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계지덕(木鷄之德)
木 : 나무 목
鷄 : 닭 계
之: 어조사 지
德 : 덕 덕
목계지덕(木鷄之德)이라 함은
나무로 만든 닭처럼
자기감정을
제어할 줄 아는 능력을
일컫는 말이다.
장자(莊子)에 나오는 말이다.
싸움닭을 몹시 좋아하던
중국의 어느 왕이 당시
투계(鬪鷄) 사육사였던 기성자란
사람에게 최고의 투계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
맡긴 지 10일이 지난 후,
왕은 기성자에게 닭이
싸우기에 충분하냐고 물었다.
이에 기성자는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합니다.
그 교만이 없어지지 않는 한
최고의 투계는 아닙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또 10일 뒤에는
교만함은 버렸으나
너무 조급해
진중함이 없습니다.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진중함이 있어야 최고의 투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다시 열흘 뒤에는
조급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그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이어서
최고의 투계는
아니라고 대답하였다.
다시 10일이 지나
40일째 되는 날 왕이 묻자,
기성자는 이제 된 것 같습니다.
다른 닭이 아무리 도전해도
움직이지 않아 마치
나무로 조각한 목계(木鷄)
가 됐습니다.
어느 닭이라도 그 모습만 봐도
도망칠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장자가 이 고사에서
목계(木鷄)가 되는 데는
세 가지 조건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첫째,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려야 한다.
둘째, 남의 소리와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해서는 안된다.
셋째,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한다.
교만과 조급,
그리고 공격적인 눈초리를
완전히 평정한 사람의 모습이
목계의 덕을 가진 모습이다.
보기에 흡사 나무로 만든 닭과 같다.
세계바둑계를 평정했던
이창호 기사의 별명은 ‘돌부처’였다.
유리한 상황이건
어려운 상황이건 간에
전혀 얼굴에 표정을
드러내지 않기로 유명했다.
마치 태산과 같은 묵중한
자세를 가졌기에 상대방은
그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를
알기가 힘들었다.
바위와 같은 묵중함을 지녔기에
세계챔피언의 자리에 올랐던 것이다.
바위 하면 유치환 님의
시가 유명하다.
바위 <유치환>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아예 애련(哀憐)에 물들지 않고
희로(喜怒)에 움직이지 않고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억년(億年) 비정(非情)의
함묵(緘默)에
안으로 안으로 채찍질하여
드디어 생명도 망각하고
흐르는 구름
먼 원뢰(遠雷)
꿈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두 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
세상 살아가면서
일희 일비(一喜一悲)
하는 것이 인간이다.
그러나 때로는 바위와 같은
듬직함을 꿈꾸어 보기도 한다.
목계 같은 사람이 되고 싶어 한다.
조급함이 없이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산을 오르는
사람만이 히말라야를
정복할 수 있다.
-옮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