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는 다른 분들이 많이 언급한 소위 “양인격(陽刃格)”들입니다.
양인격은 대표적으로는 “양인로살” 또는 “양인용살”로 성격되는데
즉 강왕한 월지인 陽刃이 관살을 相神으로 삼아 성격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물론 양인격을 소위 “신강격”의 대표명조로 분류하고
이 양인격의 관살을 喜神으로 보아 이론구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자평진전의 명명법에 따라 “용신+상신” 형태의 명명을 하겠습니다.
즉 양인이 용신이 되고 관살은 희신이 아닌 상신이 됩니다.
이 점을 유의하고 읽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하 평어체로 적습니다.
명조1) 坤命 본각님 명례.
시 일 월 년
丙 庚 丁 丙 坤
戌 辰 酉 午 申酉공망
▶양인격. 투간하지 않은(不透)
혼잡된 丙丁관살상신
양인용살의 패격
혼잡된 관살의 순일운 辛壬을 선용한다.
but) 관살이 혼잡, 중첩되어 완전히 순일될 수 없는 명조로 파격(破格)에 가깝다.
<초년 무술,기해운>
양인이 투하지 않아 인성운이 부담되지 않으니 비록 沖이 있으나 학업은 유지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상신이 되는 관살의 혼잡은 여전히 명조를 패하게 하고 있어
큰 성취가 있기는 어렵다. 이성교제만 활발했을 것이다.
<임진운>
丁壬合으로 합관되나 丁정관의 건전도가 合去한 정도가 아니고
丙칠살은 여전히 중첩되어 패격이다. 즉 격이 맑아진 것이 아니다.
이처럼 차명은 대운이나 세운에 의해서도 성격되기 어려운 구조의 명조가 된다.
다만 월운이나 일진에 의해 단기간 일시적으로 순일해 질 뿐이다.
명조2) 궁통보감 명례. 재상명조
시 일 월 년
丙 庚 丁 丙 乾
子 子 酉 子 辰巳공망
▶양인격. 不透.
혼잡된 丙丁관살상신.
비록 관살이 혼잡되고 無根하지만 지지가 水勢로서 한습하여 조후로써 선용되니
상신이 되고 또 관살의 혼잡은 크게 해가 되지 않는다.
양인로살로 成格되었다.
<초년이후 무술.기해운>
명조에 부재하는 土氣 즉 인성이 운에서 오니 이를 선용하는데
일간과 양인이 천간의 관살과 지지의 水勢에 의해 극설교가되고 있으니
인성의 생조가 기쁠 것이고 학문이 발전했을 것이다.
<경자.신축운>
양인이 庚辛비겁으로 투하여 용신이 되는데
명조에 재성이 동하지 않아 군겁쟁재의 폐해는 없을 것이나
관살의 건전도가 낮아 회재불우의 상태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크게 발흥하지는 못하는 시기이다.
<중년이후 木局>
무근한 弱殺이 생조되어 양인로살격이 三神均定되어 크게 발흥했을 것이다.
이 때 재상이 되지 않았을까 한다.
명조3) 乾命 우신님이 올린 명조 庚子대운 감옥에서 사망
시 일 월 년
甲 庚 丁 丙 乾
申 寅 酉 戌 午未공망
▶양인격. 不透.
혼잡된 丙丁관살과 甲편재가 相神자리를 다투는 형국이다.
沖으로 동하는 寅에 통근한 甲편재의 건전도가 높아서 상신이 된다(三神均定論의 입장)
양인용재에 관살이 혼잡되어 패격이다.
다만 이 명조는 관살이 혼잡되었지만 쇠약하여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데
양인격에 재성이 투한 것이 오히려 더 큰 문제가 된다.
<초년 무술,기해운>
양인이 투하지 않아 용신변화는 없으나
이 명조의 일간은 申酉戌 三支에 多根하여 태왕한 상태이므로
인성의 생조를 크게 기뻐하지 않는다.
더구나 쇠약한 관살마저 인성에 설루되니 호재(護財)의 순기능마저 약해지고 있다.
인성운이 부담스러운 상태가 되니 학업이 끊어지기 쉽다.
<경자운>
운에 의한 용신변화를 인정하는 입장일 경우 庚이 오면 庚비견용신으로 변화한다.
