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마산 아귀 요리
인천에서는 아구(표준어 아귀)를 '물텀벙'예전에 인천 어부들이 조업하다
그물에 모양이 워낙 흉측하고 살이 적은 아귀가 그물에 걸리면 재수 없다며
곧바로 물에 '텀벙' 소리 나게 던져 버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지금은 버리기커녕 없어서 못 먹을 정도로 귀하고 비싼 음식으로 변해 식도락가들에게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인천과 서울, 마산 등지에는 아귀 음식거리가 형성돼 있을 정도다.
겉모습만 보고 함부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말은 아귀에게도 해당되는 것 같다.
아귀는 못 생긴 모습과는 달리 당야한 맛을 내는 살을 가졌고,
아가미, 지느러미, 알집, 간, 꼬리, 껍질까지 먹을 수 있는 생선이다.
저열량.저지방.고단백 식품..인천 '물텀벙' 유명
아귀는 다소 깊은 곳 바다에서 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와 서해에서 주로 잡힌다.
아귀는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입 주변에 살이 많다.
배의 절반가량은 내장인데 특이한 맛이 있어 버릴 게 많지 않다.
아귀는 보통 탕과 찜으로 만들어 먹는데 인천에서는 생물 아귀로 만드는 탕이 유명하고,
마산에서는 주로 말려 찜을 한다.
아귀는 저열량,저지방,고단백 식품으로100g당 칼로리는 60kcal, 지방 함량은 0.6g, 단백질 함량은 14.4g에 달한다.
아귀는 주독을 해소하는데 좋고 당뇨병.동맥경화증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드러우면서도 탱글한 살에는 타우린이 풍부하고 비타민d도 다량들어 있다.
쫄깃쫄깃한 껍질에는 비타민b2와 콜라겐이 풍부해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인천의 물텀벙이 유명해진 데는 사연이 있다.
우씨(82) 할머니가 1972년 인천항에서 가까운 남구 용현동에 조그만 음식점을 차려 남들이 거들떠보지 않는 물텀벙에 미나리와
콩나물 등을 넣고 푹 끓여 팔았는데 얼큼하면서도 담백해 부두 노동자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값이 당시 다른 생선에 비해 싼 데다 국물은 진하고 시원해 소주 안주로는 그만이었다.
이 때문에 값싼 술국구에 불과했던 물텀벙은 이떄부터 인천의 별미로 떠올랐다.
우씨 할머니가 운ㅇ여하는 '성진물텀벙'이 유명세를 타자 인근에 물텀벙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음식점이 10여곳 늘어나면서
1980년대에 인천 남구에 의해 '물텀벙 특화음식거리'로 지정됐다.
성진 물텀벙이 1997년 이름을 '성진아구탕'으로 바꾸고 가게를 크게 키워 연수구 옥련동으로 이전한 뒤
다른 음식점들도 줄어들기 시작해 지금은 4곳만 남았다.
대신 물텀벙거리 음식점들과 비슷한 맛을 내는 식당들이 인천 곳곳에 생겨났다.
인천의 아귀 음식점들은 까다롭게 요리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생물만 고집할 뿐 아니라는 가장 맛있다는 4~5kg짜리 아귀를 주로 쓴다.
또 냉동된 아귀를 취급하는 곳에서는 구경할 수 없는 내장부분의 밥주머니와 간, 이리(정액 덩어리)등을 골고루 섞어 준다.
다른 지역 아귀 음식점들이 찜을 주종으로 하는 것과는 달리 인천에서는 탕이 주류를 이룬다.
아귀는 미나리, 콩나물, 미더덕, 쑥갓, 깻잎, 냉이, 호박 등 10여 가지 재료를 듬뿍 넣고 끓이면 쫀듯하고 개운한 맛이 우러난다.
고기보다 먼저 익는 미나리와 콩나물을 간장에 찍어 겨자를 섞은 양념장에 찍어 먹으면 휼륭한 애피타이저가 된다.
탕에 들어가는 육수는 아귀뼈를 우려낸 물에다 멸치, 새국물에 쫄리사리를 넣어 끓여 먹거나 밥을 뽂아 먹는 것도 별미다.
