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검은콩
노두는 잔 검은콩, 웅흑두이다. 속칭 쥐눈이콩인데,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해 풍비와 산후냉혈을 다스린다.
초초炒焦해서 뜨거울때에 술에 넣어 마신다.

‘약콩’으로 불리던 쥐눈이콩의 효능
콩 가운데서도 까맣고 윤기가 나는 쥐눈이콩은 단백질·지방·칼슘·철분·비타민 등 영양분도 풍부하고 해독제가 함유돼
있어 당뇨·고혈압·동맥경화·심장질환·관절염·신장병 등 갖가지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일명 약콩이라고도 한다.한방에서는 서목태라 일컫는데 쥐의 눈처럼 작고 반짝반짝 빛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 약학책인 <향약집성방>에는 ‘쥐눈이콩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해 무독하며 까맣게 볶아 술에 담가놓고 조금씩
마시면 적풍(賊風 외부에서 들어오는 나쁜 기운)과 풍비(風痺 저림증), 산후 냉혈증에 좋다’고 기록돼 있다.
<본초강목>은 ‘복창을 내리고 위열을 없애며 마비증을 다스리고 어혈을 풀어버리고 기를 늘리며 심신의 피로와
쇠약을 예방하고 정력을 기른다. 또 신장병을 다스리고 기를 내리어 모든 풍열을 억제하고 혈액을 활발히 하며 모든
독을 풀어준다’고 적고 있다.
<명의별곡>에는 쥐눈이콩은 속을 다스리고 관맥을 통하여 모든 약독을 제거한다.
<보제방>에는 대변을 본 후 항문에서 피가 날 때 쥐눈이콩 삶은 물과 연근 달인 즙을 마시면 효과가 있다.
김일훈이 지은 <신약본초>에 의하면 ‘쥐눈이콩은 해독성이 강하고 콩팥과 방광 등의 질병에 특효약으로 특히
쥐눈이콩과 죽염을 이용한 죽염간장을 만들어 복용할 경우 만병을 예방해줄 뿐 아니라 약화되거나 파괴된
인체의 조직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켜 준다’고 했다.
또 조선 세종조의 <의방유취>에는 허약체질이나 노인, 앓고 난 사람에게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장수하게
하는 처방으로 쥐눈이콩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검은콩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쥐눈이콩에도 두가지가 있는데, 속이노란 서안태(鼠眼太)와 속이파란 서목태(鼠目太)가 있다. 즉 겉은 검은색이고
속은 노란색이며 옛날부터 콩나물 콩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지금도 콩나물 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서목태(鼠目太)는 겉은 검은색이고 속은 파란색이며 한방에서 약콩으로 널리쓰여 약콩이라고 불리며 예전에는
요리에 많이 활용하지 않았으나 근래에 몸에 좋다고 해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둘다 똑같이 "쥐눈이콩"이지만
속이 노란색은 약콩이 아니고 서안태라고 하며 쥐눈이콩은 서목태이며 속이 파란색이다. 서목태는 산과 들에도
난다고 하여 토종야콩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서목태(鼠目太)라는 이름은 까맣고 쥐눈처럼 생겼다고 하여 지은 이름이다. 쥐눈이콩으로 밥에 넣어먹거나
예로부터 해독 효과가 뛰어난 약콩으로 알려져 있다.
콩, 쥐눈이콩, 콩가루, 콩길금에 대해서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대두(大豆, 콩) 흰콩,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혹은 짜다[鹹]고 했다) 독이 없다. 5장을 보하고
중초(中焦)와 12경맥을 좋게 하고 중초를 고르게 하며 장위(腸胃)를 따뜻하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무게가
늘어난다[본초].
콩에는 검은 것과 흰 것 2가지 종류가 있는데 검은 것을 약으로 쓴다. 흰 것은 약으로 쓰지 않고 오직 먹기만
한다[본초].
노두(穭豆, 쥐눈이콩)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고르게 하고 기를 내리며 맥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광물성 약재의 독을 없앤다. 이것은 밭에 심는데 알이 작고 검다[본초].
빛이 검으면서 반들반들하고 작은 수콩(雄豆)을 약으로 쓰는 것이 더 좋다[본초].
