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울 신(辛)자는 죄를 지은 사람에게 벌로 문신을 했던 옛 풍속에서 생긴 글자입니다. 매울 신(辛)자는 문신에 사용하는 뾰족한 도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辛
허물 고(辜)자는 의부(義符)로 매울 신(辛)자에 성부(聲符)로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세월이 많이 지난, 죽은(十) 입(口)을 표시해서 오래 되었음을 표시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무덤을 표시한 글자로 보기도 합니다.
辜
말씀 사(辝,辞,辤,辭)자는 매울 신(辛)자에 별 태(台)자, 혀 설(舌)자, 받을 수(受)자, ‘𤔔’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 혀 설(舌)자, 받을 수(受)자는 모두 ‘𤔔’자의 변형입니다. ‘𤔔’자는 손을 나타내는 손톱 조(爪)자와 또 우(又)자 사이에 주고받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말씀은 서로 주고받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혀 설(舌)자는 말씀은 혀에서 나온다는 말이고, 별 태(台)자는 사사 사(厶)자 아래에 입 구(口)를 해서 말씀은 입에서 나온다는 뜻이고, 받을 수(受)자는 ‘𤔔’자의 약자(略字)로 보면 좋을 듯합니다. 결국 말씀이란 서로 주고받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에서 매울 신(辛)자는 벌을 몸에 새기는 형벌에 사용하는 침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에서 형벌에 사용하는 침을 쓴 것은 형벌은 재판을 통해서 죄에 맞는 형벌을 내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죄에 맞는 형벌을 내리려면 서로 말을 주고받아서 가장 합리적이고 올바른 결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는 죄인을 다스리는 데에 필요하고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辝
辭
임금 벽(辟)자는 매울 신(辛)자에 '𡰪'자를 했습니다. '𡰪'자는 죄인의 몸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여기서 매울 신(辛)자는 죄인의 몸에 죄목을 새기를 침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임금 벽(辟)자는 백성들에게 벌을 주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辟
허물 죄(辠)자는 자신(自身)의 몸을 나타내는 스스로 자(自)자 아래에 매울 신(辛)자를 해서 허물, 즉 죄를 몸에 새겼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
= 辠
따질 변(辡)자는 매울 신(辛)자를 두 개 좌우(左右)로 나란히 한 글자입니다. 죄(罪)에 알맞은 벌(罰)을 따진다는 뜻입니다.
辡
매울 랄(辢,辣)자는 의부(義符)로 매울 신(辛)자에 성부(聲符)로 묶을 속(束)자를 했습니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 목(木)자의 중간에 입 구(口)자를 해서 나무를 묶은 표시를 했습니다. 어그러질 랄(剌)자도 묶을 속(束)자가 들어 있어서 '랄'로 읽습니다.
+
= 辣
말씀 사(辤)자는 매울 신(辛)자에 별 태(台)자, 받을 수(受)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 혀 설(舌)자, 받을 수(受)자는 모두 ‘𤔔’자의 변형입니다. ‘𤔔’자는 손을 나타내는 손톱 조(爪)자와 또 우(又)자 사이에 주고받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말씀은 서로 주고받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혀 설(舌)자는 말씀은 혀에서 나온다는 말이고, 별 태(台)자는 사사 사(厶)자 아래에 입 구(口)를 해서 말씀은 입에서 나온다는 뜻이고, 받을 수(受)자는 ‘𤔔’자의 약자(略字)로 보면 좋을 듯합니다. 결국 말씀이란 서로 주고받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에서 매울 신(辛)자는 벌을 몸에 새기는 형벌에 사용하는 침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에서 형벌에 사용하는 침을 쓴 것은 형벌은 재판을 통해서 죄에 맞는 형벌을 내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죄에 맞는 형벌을 내리려면 서로 말을 주고받아서 가장 합리적이고 올바른 결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는 죄인을 다스리는 데에 필요하고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辝
辭
다스릴 예(䢃)자는 의부(義符)로 임금 벽(辟)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벨 예(乂)자를 했습니다. 벨 예(乂)자는 가위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풀을 벤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䢃
허물 설(辥,辪)자는 매울 신(辛)자를 하고, 왼손 좌(屮)자에 '𠂤'자를 하고, 발 지(止)자 아래에 '𠂤'자를 했습니다. 스승 사(師)자에서 '𠂤'자는 아이들을 지켜보는 눈을 그린 글자이고, 임금 벽(辟)자에서는 몸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허물은 손(屮)과 발(止)로 짓는 것입니다. 허물은 손(屮)과 발(止)로 몸(𠂤)에 짓는 것입니다.