庚비견용신에 甲 丙丁이 상신이 되고자 다투는 모습으로 양인용재의 패격인데
양인이 투하여 비견용신이 되니 무리를 지어 쟁재하는 모습이 된다(群比爭財).
도둑질 등 재물이나 여자 등의 재성을 다투어 감옥에 가게 되었을 것이다.
명조4) 乾命 우신님이 올린 명조. 공무원.
시 일 월 년
甲 庚 丁 丙 乾
申 午 酉 午 申酉공망
▶양인격. 不透
혼잡된 丙丁관살과 甲편재가 있으나 甲은 무근하고
丙丁관살은 午을 2위 얻어 강왕하니 관살이 상신이 된다.
관살이 혼잡되었으니 양인로살의 패격이다.
관살상신의 순일운 즉 辛壬운을 선용한다.
<초년 무술.기해운>
이 영조는 일간이 酉申록왕을 얻어 강왕하여 인성의 생조를 반기지만은 않으나
다행히 관살 또한 강왕하여 위의 명조3)만큼 인성운이 불리하지만은 않다.
다만 관살혼잡을 해소하는 년운에 공무원이 되었거나 다음 庚대운에 되었을 것이다.
또한 운에서 비겁이 와서 양인이 투하였다고 하더라도
재성이 무근한 이유로 군겁쟁재의 폐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경자운>
庚비견용신으로 변화한다(용신변화를 인정할 경우).
甲편재가 투하였으나 무근하여 군비쟁재의 폐해가 없거나 매우 적을 것이다.
다만 子午沖으로 인한 생재의 마음이 커져서 공무원을 그만 두기 쉽다.
명조5) 노고산인님이 올린 양인격. 갑인운 빈곤, 임자운 사법시험합격. 경찰청장.
시 일 월 년
己 甲 乙 癸 乾
巳 申 卯 巳 午未공망
▶양인격. 乙투간. 乙겁재용신.
己정재상신.
양인용재로 패격이기 쉬운데
刑으로 동하는 시지 巳화가 양인과 재성을 통관하여 성격되었다.
묘한 것이 申편관이 귀문과 刑으로 동하여 乙겁재을 기반하고 있는 점이다.
때문에 不透한 양인격과 다르지 않아 일간과 용신이 지나치게 강왕하지 않게 되었고
따라서 癸인성의 생조가 부담이 되지 않는다.
이는 壬子운의 향방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갑인운>
甲己合으로 己정재가 상신이 되지 못하고 巳식신이 상신이 된다.
하지만 巳는 申과 형합되어 동하는 것이니 그 작용이 온전치 않다.
이렇게 식신이 온전치 않으니 밥을 굶는 지경일 수 밖에...
<계축,임자운>
이 명조의 양인은 乙겁재로 투하였으나 일지 申이 기반하여 그 작용이 약해진다.
따라서 투간하지 않은 양인격과 다르지 않게 되므로 壬癸인성운이 크게 불리하지 않다.
더하여 상신인 己재성이 강왕한 운이니 아내, 처가나 여자친구 등의 도움이 컸을 것이다.
<신해,경술운>
관살이 투하여 공직생활.
명조6) 淸 乾隆帝
시 일 월 년
丙 庚 丁 辛 乾
子 午 酉 卯 申酉공망
▶양인격. 辛겁재가 투간하여 용신이다.
혼잡된 丙丁관살이 상신.
양인이 투하였으니 명조의 절반이 넘는 힘을 가진다.
따라서 관살의 혼잡은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양인로살격으로 성격.
운로가 火局에서 木局으로 장구하게 흐르고 있다.
다만 양인인 辛겁재용신의 탈재(奪財)만은 어쩔 수 없었는지
말년에 가서는 청나라의 재정이 거의 바닥이 났다고 한다.
명조에서 봐도 년지 즉 물려 받은 卯정재가 辛,酉에 의해 끊임없이 깨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 명조가 묘한 점은 인성이 동하지 않고 있는 점이다.
죽을 때까지 인성운이 오지 않는다.
만일 재위시에 인성운이 왔었다면 명조의 관살을 설루하고 겁재를 생조하여
재성의 밑둥까지 싹둑 잘렸을 것으로 본다.