콩의 성질은 본래 평(平)하나 법제하는 데 따라 여러 가지 증에 효과가 나타난다. 이것을 달인 물(煮汁)은 성질이
몹시 서늘하기 때문에 번열을 없애고 모든 약독(藥毒)을 푼다. 이것으로 만든 두부는 성질이 차기[寒] 때문에
기를 동(動)하게 한다. 닦아서[炒] 먹으면 몸이 더워지고 술에 담갔다가 먹으면 풍증이 낫는다. 약전국(메주)을
만들면 성질이 몹시 차진다[極冷]. 대두황건(콩길금)이나 장(醬)을 만들면 성질이 평(平)해진다. 그러므로
알맞게 약을 만들어 써야 한다[본초].
쥐눈이콩(穭豆)이란 바로 검은 수콩(黑雄豆)을 말한다. 이것은 신(腎)과 관련된 곡식이므로 신장병 때 먹으면
좋다[입문].
서목태는 오장육부 고루 보해 병 고쳐
서목태 속에는 금목수화토 정이 모두 들어 있어그래서 해독성이 강하고 5장을, 5장 6부를 고루 보하니까
모든 질병이 낫게 돼 있거든
두황(豆黃, 콩가루)
콩가루, 맛이 달다[甘]. 위 속에 열이 있는 데[胃中熱] 쓴다.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을 없애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리우고 비증(痺證)을 낫게 한다[본초].
* 쥐눈이콩의 효능
1) 두뇌식품이다.
머리를 나타내는 두(頭)자가 콩 두(豆)와 머리 혈(頁)의 복합어라는 것만으로도 두뇌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과학은 콩속의 레시틴이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아세틸콜린의 원료가 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2) 열을 내려 준다.
위장의 열을 내리고 신장 내 여러 장애를 다스려 소변을 깨끗이 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검정콩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고혈압과 동맥경화의 원인인 콜레스트롤의 침착을 막아준다.
3) 기관지와 기침의 묘약이다.
기관지를 강하게 하고, 내장의 점막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옛부터 기침의 묘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4) 심장병위험 감소시켜 준다.
미국 루이지애나주 튤레인대학의 리디아 바자노 박사는 보고서에서 콩에는 심장병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과 엽산이 많은 반면 염분 함유량은 적다고 밝히고 콩이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에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발표가 있었다.
5) 하루 콩 단백질 25g, 심장병 예방해 준다.
FDA는 발표문을 통해 [콩 단백질은 핏속 총 콜레스테롤치와 나쁜 콜레스테롤(LDL)치를 크게 낮춰, 급성심근경색
등의 가능성을 크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FDA의 크리스틴 루이스 박사는 [다른 야채 단백질과
달리 콩 속의 아미노산은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가공-처리하는 방식을 바꿈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낮춘다]고 설명했다.
6) 정자 생성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콩 단백질에는 흥분계 아미노산인 아르기닌과 페닐알라닌이 많이 들어 있는데 아르기닌은 정액 내 단백질의
80%에 관계하며 정자수를 늘리고 정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페닐알라닌은 몸속에서 쾌감을 일으키는
물질인 도파민과 성욕과 관계있는 노아아드레날린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은 콩의 단백질에는
아르기닌과 페닐알라닌이 많이 들어있다.
이와 함께 세포의 노화를 막고 수태 능력을 높여주는 비타민 E가 풍부한데 비타민은 정자나 난자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산을 만드는데 관여하며, 에스트로겐 성분은 유방암 예방에 좋다.
7) 항암효과 및 각종 질병예방
콩 속에는 식물성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데 특히 약콩, 서리태 등으로 불리는 검은콩 껍질에는 황색콩
껍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글리시테인 이라는 특수한 항암물질이 500ug/g 이상 들어있음이 실험 결과 입증되기도
했다.
이 같은 항암효과는 물론 항산화작용 및 신장기능과 시력 강화에도 검은 콩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이
발생하는 과정은 세포내의 유전자가 손상되는 ‘개시단계’와 세포 분열이 빨라지는 ‘촉진단계’로 나뉘는데
제니스틴은 촉진단계를 억제하는데 제니스틴은 풋콩보다 성숙한 콩에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암을 예방하는데
콩이 좋은 식품임은 말할 나위가 없는 것이다.
(1) 유방암 난소암 전립샘암 심장병 뼈엉성증(골다공증) 등을 예방하는 효과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있으며 이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처럼
유방암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이 풍부하다. 파이토케미컬 중
이소플라본(isoflavone)이라는 색소는 여성호르몬이나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고, 여성 호르몬과 구조 및
기능이 비슷해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불리는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과다분비로 생길 수 있는
유방암 난소암 전립샘암 심장병 뼈엉성증(골다공증)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2) 암, 성인병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인제대 식품과학연구소 권태완 교수팀은 "콩 속의 제니스틴이 암을 비롯, 각종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흰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제니스틴은 발암물질에
노출된 비정상세포가 악성종양세포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암이
발생하는 과정은 세포내의 유전자가 손상되는 개시단계와 세포 분열이 빨라지는 촉진단계로 나뉘는데
제니스틴은 촉진단계를 억제한다는 것이다.
