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제목:<다시 읽는 민주주의와 교육>
부제:대전환 시대, 삶과 생명의 교육철학
저자:존 듀이
역자:심성보
쪽수:620
값:32000원
초판발행일:2024년1월13일
입고일:2024년1월15일
바코드:979-11-5930-273-2(93370)
판형::153*224mm
*저자 소개
저자- 존 듀이 (John Dewey)
저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 교육학자이자 사회사상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더불어 오늘날 더욱 각광받고 있다. 포스트-포스트모더니스트라 불리기도 하는 그는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저작을 남겼는데, 철학분야의 주저로는 「경험과 자연」(1925) 「확실함의 열망」(1929) 「경험으로서의 예술」(1934) 등이 있고, 교육분야의 주저로는 「민주주의와 교육」(1916) 등이 있다.
옮긴이- 심성보
현 부산교육대학교 명예교수. 퇴직 후 서울시 교육청 민주시민교육 자문위원장, 경기도 교육청 인성교육 부자문위원장과 함께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상임대표,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함께배움 상임이사 등을 맡으며 민관학 영역에서 열심히 교육 개혁 운동을 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5
옮긴이의 말 | 『민주주의와 교육』을 왜 다시 읽어야 하는가? 6
1장 삶과 생명의 필요로서의 교육 19
전승에 의한 삶의 갱신 20 / 행함으로서의 경험 21 / 집단의 연속성을 위
한 필요로서의 교육 22 / 소통으로서의 배움 23 / 형식교육의 위상 27 / 우
연적 배움과 의도적 가르침의 균형 29 / 요약 31
2장 교육의 사회적 기능 33
환경의 성격과 의미 34 / 학습과 사회적 환경 36 / 사회적 매개체의 교육적
영향 42 / 특별한 환경으로서의 학교 45 / 요약 49
3장 지도로서의 교육 51
환경의 지도성 52 / 사회적 지도의 유형 55 / 학습활동의 지도와 성인의 역
할 57 / 적응적 반응과 지적 행위 59 / 사회적 통제와 협동적 관계 62 / 모
방과 사회심리학 65 / 원시인과 문명인 비교 그리고 교육적 함의 69 / 지성
은 경험에 형식과 구조를 부여하는 것 71 / 요약 73
4장 성장, 습관 그리고 가소성을 위한 교육 75
성장의 의미와 조건 76 / 성장의 표현으로서의 습관 82 / 발달 개념의 교육
적 관련 86 / 요약 90
5장 불확실한 미래와 준비설, 발현설 그리고 형식도야설 93
삶을 위한 준비 교육 94 /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 95 / 발현으로
서의 교육 96 / 능력 훈련으로서의 교육 102 / 요약 110
6장 과거와 미래의 접점으로서의 보수적 교육과 진보적 교육 113
형성으로서의 교육 114 / 반복과 회고로서의 교육 117 / 교육에서 과거의
역할은 무엇인가? 119 / 재구성으로서의 교육 123 / 사회적인 것으로서의
경험의 재구성 126 / 요약 127
7장 민주적 교육과 연합적 삶의 유형 129
인간 연합의 함의 130 / 집단 성원들 사이의 공통되고 공유된 관심 133 /
결사체와 집단의 충분하고 자유로운 상호작용 134 / 민주주의의 이상과 민
주적 공동체 137 / 플라톤의 교육철학 139 / 18세기 개인주의의 이상 143
/ 국가 교육과 사회 교육 145 / 요약 152
8장 교육목적의 민주적 이론 155
민주적 사회와 교육목적의 성격 156 / 좋은 목적을 위한 준거 161 / 예견
되는 결과 162 / 목적을 교육에 적용하기 164 / 교육목적의 민주적 통제와
권위적 통제 167 / 교육목적의 연속성 168 / 요약 169
9장 자연적 발달, 사회적 효율성 그리고 교양을 위한 교육목적 171
동시대 교육에 대한 도전 172 / 교육목적을 제공하는 자연 173 / 교육목적
으로서의 사회적 효율성 181 / 교육목적으로서의 교양 184 / 요약 187
10장 민주적 목적을 위한 흥미와 도야의 재구성 189
민주적 목적의 형성과 공유 190 / 흥미의 뜻 190 / 도야의 뜻 194 / 흥미
와 도야의 재구성 197 / 교육에서 흥미의 중요성 198 / 흥미와 지성의 밀접
성 200 / 흥미와 수업의 연계 201 / 도야와 의지의 관계 202 / 흥미의 사회
적 측면과 계급 분리 205 / 작업과 환경을 통한 흥미 206 / 요약 208
11장 배움의 혁신을 위한 경험과 사고 211
경험의 성격 212 / 학교에서 마음-몸 이원론의 문제 214 / 경험에서 성찰
의 위치 219 / 교육자를 위한 도전으로서 사고의 역설 223 / 요약 227
12장 새로운 교육을 위한 사고의 역할 229
사고의 교육적 기능 230 / 수업 방법의 핵심 231 / 문제 상황과 해결의 실
마리 235 / 사고의 도약과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 237 / 사고와 연관된 현대
교육의 문제 240 / 요약 244
13장 교과의 지성적 참여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247
교과의 지적 참여 248 / 교과와 교수학습 방법의 동일성 252 / 일반적 교수
방법과 개별적 교수 방법 255 / 개별적 교수학습 방법의 특성 259 / 요약
267
14장 행함을 통한 배움을 교과와 결합하기 269
교육과정과 교과 270 / ‘행함으로서의 배움’을 과거의 집단적 경험과 결합
270 / 교육자의 교과와 학습자의 교과 272 / 학습자에게 교과 발달의 의미
275 / 행함으로서의 배움 276 / 과학 또는 합리화된 지식 280 / 교과의 사
회적 성격 284 / 요약 286
15장 놀이와 노작 그리고 배움 287