결론)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양인격에서는
양인이 투하였을 때의 인성운과 불투하였을 때의 인성운의 희기가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인이 많은 경우 운에서 비겁이 오면
명조에 재성이 동하는가가 명조의 희기를 결정하는 점도 알 수 있다.
투간된 양인격은 양인의 건전도가 매우 높아 인성운이 불리하게 작용하가 쉽다.
특히 명조에 재성이 동한다면 군겁쟁재의 폐가 발생하고
폭력적인 수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
명조3)는 명조 4)보다 일간이 다근하여 편왕한데다가 오히려 관살의 건전도는 낮다.
따라서 인성운이 오면 일간은 인성의 생조를 더욱 반기지 않으니 학업이 잘 될리 없고
관살까지 설루되어 쇠약해지니 상신의 건전도가 낮아져서 명조가 쓸 모가 없어지게 된다.
또 비겁운이 오는 경우에는 재성이 根이 있어 군겁쟁재의 폐해도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양인격은 투간되었느냐의 여부와 운에서 투간되느냐의 여부에 따라
그 희기가 다르고
또 명조 내에 재성이 동하느냐에 따라 그 희기가 다르다.
다만 이러한 점들은 자신의 간법의 체계상
비겁용신의 인정여부와
운에 의한 용신변화의 인정여부
및 格(월지)과 用(신)의 불일치의 인정여부에 따라
그 이론구성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포인트에 대한 일관된 입장을 가져야 발전이 있다고 생각되어 적어본다.
카페 게시글
명리마당
[三神均定論 이론] 양인격(陽刃格)_희기(喜忌)판단
제을/諸乙
추천 0
조회 851
20.03.02 21:34
댓글 15
다음검색
삭제된 댓글 입니다.
노고산인님...제 이론을 블로그에 오셔서 공부하시라고 하기도 그렇고 다 설명하기도 그렇군요. 간단히 말씀 드리자면
양인격이라 하였음은 월지 양인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한 것입니다. 식신격 이런 말처럼요.
양인격이 칠살이 상신으로 성격되었다 또는 양인로살격으로 성격되었다 라고 사용할 때 월지를 치칭하는
말로 양인격이라고 하였고요.
저는 월겁과 양인을 그 강왕함의 차이 정도로 구분하는 입장입니다. 겁재의 극성한 모습이 양인이라 보는 거죠.
노고산인님이 보시는 용신의 의미나 용신을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제을/諸乙 제가 보는 용신은 "명을 결정짓는 글자"이고 그것을 정하는 방법은 "명조 내에서 가장 강왕하게 動하는 글자"를
찾아서 정합니다. 보통 희신이라 하는 것과 구분되니 乙이 甲을 만나 기쁘다고만 할 수 없게 되고요.
그리고 이러한 용신은 월지 格과 일치할 수도 있고(월지 내에서 용신을 찾았으니 내격)
불일치하여 월지 밖에서 찾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외격)
또 비견 겁재도 용신이 된 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고서에서는 이에 대한 확실한 답을 주고 있지는 않지만요.
특히 비견에 대해서는 길흉조차 말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예를 들어 甲일 寅월 甲월간이 있을 경우
@제을/諸乙 일간 甲과 월간 甲은 寅월지에 同根할 뿐이지 둘이 同一한 것은 아니니 비견 甲도 명조 내에서 가장 강왕하게
動하는 글자라면 용신이 된다고 이론구성하고 있습니다.
또 월지 寅은 투하지 않는 한 그 자체로는 용신이 될 수 없어 록겁월이 투하지 않으면
월지 바깥에서 가장 강왕하게 동하는 글자 즉 용신을 찾아야 한다고 봅니다.
다만 양인월지는 그 강왕함이 일반 록겁월보다 더해서 월지 자체가 용신이 될 수 있다고 보고요.
이러한 내용들은 역학동에 일부 글이 있고 제 블로그에도 있습니다만...
노고산인님처럼 자신의 간법을 이룬 분이 굳이 공부?를 하실 필요는 없을 것으로 압니다...
@제을/諸乙 그리고 시지 巳가 刑으로 動한다는 말은
제 이론의 기반 중 하나가 기존의 동정설과 다른 내용인 "新동정설"이라는 것인데
이는 출처가 없고 제가 깨달은? 만든? 이론입니다.