(3) 결장암, 직장암을 예방한다.
일본의 한 연구는 콩 또는 두부를 먹는 것이 직장암에 걸릴 위험을 8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콩을 섭취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위험이 훨씬 낮은 것이다. 콩과 두부는 결장암의 위험을
40% 정도 감소시켰다. 이 연구의 경우, 일주일에 한두번의 콩식품 섭취로 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중국의 연구 결과는 콩 식품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사람이 정규적으로 콩을 섭취한 사람보다 직장암에 걸릴
위험이 3배가 넘는다고 주장한다.
(4) 위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중국의 경우 두유를 자주 마신 사람들은 이 음료를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위암에 걸릴 위험이 반이나
적었다. 두부를 먹는 일본계 하와이인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위암에 걸릴 위험이 30% 밖에 안 된다.
(5) 폐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중국 연안지방 1,50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두부를 자주 섭취한 사람이 폐암에 걸릴 위험이 50%나
적었다. 두부를 많이 먹으면 먹을수록 그 위험률은 낮았다. 홍콩에서 200명의 중국 여성을 조사해 본 결과,
매일 두부와 다른 콩 식품을 섭취한 사람이 한달에 3번 이하로 섭취한 사람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반이나
적었다.
(6) 전립선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콩에는 플라보노이드계의 색소성분인 이소플라본(isoflavone)이 있는데, 이 성분은 여성호르몬이나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여,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비만이 되는 것을 방지해 주며 남성의
경우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과다분비로 생기는 전립선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검은콩과 검은깨를
호두와 함께 갈아서 자주 먹으면 전립선비대증에도 좋다.
8) 콩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대체성분이 들어있다
콩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이소플라본이란 물질이 다량 함유돼 있다.
이소플라본은 체내에 에스트로겐이 부족하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충분하면 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뼈나 혈관에는 작용을 하지만 유방이나 자궁에 대한 자극은 없어 여성호르몬제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고 유방암 예방효과도 있다. 또한 이소플라본은 항산화 및 핏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해 동맥경화 예방효과도 있습니다.
9) 검정콩으로 피부를 아름답게 한다
몸의 붓기를 잘 관리하지 않거나 변비를 치료하지 않으면 피부가 창백하고 거칠어지며 붓기가 그대로 살이 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는 대부분 신기능의 저하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들인데, 검정콩은 바로 이런 신기능 저하로
나타나는 질병을 개선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신장의 기능을 향상시켜 배뇨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춰주는 비타민 E와 칼륨, 혈관근육을 부드럽게 해주는 칼슘이 풍부하다.
또한 빈혈 예방에 좋은 비타민 B12와 엽산, 베타카로틴, 육류의 4배나 되는 유기철 등도 들어있다. 그리고 검정콩
에는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백발이나 탈모 증세에도 효과가 있다.
10) 당뇨 억제 효과
인슐린이 발견되기 이전인 1900년대 초에 이미 콩이 당뇨를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콩의 가용성
식이 섬유는 위장관에서 포도당의 흡수속도를 낮추어 천천히 흡수되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당뇨병을 억제한다.
즉 혈중 포도당의 흡수에 관여하는 인슐린의 수용체가 인슐린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게 하는데 콩의 식이섬유가
작용하는 것이다.
11) 고혈압 예방효과 및 콜레스테롤 감소
검은콩에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춰주는 비타민E와 칼륨, 혈관근육을 부드럽게 해주는 칼슘이 풍부하다.
또한 빈혈 예방에 좋은 비타민Bl2와 엽산, 베타카로틴, 육류의 4배나 되는 유기철 등도 매우 많아 저혈압환자에게
특히 좋다. 대사 능력이 떨어지거나 미네랄류가 부족한 경우 저혈압이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동물성 단백질은 콩단백질에 비해 16%이상 신장에 무리를 주는데 신장질환자들에게 동물성 단백질 대신 콩
단백질로 대체 하였을 때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낮아짐은 물론 소변으로 손실되는 단백질의 양도 감소한다.