辥
힘쓸 판(辦)자는 의부(義符)로 힘 력(力)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힘쓴다는 뜻으로 힘 력(力)자를 매울 신(辛)자 두 자(字) 사이에 했습니다. 여기서 매울 신(辛)자 두 개는 죄(罪)에 합당한 벌(罰)을 따진다는 뜻입니다. 다스릴 판(辧), 외씨 판(瓣)자도 따질 변(辡)자가 들어 있어서 ‘판’으로 읽습니다.
辦
다스릴 판(辧)자는 의부(義符)로 칼 도(刀)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 두 자 사이에 칼 도(刀)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칼 도(刀)자는 죄(罪)에 합당한 벌(罰)을 잘 따져서 집행(執行)한다는 뜻입니다. 힘쓸 판(辦), 외씨 판(瓣)자도 따질 변(辡)자가 들어 있어서 ‘판’으로 읽습니다.
辧
분별할 변(辨)자는 의부(義符)로 칼 도(刂)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 두 개 사이에 칼 도(刂)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칼 도(刂)자도 죄(罪)에 합당한 벌(罰)을 알맞게 내렸다는 뜻으로 칼 도(刂)자를 했습니다. 분별한다는 것은 죄(罪)의 경중(輕重)을 잘 따져서 벌(罰)을 정했다는 뜻입니다.
辨
판별할 변(辩biàn)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를 두 개 좌우(左右)로 배열하고 그 사이에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말씀의 뜻은 죄(罪)에 합당한 벌(罰)을 내렸다는 뜻입니다. 판결은 말로 하기 때문입니다. 말씀 언(讠)자는 말씀 언(言)자의 약자(略字)입니다.
辩
땋을 변(辫,辮)자는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를 두 개 하고 그 사이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갈래 머리를 땋을 때 두 갈래를 해서 서로 땋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
= 辮
얼룩얼룩할 반(辬)자는 글월 문(文)자에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글월 문(文)자는 무늬 문(文)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따질 변(辡)자는 매울 신(辛)자를 두 개 해서 무늬가 같은 모양이 계속 이어지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
= 辬
말씀 사(辭)자는 매울 신(辛)자에 ‘𤔔’자를 했습니다. ‘𤔔’자는 손을 나타내는 손톱 조(爪)자와 또 우(又)자 사이에 주고받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말씀은 서로 주고받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결국 말씀이란 서로 주고받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에서 매울 신(辛)자는 벌을 몸에 새기는 형벌에 사용하는 침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에서 형벌에 사용하는 침을 쓴 것은 형벌은 재판을 통해서 죄에 맞는 형벌을 내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죄에 맞는 형벌을 내리려면 서로 말을 주고받아서 가장 합리적이고 올바른 결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말씀 사(辝,辞,辤,辭)자는 죄인을 다스리는 데에 필요하고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辝
辭
땋을 변(辮)자는 의부(義符)로 실 사(糸)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를 두 개 하고 그 사이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갈래 머리를 땋을 때 두 갈래를 해서 서로 땋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
= 辮
수삼 시(䢄)자는 의부(義符)로 매울 신(辛)자에 나무 목(木)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모시풀 시(枲)자를 했습니다. 매울 신(辛)자에 나무 목(木)자를 한 것은 모시풀이 껄끄러워 가시가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풀임을 나타냈습니다.
+
+
= 䢄
말 잘할 변(辯)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따질 변(辡)자를 했습니다. 죄(罪)의 경중(輕重)을 잘 따져서 말을 적절하게 잘 한다는 뜻으로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