제을이라는 글쓴이로 검색해 보시면 나오니 시간 되시면 참조해 보시면...
그 핵심내용은 "動靜相代 只動攻動"으로 동하는 원인 즉 動因이 있어 동하게 된 글자끼리만
서로 극설생조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동하게 되는 원인에는 투간, 회지 외에 형충도 있다고 보고요.
위 명조에서 시지 巳는 일지 申과 형합으로 동하게 되어 己를 생하는 것이라고 이론구성하는 것이죠.
@제을/諸乙 노고산인님께서 올리신 명조가 甲寅운을 만나 곤궁함은
저 명조의 상신이 되는 己정재를 甲운간이 합하여 상신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글자를 상신으로 삼아야 할 것인데
일지 申은 역시 刑으로 동하여 월간 乙겁재와 기반되고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이 역시 제대로 상신이 될 수 없다고 보는 거고요.
시지 巳만이 상신으로 작용한다고 보는 겁니다. 다만 刑沖으로 동하는 글자는 투간이나 회지와 달리
그 건전성이 불안하여 글자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그래서 식신이지만 곤궁하다고 통변하는 것이고요.
댓글로 제 이론(삼신균정론이라 칭하고 있습니다)을 설명해 드리려니 힘드네요.
간단히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글을 올린 것이니 참조만 하시기를...
제가 글을 올리는 이유 중 하나는
각자의 간법이 다 다르겠지만, 그래도 자신의 이론 내의 일관성이라도 있는 것이 옳다는 뜻으로 올리는 것입니다.
난간의 대척점인 양인격이지요
제을님 내용의 관법은 여러 번 봐 왔던차라 내용에 전달코자 하는 의미는 이해는 합니다
자료 내용이 좀 방대한 분량이라 한 명식에만 집중합니다
위 자료가 며칠 전 올라왔을 때 반가웠습니다<귀중한 학습자료>
그런 취지에서 토론에 편승해 봅니다
己 甲 乙 癸 乾
巳 申 卯 巳
되도록 자평진전 내용은 두 분다 인식된 내용이니 가급적 중언부언은 절제하겠습니다
격국의 정법은 양인격입니다
단 정도와 이도의 분별로 성격과 파격을 관찰할 명입니다
그러나 양인용재는 격국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제을님 내용은 이도의 접근법으로 다만 재성이 구신은 될 수 있습니다
이도의 분별 조건은
비겁으로 身旺을 이룬 것인가, 편인에 의한 身旺을 이룬가에 따라 판단을 하지요
위 명식은 식신을 相神삼아 양인의 성격을 이룹니다
이때 편인이 重하면 편재<정재도 무방>로 견제해 파격을 면하는 구응신이지요
한편 비겁이 重하면 재생살로 구응해 파격을 면하지요
결국 식신이 相神으로 편재와 편관은 구신이며 비견겁과 편인<도식>이 기신이지요
이런 배합의 견제에 따라 길흉을 측정하지요
그런 측면에서 壬子運 재성의 유무가 관건이지요
물론 겁재를 재생살로 통제하고 있다는 점이 휼륭하다는 것이며
<乙庚 겁재기반>
이때 비겁에 통제가 불가능 하면 재성 분탈이 일어나지요
<寅申충>
그래도 巳火가 申金을 동조해 겁재를 통제하고 있습니다
이 명식을 개인적으로 좀더 확장해 본 점은
앞전에 천기에 따라 지지의 시간과 공간의 질서에 두 가지 중
이번 경우는 비록 간지가 동주하지 않았지만 卯申암합에 甲己가 乙庚을 生한다는 점이지요
그래서 위 명식에 흥미러움을 더 느꼈던 것같습니다
이런 경우
경쟁자 보다 고속승진에 빠른점이 있다면
財生官의 통로로 이뤄질 거란 경우를 생각해 봤습니다
나중에 노고산님께서 이런 정보를 알고 있다면 언질한 번 주시면 좋겠습니다
두 분 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소 노고산인님과 우신님 등의 글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는데 오늘 제을님의 글에서 눈이 확 뜨이는 것을 느꼈습니다.
고맙습니다.
정리안된 난제가 있었는데 실마리를 풀수있게 된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만현님 감사합니다.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