12) 콩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색소 침착, 얼룩, 일광화상 등을 감소
피부의 미백 및 보습, 여드름에 의한 홍반 감소 등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그 기전으로는 콩에
존재하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저해제 등이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경로의 조절에 관여하는 것 등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콩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민감해진 피부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소재로서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13) 노화방지
콩속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의 기미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준다.
비타민 E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점도를 낮춰 혈액이 원활히 흐르도록 해주며,
중. 고령기에 생기는 갈색기미(노인반점)의 예방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
14) 비만을 해결해 줍니다.
비만의 원인은 당질을 지방으로 변화시켜 지방을 축적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량이 과다한 경우와 영양흡수가
너무 잘 이루어지는 경우로 나뉘어 볼 수 있는데 콩속의 사포닌은 이러한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시켜 체내영양의
균형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비타민의 두가지 원인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15) 치매를 막는다
콩에는 레시틴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레시틴은 뇌의 활동을 촉진하는 성분. 뇌 속의 신경 세포에서 세포로 정보가
전달될 때 여러가지 화학 물질이 관여되는데, 레시틴이 그 원료가 된다. 머리를 많이 써야 하는 수험생에게 콩은
필수이며, 뇌의 노화도 방지하는 좋은 방법이다. 뇌세포의 구성성분인 레시틴이 풍부해서 어린이의 두뇌발달에
도움을 주고, 노인의 경우 치매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식품이다.
16) 항산화 작용을 한다.
활성산소의 독성이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항산화 작용이라고 한다.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하면 각종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혈관조직에 손상을 입히고 동맥경화를 일으키며 각종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17) 시력을 향상 시킨다.
검은콩 요리를 먹을 때는 비타민 A가 풍부한 간, 장어, 김 등을 함께 먹으면 야맹증을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검은 콩에 들어있는 안토시아닌 성분은 시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컴퓨터를 오래 사용해 눈이 피로해졌을 때
자주 섭취해주면 좋다. 콩나물과 양파로 샐러드를 만들어 먹으면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피를 맑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18) 검은콩의 안토시아닌은 피부에 탄력과 생기를 준다.
검은콩의 안토시아닌은 콜라겐의 기능을 향상시켜서 피부에 탄력과 생기를 준다. 따라서 콜라겐이 풍부한 우족이나
닭고기 삶은 것을 먹을 때는 검은콩을 함께 먹는 것이 좋다. 검은콩차, 검은콩볶음 등을 만들어 자주 먹는 것이 좋다.
19) 갈색지방조직의 활성을 증가시켜 준다.
콩 단백질은 갈색지방조직의 활성을 증가 시켜준다. 즉 신진대사를 높여준다는 의미이다.
20) 불면증
콩을 쪄서 따뜻할 때 베개에 넣고 자면 불면증에 효과적이다.
쥐눈이 콩의 약성에 대한 설명은 옛 의서인 <향약 집성방> <동의보감> <본초강목> <식료본초> <임화본>
<명의별곡> <보방제> <신약> <의방유취> 등의 문헌에서 참조할 수 있습니다.
옛 문헌속의 의서에 있는 내용을 종합해 보면 쥐눈이 콩은 법제하여 먹는 방법에 따라서 효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쥐눈이 콩으로 만든 죽
- 쥐눈이 콩 두부,
- 발아시킨 식품인 콩나물
- 발효시켜 1년이상 숙성시킨 쥐눈이 콩 된장, 막장, 고추장, 간장
- 짚에있는 고쵸균으로 발효시킨 쥐눈이콩 청국장과 이를 비닐 하우스 에서 태양열로 자연 건조시켜서 가루를 낸
쥐눈이콩 청국장가루
- 쥐눈이콩을 식초에서 발효를 시킨후 건조해서 가루를 낸 쥐눈이 초콩가루
- 쥐눈이 볶은 콩가루
- 쥐눈이 볶은콩으로 담근 술
- 쥐눈이콩을 물에 담가 불린후 소나무로 만든 절구에서 소나무 방아로 빻은 쥐눈이 생콩즙 (이경우에는 소나무
주걱으로 먹어야 함) 등
위의 내용이 쥐눈이콩을 다른 방식으로 법제한 음식입니다.
생콩은 소화 흡수율이 65% 정도밖에 안되고, 발아나 발효를 시켜먹으면 흡수율이 98%이상 높아집니다. 우
리 조상들이 지혜로와서 된장, 간장등을 만들었던 것입니다.
