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 2022.8.30.화
■코스:
① 무안군 청계면 마곡사-기도
처-삼바실폭포-호랑이굴/원점
회귀
*1.2KM 승용차로 이동
②무안군 청계면 팽나무-개서
어나무숲/원점회귀
*17.6KM 승용차로 이동
③삼향읍 대봉산-국사봉: 군산
동 마을회관-대봉산-국사봉-영
산기맥 갈림길-좌틀-유달학생
야영장 갈림길-좌틀-제4수원
지 옆 단풍나무숲 광장-군산동 마을회관/원점회귀
*25.9KM 승용차로 이동
④운남면 대박산: 혜운사-대박
산/원점회귀(1.1KM)
■구간거리/평균속도
○마곡사: 0.6KM/
○청계면 팽나무-개서어나무
숲: 0.6KM/
○대봉산-국사봉: 7.9KM/2.8
KM
○대박산: 1.1KM/2.2KM
■동반자: 심공님, 청오산님
■차기 산행지
○9.1(목): 거창 조두산(오두봉
,942M)/빛고을목요산악회
○9.4(일): 경기 안성시 서운산
(547M)/광주힐링산악회
○9.6(화): 함양 인산동천 트레
킹/효성산악회
○9.14(수): 경남 함양 삼봉산
(1,187M) 백운산(903M)-금대
산(851.5M)/청록산악회
○9.17(토): 남파랑길 81코스, 가우도~마량항/목송사랑트레
킹산악회
○9.18(일): 울산 대왕암 트레
킹/한길산악회
○9.23(금): 하동 북천면 계명
산-이명산-시루봉, 코스모스 축제
○9.25(일): 금산 남이휴양림 산림문화타운-월영산 출렁다
리/둘레길동호회
○9.27(화): 의령 친수공원 댑
싸리.핑크뮬리 + 수도사-신덕
산(582M)
○9.29(목): 함안 평지산(491.
4M)-베틀산(436.5M)/빛고을
목요산악회
○10.4(화): 하동군 정안산
(鄭晏山,448m)-매봉 + 하동읍
성-양경산(144.6M) 연계 산행
○10.14~15(무박2일): 강원 동해시 쉰움산-두타산-베틀바
위/웰컴투산악회
○10.19~21(2박3일, 특별산
행): 철원군 주상절리 잔도길~
양구군 DMZ 펀치볼둘레길(오
유밭길~인제군 자작나무숲 + 파라호한반도 섬 트레킹/빛고
을목요산악회
○10.25(월): 임실 지초봉(570
M)-원통산(603M)-시루봉
○10.??(): 경남 의령군 만지산
-성현산-외고지산/찰비계곡
○10.??(화): 경남 김해 굴암산
(663.1M)
○10.??(목): 공주 계룡산(846
.4M)-신원사 계곡 미답 코스
○10.??(): 진안 부귀산(806M)
○10.??(): 담양 병장산(685M)
-능주봉
○10.??(토): 곡성 청계동계곡-동악산(737.1M)
○10.??(): 논산 천호산(371m
)-두리봉-계룡시 천마산(287M
)
○10.??(): 무주덕유산자연휴
양림-선인봉(1148M)/원점회
귀
○10.??(): 부산 황령산(427M
)-금련산(415M)
○10.??(): 무주 백운산(981.3
M)-깃대봉(1,055M)청량산
(1,122M)/원점회귀
○담양 용흥사계곡-용구산
(726M,병풍산)
○완주군 비봉면 천호산(501
M)-갈매봉(370.5M)-수봉산
(425.5M)-승주봉(285M)
○논산 모련봉(묘련봉) 5.5KM + 대전 천비산(465.6M)-중암
사-안산(264.1M) 5.3KM + 연
계 코스
○10.??(): 충남 금산 금성산 술래길
○10.??(): 정읍 정읍사 1~3코
스/18.9KM
○10.??(): 전주 기린봉(307M
)-인후공원
○10.??(): 경남 의령군 지파산
(544.9M)-국사봉(688M)
○10.??(?)화순 한천 돗재-태
악산-노인봉-성재봉/동가리계
곡
○10.??(): 전주 완산칠봉
○10.??(): 완주 동성산(558M)
-안수산.계봉산(554M)
○10.??(): 충북 충주 남산(636
