글자입니다. 고울 려(麗)자는 사슴의 뿔을 그린 상형(象形)글자와 사슴을 그린 사슴 록(鹿)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躧
바삐 갈 곽(躩)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두리번거릴 확(矍)자를 했습니다. 두리번거릴 확(矍)자는 볼 구(瞿)자 아래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손을 뜻하는 또 우(又)자가 있으니, 잡힌 새가 주변을 살펴 두리번거리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보습 곽(欔), 괭이 곽(钁), 집게벌레 곽(蠼)자는 두리번거릴 확(矍)자가 들어 있어서 ‘곽’으로 읽습니다.
躩
짓밟을 린(躪)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골풀 린(藺)자를 했습니다. 골풀 린(藺)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새 이름 린(閵)자를 했습니다. 새 이름 린(閵)자는 문 문(門)자에 새 추(隹)자를 한 것을 보면 아마도 집에서 기르는 새일 것입니다. 짓밟을 린(躏lìn)자는 짓밟을 린(躪)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躪
꿈틀거릴 기(躨)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조심할 기(夔)자를 했습니다. 조심할 기(夔)자는 원숭이 노(夒)자에 공격무기인 뿔(艸,艹,䒑)을 그려서 조심해야 할 것을 표시했습니다. 원숭이 노(夒)자는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놓고 왼쪽에는 발 지(止)자를 하고 오른쪽에는 병부 절(㔾)자를 하고,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했습니다. 머리 혈(頁)자를 가운데 한 것은 원숭이를 표시한 것이고 왼쪽에 발 지(止)자, 오른쪽에 병부 절(㔾)자, 맨 아래에는 천천히 걸을 쇠(夊)자들은 모두 원숭이의 행동을 나타낸 글자들입니다. 원숭이의 다양하고 복잡한 행동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원숭이는 사나운 짐승입니다. 원숭이 원(猿)자는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입니다. 개 견(犬,犭)자 변에 나오는 글자들은 소 우(牛)자 변에 나오는 짐승들보다, 사나운 짐승들입니다.
+ = 躨 夒
배회할 촉(䠱)자는 의부(義符)로 발 족(足)자에 성부(聲符)로 이을 촉(屬)자를 했습니다. 이을 촉(屬)자는 엮을 속(屬)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이을 촉(屬)자는 의부(義符)로 주검 시(尸)자에 글자를 더 해서 꼬리를 뜻합니다. 꼬리에서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성부(聲符)로는 나라 이름 촉(蜀)자를 했습니다.
+ = 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