쥐눈이 콩을 된장, 간장, 고추장을 만들어 1년 이상 숙성시켜 먹거나, 두부, 청국장, 청국장 가루, 콩나물
(발아식품)을 만들어 먹으면 좋습니다.
검은콩, 막힌 곳 뚫는 천연 해독제
1. 쥐눈이콩의 성분
콩단백질에는 흥분계 아미노산인 아르기닌과 페닐알라닌이 많이 들어 있는데 아르기닌은 정액내 단백질의 80%에
관계하며 정자수를 늘리고 정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닐 알라닌은 몸속에서 도파민(쾌감을 일으키는
물질), 노르아드레날린(성욕을 불러 일으키는 물질)으로 변하기 때문에 성적 흥미를 높여 주는 성분이다.
또 검은콩에는 세포의 노화를 막고 수정능력을 높여주는 비타민 E가 풍부하며 비타민은 정자나 난자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산을 만드는 데 관여한다. 이밖에 검은콩의 에스트로겐 성분은 유방암 예방에 좋고 비타민 B12와 칼슘은
불면증을, 섬유질은 변비를, 비타민 B1은 치매를 예방해 준다. 이처럼 효능이 다양한 검은 콩을 일상생횔에서 쉽고
간편하게 섭취한다면 최고의 건강식이 될 것이다.
2. 쥐는이콩의 효능
쥐눈이콩 또는 서목태(鼠目太)라고도 한다. 콩과의 다년생 만초(蔓草)로 줄기와 잎은 갈색이다. 7월에 노란 꽃이 피어
타원형의 깍지 속에 지름 5∼7㎜ 정도의 검고 둥근 열매가 여물면 수확한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빛이 검으면서
반들반들하고 작은 수콩(雄豆)을 약으로 쓰는 것이 더 좋다고 한다. 유황을 뿌리고 재배하면 약성이 더욱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신장과 관련한 곡식이므로 신장병이 있을 때 먹으면 좋다. 삼초 중 중초를 고르게 하고, 기를 내려서 모든 풍열(風熱)을
억제하며, 맥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광물성 약재의 독을 비롯한 모든 독을 풀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한다.
여두의성질은 평범하지만 법제하는 데 따라 적용하는 증세가 다르다. 이것을 달인 물은 성질이 몹시 차갑기 때문에
몸에 열이 몹시 나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괴로운 증세에 효과가 있고, 모든 약의 독을 푼다. 이것으로 만든 두부는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기를 움직인다. 볶아서 먹으면 몸이 더워지고, 술에 담갔다가 먹으면 풍증(風症)에 효과가
있다. 삶거나 찐 콩에 소금·새앙 따위를 섞어 띄워서 약을 만들면 성질이 몹시 차가워진다. 이것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소갈증을 없애주며, 장을 만들면 성질이 평범해진다. 그러므로 알맞게 약을 만들어 써야 한다.
● 문헌으로 본 쥐눈이콩의 약성
1. 옛 문헌속의 쥐눈이콩
[향약집성방] 쥐눈이 콩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무독하고 까맣게 볶아 술에 담가
놓고 조금씩 마시면 중풍과 풍비 산후의 냉혈증에 좋다.
[동 의 보 감] 된장은 해독작용과 중화작용을 하며 열탕과 화독을 다스리는데 효험이 있다
[명 의 별 곡] 서목태(쥐눈이콩)는 속을 다스리고 관맥을 통하여 모든 약독을 제거한다
[보 제 방] 대변을 본 후에 항문에서 피가 날 적에는 검정콩을 삶은 물과 연뿌리 달인
즙을 마시면 효과가 있다.
[임 화 본 초] 콩은 속을 편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본 초 강 목] 쥐눈이콩은 신장병을 다스리며 기를 내리어 모든 풍열을 억제하고 혈액을
활발히 하며 모든 독을 푼다.
[식 료 본 초] 콩은 중풍으로 인해 다리가 약해진 것과 산후의 모든 병을 다스린다.
콩과 뽕나무 재를 함께 넣고 삶아 먹으면 심장병 경련통에 좋다.
2. 과학적으로 입증된 쥐눈이콩의 효과
강원도보건환경이 연구원이 정선군농업기술센터의 의뢰를 받아 2001년 4월-12월까지
정선산 특용작물의 생리활성 탐색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 쥐눈이 콩은 일반콩
보다 항암물질이 19.5배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콩에 이소플라온(isoflavone)이라는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물질이 항암
골다공증 예방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
일반콩에 비해 쥐눈이 콩은 이소플라온(Daidzein은 약 20.5배, Genistein은 18.6배)이
19.5배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왔다.
