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오대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금년 들어
처음으로 우리나라 남부지역(부산 )에서 확인됨에 따라 ‘일본뇌염주의보’를 발령함
- 이는 1980년 매개모기 감시체계를 도입한 이후 가장 이른 시기에 주의보를
발령하는 것이며
-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모기의 활동과 생태가 변화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됨
부산에서 발견된 일본뇌염모기는 부산지역내 조사지점 9개소 중 기장군 우사 1지점에서
채집된 것으로 나머지 주택가 및 농가지역 등에서는 채집되지 않았음.
□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15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자녀의 접종력을(5회) 확인하여,
미접종시에는 인근 보건소나 병의원을 방문하여 가능한 빨리 접종을 맞도록 하고
- 자녀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가정내 환경을 조성하고, 모기가 활동하는 해가 진 이후
(저녁 7~9시)와 새벽(오전 4~6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토록 당부하는 한편
- 일선 보건소에는 물웅덩이 및 늪지대 등 모기 서식처를 제거하고 가축사육장 등
취약지역에 대한 살충소독을 강화할 것을 요청함
※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발령일, 환자발생현황
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현재)
주의보 발령일 5/30 5/14 5/9 5/23 5/8 4/26
경보 발령일 8/18 8/6 9/26 8/27 8/6 -
환자발생수(명) 0 1 6 1 0 0
※ 주의보 및 경보 발령 기준
* 주의보 발령 : 일본뇌염 매개모기 최초 채집시
* 경보 발령 : 다음 4가지 중 한 가지 조건이라도 충족시 발령
- 특정지역에서 1일 저녁 채집된 모기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500마리 이상으로
전체 모기 밀도의 50% 이상일 때
- 채집된 매개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된 경우
- 돼지 항체가 양성율이 특정지역에서 50% 이상인 경우 또는
돼지혈청에서 IgM(초기항체)이 검출되는 경우
-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할 경우
※ 일본뇌염 표준예방접종 기준
* 기초접종(3회) : 1차(생후 12~24개월)
2차(1차 접종후 7~14일 사이)
3차(2차 접종일로부터 12개월 후)
*추가접종(2회) : 4차(만6세)
5차(만12세)
첫댓글 고마워요. 우리집에서 접종대상이 한 놈 있네요. 미리미리 단도리를 잘하여 슬기롭게 여름을 잘 보냅시다요. ^^
여러가지 정보를 카페에 올리시니 더욱 카페가 빛나 보입니다 항상 좋은일 많이 생기시길
인터넷에 안빠지는 예방접종백신있으모 갈카주이소...정보감사합니다 좋은 날되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