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충이행증(幼蟲移行症 Larva migrans) 이란..
인체에 감염후에 기생충이 일정장소에서 기생을 하지않고 기생처를 찾아 장기나 기관을 애행하면서
병변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
특히 동물이나 가축등에 기생하는 기생충에 감염이 되었을 경우에 동물에서 생활을 하는 기생충은
인간에게 적합한 기생처를 찾지 못하면 여기저기 장기를 돌아 다니며 병변을 나타내는 즉,
유충이행증을 발현하는 경우가 더욱 많다고 할수 있습니다.
주로 선충류(線蟲類)의 유충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선충이란 일반적인 기생충 즉 회충,요충,편충,십이지장충(두비니구충),선모충,분선충.....등...생김새가 선모양을 하여 붙혀진 이름임)
인체감염의 주된원인은 감염물벼룩이 함유된 생수나 물을 식수로 음용, 또는 개구리, 뱀, 새등의
생식에 의한 경우가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
.
.
건강을 위하여 뱀을 생식하는 것은 용기의 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ᄒᄒᄒ
.
.
.
또 조류나 바닷고기를 중간숙주로 하고 해산포유류를 종숙주(終宿主)로 하는
아니사키스속선충(Anisakies sp : 예전에는 18종이보고 되었으나 요즘은 통합 정리하여 조류를 제외한
3종type별로 구분)의 유충에 의한 예도 간혹 보고가 되기도 합니다.
.
.
.
감염
인간에 의한 감염은 주로 개나 고양이의 회충에 의한 예가 많습니다.
어린이들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밖에서 집으로 올때는 필히 손발을 깨끗히...^^....
어린이들은 손을 입에 가져가는 습관 때문에 놀이터에서 개와 고양이의 회충 알로 오염된 손을
잘 씻지 않고 입으로 가져간다거나 이러한 환경에 노출된 오염된 음식을 먹거나 물, 흙 등에서 신체가
노출될때 감염된다고 볼수 있습니다..
특히 인간은 개나 고양이 회충의 성충의 생존에 적합한 최종숙주가 되지 않으므로 유충은 부화되면
폐나, 간, 뇌, 또는 눈 등으로 이동할 확률이 높습니다.
.
.
.
증상
일반적으로 증상은 크게 유충피내이행증과 유충내장이행증으로 나누어지며 모두 유충의 이행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과 염증성 반응이 주된 증세로 나타납니다.
유충피내이행증은 주로 인체를 호적수로 하는 두비니(십이지장)구충, 아메리카구충, 분선충...등과
비호적수로는 개사상충, 개구충, 유극악구충...등이있으며 곤충류로는 파리(말파리,쇠파리)의 유충이
병변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외국의 예는 고양이에 기생하는 브라질구충(鉤蟲)에 의한 예가 많고, 동양에서는
유극악구충(有棘顎口蟲)이나 간모두충(肝毛頭蟲)의 유충에 의한 예가 많이 보고 되어있지만
이것도 예전에 집에서 애완용동물을 기르기 이전의 이야기이고 요즘은
장담을 하기가 곤란한 실정입니다.
집에서 기르는 애완용 동물들은 구충제가 필수입니다. ...^^...
헐 이야기가 딴곳으로..--;
이행의 부위에 따라 병변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소양감을 동반한 발적과 구진이 나타 납니다.
장기유충이행증으로는 개에 기생하는 회충류의 유충이 간 ․뇌 ․눈에서 검출되며, 간육아종(肝肉芽腫)
간종(肝腫) 폐침윤(肺浸潤) 심부전(心不全) 등의 여러 증세를 나타내어 진단이 조금은 어려운 실정입니다.
일반적으로 내과, 외과, 정신신경과, 비뇨기과, 피부과, 안과적 증상으로 분류됩니다. --;;;
검사시에 빈혈과 함께 혈액검사소견으로 혈구의 구성중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 호산구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증가하는 것이 전형적인 예로 나타납니다. .
아주 드문 경우는 경태감염이라 하여 태반을 통한 태아감염까지도 예상이 되기도 합니다.
더 이야기만 많이 늘어놓으면 심각해지므로 여기정도 까지만. ᄒᄒᄒ
물고기에서 나타나는 유충이행증으로 간혹 안구부위에 서 기생충이 나오는 경우가
그런 경우라고 보면 맞으실듯 합니다.
간혹 뇌에 침범을 당할 경우 발작증상을 보기도 하구요. --;;;
물고기에도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니 대개는 기생충에 감염이 되는경우에는 항원충제를 투여하여
바로 잡으시는게 낭패를 미연에 방지하는 첫걸음입니다. ...^^...
의약분업후로는 조금 구하기 힘들어 지기도 하였지만 약국에서 잘 이야기 하면 가능도. ^^*
통상적으로 후라시닐(Metronidaole)250mg짜리를 사용 합니다.
약리학에 관하여서는 전공이 아닌지라...끙.. 구체적으로 모르면서 떠들기는 곤란 하구요.
감염이 확인 되면 약욕도 좋지만보다는 그런 소극적인 대체 보다는 수조에 통채로 사용하여 유충이나
그 이전의 것들도 제거를 하시는게 원칙입니다.
.
.
.
후아~~~! 기생충 이야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담부터는 조금 이쁜 주제로 아님 건강에 관한 정보?
즐거운 하루 되셔요~ ...^^...
카페 게시글
유익한정보
유충이행증 ...^^...
윤태섭
추천 0
조회 254
03.05.07 12:03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