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삭유제는 크게 분류하면 윤활성을 주 목적으로 하는 비수용성 절삭유와 냉각성을 주목적으로 하여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수용성 절삭유제로 분류되며(KS M 2173)타입에 따라서는 표6.과 같이 분류됩니다.
비수용성 절삭유제
비수용성 절삭유제는 광유와 동식물유 또는 광유와 에스테르유로 제조된 것을 1종으로 하고, 극압첨가제를 가한 것을 2종으로 합니다. 1종은 동점도 및 지방유분에 따라 1-6호의 6종류로 세분하고, 2종은 동점도, 지방유분, 염소분, 동관부식에 따라 1-6호 및 11-17호의 3종류로 세분합니다.
주 (1) 유황계 극압 첨가제를 첨가한 것에 적용한다.
비수용성 절삭유제의 성분
윤활성, 극압성을 높이고, 연속 가공물이나 공작기계를 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첨가제를 배합합니다. 주성분을 표8.에 표시하고 있습니다만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 여러가지 성분을 조합해서 적절한 성능을 나타내게 하는 것입니다.
수용성 절삭유제
수용성 절삭유제는 표6에 표시한 것처럼 물에 혼합시 외관에 의해 에멀젼형, 솔루블형 및 케미칼솔루션형으로 분류되며 비수용성 절삭유제와 마찬가지로 품질과 성능에 따라 KS규격에서는 표9.와 같이 W1종과 W2종으로 구분합니다.(W:Water Based수용성의 의미). 수용성 절삭유제는 물에 가하여 희석하면 W1종은 우유빛이 되고, W2종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 되는 것으로 각각 pH, 염소분, 금속부식에 따라 1-3호의 3종류도 분류합니다.
비고 : 불휘발분.염소분 및 전유황분은 원액으로, 그 이외는 실온 20~30℃에서 W1종은 표준희석배율 10배의 수용액, W2종은 30배의 수용액의 성상을 규정한 것이다.
수용성 절삭유제의 성분
수용성 절삭유제는 필요에 따라서 표10.에 표시한 것과 같이 녹방지제, 방부제, 소포제 등을 배합하고 있으며 비수용성 절삭유에 비해 첨가제도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주로 W1종의 계면활성제(유화제)로는 녹방지제로서도 활동하는 지방산 석검, 술폰산염 등이 사용되며 Dromus Series등은 여기에 속하는 예입니다. Lubricool Series와 같은 합성계의 W2종은 비이온계의 극압성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고 이 계면활성제의 차이는 사용후의 폐액을 처리할 때 처리성의 차이로 표시됩니다. 이 처리성도 수용성 절삭유제를 선정할 때 하나의 큰 요소입니다.
비수용성과 수용성의 성능 비교
수용성 절삭유제는 물이 Base이므로 오일이 Base인 비수용성 절삭유제와는 기본적으로 성능이 크게 다르며 이러한 1차 성능과 2차 성능을 비교하면 표 11.과 같이 됩니다. 작업내용이나 중점 항목에 따라서 어느쪽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며 최근에는 수용성 절삭유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