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력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기
기억력 장애는 경도 인지 장애나 치매의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란 나이와 교육수준에 비해 정신(지적)능력이 떨어져 있으나 전반적인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건망증이라고도 합니다.
치매는 기억력 뿐 아니라 언어능력, 시공간 능력, 계산 등의 정신능력이 떨어져서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경도 인식 장애가 있는 환자의 50% 정도는 5년이 경과하면 치매로 발전하기 때문에, 기억력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치매를 예방하는 데 있어서 아주 중요합니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는 힌트를 주어서 기억을 해 내는지를 보면 구별할 수 있습니다. 경도 인지 장애는 어떤 사실을 기억을 하지만 저장된 기억을 불러들이는 과정에 장애가 있는 상태이며, 차근차근 생각을 더듬어 보면 잊었던 사실을 기억을 해내는 수가 많습니다. 그러나 치매에서의 기억장애는 그런 사실 자체를 잊어버리는 상태입니다.
기억력 장애가 있는 환자를 진찰할 때에는 우선 다른 신체의 병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병을 호전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를 평가합니다. 그 다음으로 정신(지적)능력 검사를 하는데,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단어 기억력 검사, 스트룹 검사, 기본 지식, 숫자 외우기, 그림 외우기(Rey 복합도형검사), 한국판 사물이름 대기 검사, 치매평가검사, 치매척도 및 선별검사, 단어 기억하기, 단어 유창성 검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검사에서 알쯔하이머 병과 같은 치매로 진단이 되었다면, 조기에 약물을 사용하여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치매의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
정지향. 경도인지장애. 대한신경과학회지 2006;24(supp 1):119-123.
MNC(mild neurocognitive disorder)는 DSM-IV와 ICD-10에 있는 개념으로, "2가지 이상의 인지기능 저하와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나이대비 정상 대조군에 비해 떨어져 있으면서, 확인 가능한 다른 신경학적, 정신적 또는 약물 의존적 질병이 있을 때"로 정의한다.
Petersen 은 mild cognitive impairment라고 임상적으로 정의하였는데, 진단기준은 간단하다.
*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criteria by Petersen group
1. Memory complaint, preferably corroborated by an informant
2. Objective memory impairment
3. Normal general cognitive function
4. Intact activities of daily living
5. Not demented
MCI 에는 '3개의 임상적 세부군'이 있다.
1. Amnestic-MCI: 기억력만 떨어지는 MCI. 이 중에서 AD양상이 동반되어 있으면 Amnestic MCI-AD 라고 하고, 다른 MCI군이면서 AD 양상을 띠면 MCI-AD로 구분하기도 한다.
2. Single nonmemory domain impaired-MCI: 기억력보다 문제해결능력이나 판단력과 같은 전두엽 집행능력이 떨어지는 MCI.
3. Multiple domains slightly impaired- MCI : 몇 개의 인지기능 영역이 조금씩 떨어지는 MCI.
명심해야 할 기본개념은, 첫 째, MCI는 임상적 진단명이다. 진단적 평가도구 또는 신경인지검사를 통하여 진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 대한 총체적 판단을 통하여 임상적 진단을 내리는 것이다. 단, 객관적 기억력 저하를 증명할 수 있는 신경인지검사가 필요하다.
둘 째, 주관적 기억저하를 뒷받침하는 보호자와의 면담이 필요하다.
세 째, 기억 외의 인지기능이나 일상생활수행늘역이 떨어질 수 있으나, 치매에 해당할 정도로 심하지 않다는 것이다.
알쯔하이머 병으로 전환하는 위험인자는?
기억 중에서 언어성 일화성(episodic) 기억이나 지연회상의 장애가 있거나,
또는 기억력 보다는 문제해결능력이나 판단력 의 장애가 있으면, AD로 잘 전환될 위험이 있다.
또, 언어능력이나 시공간 지각력의 장애가 위험인자이다.
치료
AchEI 의 사용근거는 APP 대사과정에 작용하거나, abeta 에 의한 신경독성 작용을 억제하므로, 단순히 기억증상의 호전 뿐 아니라, MCI--> AD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NMDA receptor antagonist 인 memantine은 NFT의 형성에 관여하는 NMDA receptor-mediated excitotoxicity를 억제하기 때문에, MCI--> AD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정지향. 경도인지장애. 대한신경과학회지 2006;24(supp 1):119-123.---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for MCI [5,6]: 1) the presence of subjective memory complaint as reported by participants or informants; 2) intact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normal daily living; 3) normal general cog- nitive function defined as cognitive performance above the range of 1.0 standard deviation (SD) of normative data in an ext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 4) abnor- mal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memory domain for age and education documented by performance of at least 1.0 SD below mean normative data in cognitive tasks; 5) non-demented according to DSM-IV criteria and ex- cluded by fulfilling criteria (2) and (3).
5. R. C. Petersen, G. E. Smith, S. C. Waring, R. J. Ivnik, E. G. Tangalos and E. Kokmen, “Mild Cognitive Impair- 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Vol. 56, No. 3, 1999, pp. 303-308. doi:10.1001/archneur.56.3.303
6. B. Winblad, K. Palmer, M. Kivipelto, V. Jelic, L. Fratig- lioni, L. O. Wahlund, et al., “Mild Cognitive Impair- ment—Beyond Controversies, Towards a Consensus: Report of the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Mild Cog- nitive Impairment,”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 256, No. 3, 2004, pp. 240-246. doi:10.1111/j.1365-2796.2004.01380.x
-- Kyung Won Park..... Cognitive Profiles and Subtypes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Data from a Clinical Follow-Up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12, 3, 352-360
(http://www.SciRP.org/journal/ijcm)
첫댓글 엄마가 68세이신데, MRI결과 경도인지장애라고 합니다. 치매 초기라고도 하고요. 답답한 마음에 여기 저기 사이트를 돌아다니다가 선생님의 카페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치매에 대한 자료가 더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