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충전시설 허가절차

(2) 부지확보시 유의사항
충전시설 부지확보시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학교보건법 등의 법령과 허가관청에서 충전시설허가를 금지한
지역인지 여부와 충전시설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여야 함.
|
가.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의 관련 규정<시행령 제 71조> |
|
|
도시계획조례가 정하는 바에의 하여 시내버스 차고지에만 설치 가능한 지역 | |
도시계획 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설치 가능한 지역 | |
|
|
일발주거, 준주거, 중심상업, 일반상업, 근린상업, 유통상업지역 | |
보전녹지, 자연녹지, 보전관리, 생산관리, 계획관리, 농림지역 | |
| |
|
|
|
나. 학교보건법상의 관련 규정 <법 제6조> |
|
제조소 및 저장소 시설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상대정화구역안에서는 교육감 또는 교육감이위임한 자가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습과 학교보건위생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 절대정화구역과 상대정화구역< 시행령 제3조>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되, 절대정화구역은 학교출입문으로부터
직선거리로 50미터까지의 지역으로 하고, 상대정화구역은 학교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로 200미터까지의지역
중 절대정화구역을 제외한 지역으로 한다.
|
|
|
|
다. 허가관청 고시관련< 액법 제3조의2> |
|
허가관청은 액화석유가스의안전관리및사업법 제3조의2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충전소 허가와 관련된 세부기준을
정할 수 있으므로 허가관청이 설치를 금지한 지역에는 충전시설을 설치할 수 없음. 따라서 부지확보시 허가관청의
고시를 확인하여야 함.
|
|
| (3) 기술검토시 첨부서류 <한국가스안전공사 LPG시설검사업무처리지침(04.12) 별표2>
|
가. 시설설치계획(계획변경)서 |
|
|
|
나. 위치도(규격:A4) |
|
관련지도(지적도등)를 복사하여 사업소의 위치를 표시한 것 |
|
|
|
다. 주변상황도(축척:1/300~1/600, 규격:A3) |
|
저장설비ㆍ충전설비 및 탱크로리 이입ㆍ충전장소와사업소 경계와의 거리 및 보호시설과의 안전거리가 표기 되고, 주변 보호시설의 종류ㆍ명칭 등이 표기된 것 |
|
|
|
라.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설명서 |
|
시설의 구체적인 설치계획을 관련 법령(규칙 별표14)에 맞추어 상세히 작성한 것 |
|
|
|
마.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관련서류 |
|
① 전기부식방지조치 설계서 ② 저장능력 계산서 ③ 비상전력 계산서 ④ 배관 두께 계산서(sch40 이상 제품 사용시에는 징구생략) ⑤ 안전밸브 규격 계산서 ⑥ 살수장치 용량 계산서 ⑦ 지반조사서 ⑧ 내진설계서 |
|
|
|
바. 시설 및 기술기준에 관한 도면 |
|
① 시설배치도 : 저장탱크 및 가스설비ㆍ탱크로리 이입ㆍ충전장소의 배치상황(위치) 및 배관경로가 표시된 것
(축척:1/50~1/600)
② 저장탱크 도면(축척: non scale, 치수만 표시)
- 기초설치 도면(기초의 재료ㆍ두께 및 설치방법 등이 표시된 것)
- 저장탱크실 설치도면 천정ㆍ벽 및 바닥의 구조ㆍ두께ㆍ칫수, 집수구ㆍ점검구ㆍ가스검지관의 구조 설치위치가
표시된 것
- 저장탱크의 구조도
③ 배관도
- 배관 평면도(축척:1/50~1/100) : 배관의 재질ㆍ관경ㆍ압력ㆍ길이 등이 표시된 것
▶ 기계실내부 배관평면도일 경우 축척을 1/20~1/50로 한다
④ PFD(계통도) : 각 가스설비 및 배관ㆍ부속설비의 경로와 위치가 표시된 것(축척: non scale)
⑤ 기타 상세도면(축척: non scale, 치수만 표시)
- 냉각살수장치 배관도
- 가스배관 매설 표준단면도
- 방폭구역(위험장소) 구분도
- 캐노피 설치도면(충전기 보호대 설치도 내용 포함)
⑥ 각 도면의 제목에 기입할 내용
- 공사명, 설계회사 및 설계자명, 도면번호, 설비내역, 척도
⑦ 기타 : 경계표지 내용(규격ㆍ문안ㆍ설치위치 등)이 표기된 모델
| | |
|
LPG자동차충전소 설립은 허가제이고, 199년 4월 이후 법규가 강화되어 설립절차가 복잡해 졌으며 각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따라 상이함. 따라서 좀 더 자세한 절차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지역경제과로 문의
(1) 설립단계
|
|
|
|
|
|
|
1) 사업성 검토 2) 안전거리 확보 -사업장내 안전거리 (통상 700~800평 부지필요) 은 농지전용 필요 | |
|
3) 허가가능 부지 - 도시지역 : 공업, 녹지지역 - 준농림지역 : 임야, 대지, 잡종지 * 지목상 전,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충전소 허가는 3~4개월, 충전소 건설은 4~6개월로 총 7~10개월 정도 소요되며, 충전소내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통상적으로 700~800평 정도의 부지가 필요함
(2) 충전소 제반시설 가. 저장탱크 20톤 X 기(한국가스안전공사 검사품) 나. Vapor Compressor 7.5HP X 2기 다. 액중펌프 10HP X 1기 라 Loading Arm 1SET 마. 충전기 2~$대 바. PIPE(LPG배관, 살수배관, DRAIN 등) 사. Valve류(한국가스안전공사 검사품) 아. 가스누설경보기(한국가스안전공사 검사품) 바. Gasket 차. 전선관 등
(3) 충전소 Lay-Out(저장탱크 20톤 1기, 충전기 4대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