아귀탕은 주로 남겅들이 술안주로 즐기는 데 비해 아귀짬은 대체로 여성들이 선호한다.
깨끗하게 다듬은 콩나물과 미더덕.새우 등을 고추와 마늘 양념에 비벼 아귀살과 함께 쪄 내는데 매콤하면서도 담백한 멋이 일품이다.
먹다보면 콧등에 땀이 맺힐 정도로 매운맛에 빠지게 된다.
아귀찜에는 콩나물이 유달리 많이 들어가는데 아귀와 아삭한 콩나물의 조화가 관건이다.
짬 자체가 반찬이다 보니 다른 반찬에는 손이 가질 않는다.
아귀는 특이하게 생겼듯이 부위도 잘 골라 먹어야 참맛을 느낄 수 있다.
우선 순살보다는 뼈에 붙은 살이 맛있다.
물렁뼈에 붙은 부드럽고 쫄깃한 속살은 입에 넣으면 씹히는 맛이 특이하다.
아귀뼈는 굵어 마치 소갈비를 연상시킨다.
유별나게 큰 아귀 입 주변 볼살과 꼬리, 껍질도 맛이 좋다.
이러는 물렁뼈에 붙어 있는 부드럽고 쫄깃한 속살을 입에 넣으면 씹히는 맛이 좋다.
이리는 고소한 맛에 술꾼들이 즐겨 찾는데 특수부위인 만큼 아주 적은 양만 제공된다.
아귀찜 원조 경남 마산..마산어시장 인근 아귀찜거리도
경남 마산은 아귀찜 원조라고 할 수 있다.
1960년대 마산 바닷가 한 갯장어 식당에서 최초로 찜을 만들어 먹기 시작한 게 시초라고 전해진다.
당시 마산항을 드나들던 어부들은 주변 식당에 아귀를 공짜로 갖다 줄테니 요리해 보라고 권했지만
식당마다 가치 없는 생선이라고 거들떠보질 않았다.
그러던 중 갯장어 식당 주인이 바닷가 담장 위에 마른 상태로 버려져 있던 아귀에 된장과 고추장, 콩나물, 미나리, 파 등을 넣고
찜으로 만들어 어부들 술상에 안주로 올렸더니 반응이 좋자 아귀를 다른느 음식점이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했다.
현재 마산어시장 근처 옫오동 일대에 있는 아귀찜거리에는 전문식당이 20여곳이 길 양쪽에 쭉 늘어서 있다.
창우너시는 이곳을 '마산 아구찜거리'라고 이름 붙이고 입구 에 간판 조형물을 세워 놨다.
아귀찜거리 음식점들은 찜을 비롯해 탕, 수육, 불고기, 포 등 아귀를 재료로 다양한 요리를 한다.
전국적으로는 상호에 '마산'을 넣은 아귀찜 식당들이 많이 생겨났다.
마산 아귀찜은 12우러부터 이듬해 2우러까지 갓 잡은 아귀를 바람이 잘 통하는 바닷가에서 말려서 쓴다.
아귀를 20~30일간 수시로 뒤집어 사며 골고루 말려야 일년 내내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고유의 맛도 유지된다.
마산 아귀찜거리에서 '오동동 아구할매집'은 원조 식당으로 꼽힌다.
시할머니(안소락) 때 시작해 시어머니(김삼연)를 거쳐 현재 며느리(한유선)에 이르기까지 3대째 이어 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통령이 창원을 방문했을 때 수행원들과 이곳에서 점심식사를 했다.
김삼연(73)씨는 대통령께서 '아귀 요리를 개발하고 지역의 대표 음식으로 전국에 알리는 데 노고가 많았다'며 격려해 줬다'고 말했다.
인천의 아귀 요리 원조인 '성징아귀탕'에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다녀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창원시는 2009년 마산 향토음식인 아귀찜을 세계적인 음식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 5월 9일을 '아구게이'로 선포하고
해마다 이날을 전후로 아동동 일대에서 '아구데이 축제'를 개최한다. 인천 김힉준 기자/ 창원 강원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