M)-계명산(775M), 산림청 선
정 숨은 명산 244
○10.??(): 구례 봉성산(166M)
-갈미봉(497M)-깃대봉(243M
)-제비재-병방산(160M) 코스
○10.??(): 부산 승학산(497M)
+아미산 응봉,234.1M) 봉수대
-아미산 전망대 다대포해수욕
장 몰운대
○10.??(): 남원 비홍재-문덕봉
(598.1M)-고정봉(605M)
○충북 음성 수레의산(679.4
m)-수리산(599m)
○10.??(): 부산 황령산(427m
)-금련산(415m)
○10.??(): 경기도 포천 종자산 + 가평 주금산 연계산행(블야 100+ 명산)
○10.??(): 서울 아차산-용마산
-용암산-망우산
○10.??(화): 곡성 원효계곡-동
악산(737.1M)
○10.??(): 수원화성(세계문화
유산)-팔달산-숙지산 코스
○11.11~13(2박3일): 인천광
역시 옹진군 백령도ㆍ대청도/둘레길동호회
○2023.4(초): 여수 하화도 꽃
섬
○2023.5(초): 경남 함양 악양
둑방길 꽃양귀비~자양산
(401.6M)
○2023.5(초): 경남 거창 핫들
생태공원 작약꽃~정양늪~대
야성산(267M)
○2023.5(초): 고흥 애도 쑥섬
작약꽃,꽃양귀비 탐방
■후기: 오늘은 전국이 대체로 비 예보가 예정된 가운데, 목포
지역만 다행히 흐린 날씨로 예
보되어 그동안 후보지로 생각
해 둔 무안군 삼향읍 대봉산-국
사봉과 주변 야산과 명소 탐방
에 나섰다. 먼저 1번 국도를 따
라 나주-무안 도로를 따라 나섰
는데, 송암공단 입구에서 부터
속칭 나주 산포면 비상활주로 옆 도로까지 어찌나 차량 정체
가 심한지 짜증이 났다. 결국은
중간에 차량 추돌 사고 한건과
도로변 잡초 제거 공사로 정체
가 심했던 것인데, 출근 시간대
에 공사를 진행하는 국토관리
청의 무개념 행정이 개탄스러
웠다. 따라서 1시간이면 도착
할 거리를 30분 정도 지체되어
무안 청계면 마곡사에 도착하
여, 좁디좁은 시멘트 포장 산길
을 따라 올라가 마곡사 대웅전
을 관람한 뒤 스님께 문의하자, 삼바실폭포와 호랑이굴이 바
로 옆 근처에 있다하여 뜻하지
않게 명소를 병행하여 볼 수 있
었다. 한편, 마곡사는 소규모 암자같은 두채의 사찰이었고,
삼바실폭포는 낙차가 5~7M 정
도되는 소폭포에 물이 흐른 자
국은 있었으나, 가물어서인지 건폭포였는데 희한하게 지도
에 표기된 폭포였으며, 바로 옆
에는 기도처와 마곡사 천연 천
년동굴이라는 표지판과 함께
호랑이굴이 위치해 있었다.
이어서 사찰에서 돌아나와 마
곡사 입구에 있는 청계면 청
천리 팽나무 숲과 개서어나무
숲을 둘러보았는데, 수백년된 아름드리 팽나무 수십그루가 있어서 이채로웠지만 개서어
나무는 없는듯 했다. 광주-목포 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에는 1
호국도를 따라 목포를 수도없
이 지나다녔지만, 바로 도로변
인데도 그곳에 그런 명소가 있
었는지 조차 몰랐다.
이윽고, 세번째 방문지로 본격
적인 대봉산-국사봉 코스 산행
에 나섰는데, 삼향읍 유교리 군
산동 마을회관에 차를 주차한
뒤 시계반대방향으로 대봉산-국사봉 코스 탐방에 나섰다. 거
의 전구간이 울창한 숲길로 이
루어진데 산길도 넓게 조성되
어 있었고, 오르내림이 심하지 않은 부드러운 코스라서 산을 타기는 딱이었다. 다만, 4~5M/
S로 많이 분다던 바람은 생각
대로 불지않아 다소 덥게 느껴
졌지만, 습도는 엊그제처럼 높
지 않아 견딜만 했다. 국사봉을 경유하여 한바퀴 돌아 내려오
자 지도상의 제4수원지가 있
었는데, 계단으로 올라가야 해
서 다들 다녀오기를 포기했다
(나중에 다녀와서 검색해 보니 볼만한 풍광이어서 아쉬웠다).
