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UX단자의 의미
AUX단자란 영어의 "AUXUNARY"에서 기원합니다. 그 뜻은 "외부의'란 뜻인데요, 어떠한 기기가 갖고 있는 기능들 중 부족한 부분들을 보충하고 보완하기 위해 외부기기로 부터 지원을 받고 또는 지원을 해주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크게는 두가지로 나뉘는데요, AUX-IN과 AUX-OUT이 있습니다. AUX-IN은 외부기기로부터 신호를 받는다는 뜻이구요, AUX-OUT은 외부기기로 신호를 준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AUX단자라 함은 외부기기 입력단자를 통칭하는 말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운드의 입력단자를 뜻하게 되어서 AV-IN 단자와는 별개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역시 또하나의 단자인 AUX-OUT은 PRE-OUT 단자 또는 A/V-OUT 단자로 나뉘어져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지요.
2. AUX단자의 활용 현실
우리가 일반적으로 AUX단자를 찾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의 시초는 휴대용 MP3플레이어의 등장에서부터입니다. 휴대용 MP3플레이어를 통해 이어폰으로 음악감상을 하던 사람들이 차량에서도 어떤 단자에 꼽기만 하면 차량의 스피커로도 크게 들을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부터 AUX단자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지요.
또하나의 원인은 차량용 DVD플레이어, 차량용 액정TV의 등장입니다. 자체적인 스피커를 통해 듣는 것으로는 만족도가 크게 떨어져서 라디오처럼 차량의 스피커로도 들을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부터 AUX단자를 찾게 되는 것이지요. 물론 무선 방식인 FM 주파수 방식으로도 불만족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차량용 오디오 제조사들은 AUX단자를 갖춘 헤드유닛을 출시하기 시작했구요, 지금은 50:50 정도로 출고되고 있으며, 저가형에서는 비용문제 때문에 AUX단자가 없고, 중고가형에서는 AUX단자가 있다고 보면 거의 들어 맞습니다.
아쉬운 점은 차량 제조사들이 차량 출고시 장착되어 나오는 순정오디오에는 아직도 AUX단자의 장착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3. AUX단자가 없는 헤드유닛일 경우 해결방법1 (AUX생성기 활용방식)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순정 오디오(차량출고시 장착되어 나오는 차량용 오디오)에는 거의 이 단자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포자기하는 사람들이 사제 오디오로 교체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이것은 정보의 부족으로부터 오는 일종의 오류입니다.
지금 나오는 순정오디오에는 대부분 CD체인져 연결단자를 갖추고 출고됩니다. 물론 저가형 차량의 경우에는 그 확률이 매우 낮지만요,,, 어쨌든, CD체인져 단자 역시 외부기기 입력단자에 해당되므로 이 단자를 활용해서 외부기기의 입력 통로로 활용하면 된다는 아이디어가 AUX생성기를 탄생할 수 있게 해주었죠.
즉, AUX생성기를 CD체인져 단자에 꼽고 외부기기와 상호 라인을 연결함으로써 마치 CD체인져를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차량의 스피커로 길을 열어준다는 것이 핵심 논리입니다.
4. AUX단자가 없는 헤드유닛일 경우 해결방법2 (카팩 활용방식)
CD체인져 단자도 없는 저가형 순정오디오의 경우는 그럼 해결방법이 없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카팩이라는 기기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TAPE 삽입구 역시 외부기기 입력단자에 해당된다고 보고 착안하여 TAPE처럼 생긴 기기를 TAPE 삽입구에 꼽아 외부기기로부터의 사운드를 전달하는 논리로 카팩이 탄생하게 되었던 것이지요.
차량용 TV의 사운드를 차량의 스피커로 듣기를 원하신다면, 카팩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차량용 DVD플레이어의 사운드를 차량의 스피커로 듣기를 원하신다면, 2가지 배선이 더 필요한데요, 즉, 카팩연결 보조잭과 A/V 연결잭을 추가로 구입해서 상호 연결해야만 합니다. 그 이유는 카팩은 한 쪽 끝은 TAPE부이구요, 다른 한 쪽은 이어폰 잭부이기 때문에 DVD의 출력단인 RCA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필요 부자재로서 두가지 배선이 추가로 필요한 것이지요.
5. AUX단자가 없는 헤드유닛일 경우 해결방법3 (FM 모듈레이터 활용방식)
마지막 대안은 차량용 TV에서 지원하는 무선방식인 FM 모듈레이터 기능(일명 FM-TX 또는 줄여서 TX)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돈을 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데요, 지금 출시되고 있는 차량용 TV에는 거의 대부분 FM 모듈레이터 기능이라고 해서 무선으로 사운드를 넘겨주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서 이 기능을 통해 오디오의 라디오 주파수와 일치시킴으로써 사운드를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
6. 세가지 대안의 효율 비교
첫번째 방법인 AUX생성기 방식은 사운드의 손실없이 원음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비용이 더 들어간다는 것과 호환되는 오디오의 제약이 있다는 것이 단점이지요.
두번째 방법인 카팩방식은 TAPE 수준의 음질을 듣게 되는 것이므로, 사운드의 손실이 있게 되지만, AUX생성기를 연결할 수 없는 오디오의 경우의 대안으로서 유일한 직접 연결방식이므로 나름대로의 효율이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세번째 방법인 FM 모듈레이터 방식은 무선방식으로서 라디오 주파수가 잘 일치해야만 사운드가 정확히 전달되기 때문에 전파방해 요소가 있는 지역이나, TV에 탑재된 FM 모듈레이터 기능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정말 듣기 싫을 정도의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러나,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차량의 스피커로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지요.
기타 문의사항은 언제라도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릴 것을 약속드리며 오늘은 여기까지만 정리하고 물러가겠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