교육에서 활동적 작업의 위치 288 / 학생이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작업 290
/ 학교에서 하는 노작과 놀이 297 / 요약 302
16장 지리와 역사의 경계를 배우는 의의 305
원초적 활동의 의미 306 / 연계를 확장하는 법을 가르치고 배우기 308 /
역사와 지리의 상보적 성격 309 / 경계의 한계와 가능성 312 / 역사와 현재
의 사회적 삶 314 / 요약 319
17장 과학적으로 아는 것은 민주사회의 본질 321
과학의 본질 322 / 논리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의 결합 323 / 과학과 지적
발달 그리고 사회적 진보 327 / 추상화와 일반화의 올바른 이해 330 / 교
육에서 자연주의와 인문주의 그리고 민주주의 333 / 요약 335
18장 교육적 가치로서 상상력, 성장 그리고 성취의 문화 337
실감과 감상의 본질 338 / 진정한 기준의 필요 341 / 참여하는 상상력 343
/ 미적 완결 345 / 여러 교과의 가치 346 / 가치의 분리와 조직화 353 / 요약
359
19장 교육을 통해 노동과 여가를 다시 생각하기 361
노동과 여가가 대립된 기원 362 / 사회적 산물인 노동과 여가 363 / 수단
과 목적의 재개념화 364 / 그냥 사는 것과 가치 있게 사는 것 365 / ‘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과 ‘아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 366 / 노동을 위한
교육과 여가를 위한 교육 370 / 현대의 상황 374 / 요약 375
20장 지적 교과와 실제적 교과의 대립 377
경험과 참된 지식의 대립 378 / 고대 그리스의 오류 378 / 경험과 지식에
관한 현대 이론 383 / 근대적 경험과 실물수업 385 / 감각적 경험론의 결함
386 / 실험으로서의 경험 389 / 이론적 교과와 실제적 교과의 대립 391 /
요약 394
21장 자연교과와 인문교과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397
자연교과와 인문교과의 갈등 398 / 인문교과의 역사적 배경 398 / 자연에
대한 현대 과학의 관심 402 /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407 / 요약 413
22장 개인과 세계의 상호적 관계 415
개체성과 번영하는 사회의 관계 416 / 개인주의,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416 / 재구성의 주체로서 개인의 마음 419 / 개인주의와 사회 진보의 원동
력 422 / 개별적 의식에 대한 도덕철학의 대응 424 / 교육적 함의와 적용
428 / 개체성의 이중적 의미 429 / 요약 433
23장 자율성과 작업 그리고 교육의 직업적 측면 435
직업의 의미 436 / 교육에서 직업적 목적의 위치 438 / 직업교육의 가능성
과 위험 요인 442 / 요약 451
24장 민주주의 위기 시대의 교육철학 455
철학과 민주주의 456 / 철학의 본질 459 / 철학적 문제와 사회적 실천 464
/ 교육과의 연관성 467 / 요약 469
25장 사회의 진보를 위한 앎과 지식의 이론 471
연속성 대 이원론 472 / 이원론의 극복 475 / 지식을 획득하는 여러 방법
480 / 감각주의와 합리주의의 대결, 그리고 실용주의적 앎 484 / 요약 486
26장 의식적으로 성장하고 쇄신하는 삶을 위한 도덕이론 489
마음과 활동을 분리하는 이원론 490 / 도덕적 사고의 내적 동기와 외적 결
과 490 / 선의의 반작용 493 / 의무와 흥미의 대립 및 호환성 495 / 자아
의 이동과 확장 498 / 지성과 인격 500 / 사회적 성질과 분리된 도덕적 성
질의 문제 504 / 도덕성 발달을 위한 학교의 조건 506 / 요약 508
옮긴이 주 510
옮긴이 해제 539
참고문헌 599
찾아보기 604
*책 소개
『민주주의와 교육』을 왜 다시 읽어야 하는가?
세계 교육사의 최고 고전,
존 듀이 사상의 결정판을 109년 만에 다시 읽다!
이 책은 민주주의 사회에 내포된 이념을 탐색하고 진술하며, 그 이념을 교육의 실제 문제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공교육의 구성적 목적과 방법에 필요한 여러 조치를 포함하며, 민주화 이전의 사회 상황에서 체계화된 지식의 이론과 도덕성 발달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책에 진술된 철학은 민주주의 성장을 과학의 실험 방법, 생물학의 진화이론 그리고 산업의 재조직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러한 방면의 발달이 교육 내용과 방법에 어떤 변화를 가져 오는지 지적하는 데 관심을 둔다.
듀이는 이 책에 학교의 사명에 관한 교육학, 교육정치, 교육정책에 대한 여러 가지 함의를 담아냈다. 그는 과학의 진보, 산업혁명 그리고 민주주의 진보에 따라 철학의 재구성, 사회적 이상의 재구성 및 이에 따른 교육의 재구성을 위한 교육개혁이 요청된다고 역설한다.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하고 발달하는 존재로서 세상과 교육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주변 세계를 깊이 이해해야 '새로운 아이'가 탄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세상'은 도래할 것이다. 이렇게 사회 및 교육의 대전환을 요구하는 시대 상황에서 새로운 교육사상적 자양분으로 <민주주의와 교육>을 읽고 논의하는 민주적 학습공동체들이 출현하기를 고대한다.
*인문학의 둥지, 살림터는
삶을 사랑하는 마음이 강물처럼 흐르는 좋은 책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