하산 후 마을회관 옆에 있는 화
장실에는 호스가 달린 수도꼭
지가 있어서, 등목까지 할 수가 있었다. 오늘 날씨는 예상보다 더워서 땀을 많이 흘렸는데, 개
운하게 씻을 수 있어서 천만다
행이었다.
마지막으로 운남면 대박산을 가기 위해, 압해대교를 통해 들
머리인 혜운사에 도착했다. 대
박산 정상 까지는 500여 M밖
에 안되는 짧은 코스였으나, 정
상에는 체육공원 같은 분위기
로 운동기구 몇점과 팔각정이 있었는데, 등산로도 잡초로 우
거져 있는 등 시설 관리가 안되
어 폐허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혜운사는 원통 불교와 염불선
을 주창한 선지식 청화 대종사
큰스님이 1951년 본인의 고향
인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에 창
건한 사찰이라는데, 규모가 솔
찬히 큰데다 청화 대종사 큰스
님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발
주한 사찰 중건 사업이 한창이
었다. 아쉬운 점은 해제면 백학
산 둘레길도 돌아볼 작정이었
지만 시간 부족으로 다음 기회
로 미뤄야 했다. 귀광길은 무
안공항-광주간 고속도로를 통
해 비교적 빨리 도착했다. 마침
내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파킹
한 뒤 모처럼 남광주시장으로
택시로 이동하여 소머리 수육
으로 뒷풀이를 멋지게 하고나
니, 오늘도 예상외로 더위로 고
생했지만 그 피로는 어느덧 사
라지고 말았고 기분이 더업이 좋았다. 마지막으로 오늘도 마
곡사와 삼바실폭포 ㆍ 호랑이
굴 까지 아무나 가보기 힘든 명
소를 안내해 주신 득권형께 심
심한 감사를 드린다. 더불어 함
께 해주신 삼봉회 멤버이신 두
분께 감사드린다.
■산 소개:
○마곡사: 무안군 청계면 청천
리 산속에 위치한 작은 사찰로,
200M 이내에 기도처와 삼바실
폭포ㆍ 호랑이굴이 있다. 또한
마곡사 가는길에는 승달산으
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청계면 팽나무 숲-개서어나
무 숲 명승지: 팽나무는 약 500
년 동안 살아가는 장수종으로,
열매가 달콤해서 새들이 무척 좋아하는 나무이다. 1,500년
의 세월 희노애락을 함께 해온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팽나무
숲과 개서어나무숲은 전남 무
안군 청계면 청천길 71-6의 광
주-목포간 1호 국도변을 따라 마을앞에 심어져 있다. 팽나무 66그루 외에도 개서어나무 20
그루와 느티나무 3그루가 함께 있는데, 수령은 대략 500살로 추정되고 있다. 약 500년 전 이
곳에 정착한 배씨라는 선조가 마을 앞이 허전하다고 판단하
여 심어 놓은 것이라 전해지며
, 나무를 꺾거나 열매를 따먹으
면 큰병에 걸린다고 했기 때문
에, 그동안 훼손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잘 보호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보전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 제82호
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숲에는 대략 500년쯤 된 나무들이 시원한 그늘을 만들
어 주고 바닷바람으로부터 마
을을 보호하는 방품림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가로수길을 지나 청천마을로 들어가면 과거 농
경사회 모습을 그려낸 벽화 골
목길, 흙담길 또한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숲 주변에는 마곡
사와 졸졸 흐르는 명옥폭포와 삼바실폭포, 호랑이굴 등 다양
한 볼거리가 있어 천천히 둘러
보기에 좋다.
○대봉산(252.3M)은 무안군 삼향읍 유교리 군산동 마을에 위치한 산으로, 등산객들이 별
로 많지 않은 산이나 목포사람
들이 짬을 내서 많이 가는 곳이
다. 햇볕이 들지 않는 울창한 숲길로 이루어져 있어 등산하
기에 최적인 코스이고, 영산기
맥길이다.
○국사봉(國師峰, 283M)은 전
남 무안군의 남쪽에 위치하며 삼향면 유교리 · 지산리 · 맥포
리와 일로읍 감돈리 경계에 있
는 산이다. 북으로는 무안군의 중앙에 가장 높게 솟아 있는 승
달산과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대봉산과 오룡산으로 연결된
다. 국사봉의 봉수로 알려진 군
산봉수는 국사봉에서 서쪽으
로 뻗은 봉수산에 있는 봉수이
다. 조선 시대에 군산봉수(羣山烽燧)가 있어 남쪽으로 유달
산, 북쪽으로 고림산 봉수에 응
했다고 한다.『여지도서』에 군산봉수는 나주목에서 언급
되고 있다.『무안군지』에는 "남쪽으로 내려와서 박곡(朴谷
)과 삼향(三鄕) 사이에서 두 갈
래로 나누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면성지』에 "읍의 남
쪽 35리 일로면 삼향면 사이에 있다. 계림사(鷄林寺)의 터가 있다."고 기재하였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대박산(87.4M): 무안군 운
남면에 있는 산으로, 입구에는 혜운사라는 사찰이 위치해 있
다.
○혜운사(慧雲寺)는 무안군 운 남면 성내리에 있는 사찰로, 원
통 불교와 염불 선을 주창한 선
지식 청화 대종사가 1951년 고
향인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에 창건한 사찰이다.
청화 큰스님은 1925년 전남 무
안 출신으로 6. 25전쟁이 끝난
뒤 고향에서 처음으로 토굴을 짓고 정진하던 무안 혜운사에 잠시 소임을 본 적이 있다고 한
다. 청화스님은 젊은 시절에 어
느 곳을 지나가다 터가 좋은 곳
에 별장이 있는 것을 보고 “저 좋은 터에 별장보다는 부처님
을 모시는 절로 만들었으면 좋
겠다.” 하고 별장 주인을 만나
러 가는데, 이 소식을 들은 노
(老) 별장 주인은 “청화라는 젊
은 승려가 내 별장을 시주 받기
위해 찾아온다고 별 중이 다 있
네.” 하고 우습게 생각했는데 막상 만나서는 감동받아 시주
하였다고 하는데, 그 절 이름이 광주 현 조선대학교 자리에 있
던 추강사였다고 한다(이 이야
기는 육조단경소참법문 파일 5번, 6번?에 있다고 한다).
청화스님은 한국불교에서 잊
혀져가는 염불선을 주창했다
는데, 몸으로도 증명하였지만 오해와 억측을 극복하기 위하
여 많은 경전과 책을 열람하고 정리하여 법문을 하였다고 한
다. 그는 온전히 공부를 마치고 중생제도를 하기위하여 은둔
에서 벗어나 세상에 나은 것이 태안사 부터라고 전해지는데,
(1985년) 태안사 이전에 남원 백장암과 안성 칠장사에 머물
며 대중에게 법문을 하였다고 한다.
한편, 염불선으로 한국불교의 수행풍토를 일신했고 일생을 청빈한 수행자의 모습으로 사
부대중의 존경을 받았던 청화 대종사(1924~2003) 기념사업 착공식을 시작으로 청화대종
사 선양사업의 첫 삽을 떴다.
청화 대종사 성역화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혜용 스님·박문재. 이하 추진위)는 3월26일 무안 혜운사에서 청
화대종사 기념사업 착공식을 봉행했다.
*관련 기사: 법보신문,2022.3.
30/아래
https://naver.me/IgYXTGhf
※못가본 제4수원지: 아래
첫댓글 이번 산행은 청화대종사님의 부도와 탑비가 있는 혜운사를 가서 무엇보다도 인상이
깊었습니다 물론 마곡사 대봉산 국사봉 코스도 참 좋았습니다 두분 덕분에 혜운사를
가볼 수 있어서 두분께 거듭 감사 감사 드립니다
네. 1타4피를 획득한 알찬 코스였습니다. 예상외로 더
워서 땀을 많이 흘렸는데, 다행히 군산동 마을회관 화
장실에서의 샤워는 멋진 경
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