검은콩이 일반 대두와 다른 약효를 지닌 이유는, 껍질에 함유된 검은색을 내는 색소, 즉 안토시아닌(Anthocyanin)에
있다.
식물에서는 곤충이나 조류를 유인해 화분의 수정 및 종자의 전파에 기여한다.
안토시아닌은 일반적으로 생리활성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특히 항산화 작용(활성산소의 독성이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과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암, 항궤양 등에 효과가 있다.
또 우리 눈에는 망막에서 빛을 감지하여 뇌로 전달해 주는 로돕신이라는 색소가 있는데, 안토시아닌은 이 로돕신이
다시 생성되도록 도와주며 우리 눈의 수정체에 붙어 있는 모양체라는 근육의 탄성력을 증강시켜 수정체의 두께조절을
원활하게 해준다.
따라서 야맹증이나 VDT증후군에 효과적이며 세포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콜라겐 기능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에
콜라겐이 풍부한 우족이나 닭고기를 삶아 먹을 때 안토시아닌을 함께 섭취하면 피부에 탄력과 생기를 준다.
단 검은콩은 흰설탕이나 인삼과 함께 먹으면 서로 부딪쳐 콩의 영양성분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는다
3. 검은콩의 민간요법
♠ 민간에서 쥐눈이 콩은 기침의 묘약으로 알려져 있다, 쥐눈이 콩을 물에 넣어서 살짝 삶으면 냄새가 나는 콩물이
우러나는데 그 물에 흑설탕을 넣어서 차 처럼 달여 몇번씩 마시면
기침이 신기하게 낫는다고 한다.
♠ 치통에도 검정 쥐눈이 콩을 삶아 그 물을 입에 물고 있으면 효과가 있으며 불면증, 설사, 신장병에도 좋으며 훌륭한
정력식품으로도 애용했다.
♠ 해독효과도 뛰어나 고기 조개 물고기 등에 중독되었을 때 삶아서 그 물을 마셨으며 중풍, 관절염, 신장병, 각기 등에는
오골계 한 마리에 쥐눈이 콩 한 홉을 넣고 달여서 마시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 끓는 물에 피부화상을 입었을 때나 갑작스런 어린이의 피부단독에도 검은 콩을 진하게 끓여 그 물을 환부에 바르면
쉽게 치유되면서 반흔이 생기지 않는다. 된장이나 콩밥을 개어 피부의 종기에 붙여주면 염증이 삭고 열도 내리면서
스스로 치유된다. 또 어린이의 해열에도 검은 콩 8g, 감초 1g, 등심(골풀) 4g, 담죽엽 2g을 물로 달여서 하루 3회 공복에
복용하면 열이 제거되면서 열꽃이 스스로 없어진다. 이것도 역시 해열, 해독작용으로 치료효과를 얻는 것이다.
♠ 당뇨병에는 검은 콩을 소 쓸개즙에 넣어서 백일 동안 그늘에서 건조시켰다가 먹으면 소갈증상이 해소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아직까지 과학적인 해석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혈당을 내리고 갈증을 줄이는데 효험이 있는 것으로,
소갈도 콩팥 기능이 허약해서 발병한 경우는 육미 지황탕에 가미해서 쓰는데 만약 콩팥 기능 감퇴와 소갈로 고생하는
사람은 하눌타리 뿌리와 검은 콩을 볶아 가루내어 풀로 환을 만들어서 검은 콩 달인 물로 장복하면 치료효과를 얻는다.
이런 반응은 콩이 콩팥을 보하고 하눌타리 뿌리가 혈당을 크게 내려주기 때문인데 이러한 처방을 쓸 경우에는 사전에
반드시 한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바른 길이다.
♠ 최근에는 식초대두, 즉 초콩이 건강식품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의 효능으로는 중성지방 감소, 변비 해소,
관절염, 협심증 치료, 혈압 강화 등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초콩은 뇌졸증에 효과가 크다고 하는데 초콩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콩은 알이 고르며 통통한 것이 좋다. 사용하는 식초는 감 식초와 같은 양조식초를 쓰도록 한다. 콩을 잘 씻고
소쿠리에 담아 프라이팬에 타지 않게 살짝 볶고 이 콩을 유리병에 3분의 1 가량 채운다. 유리병의 3분의 2 정도
높이까지 식초를 붓고 뚜껑을 덮는다. 콩이 식초를 흡수해 부풀어 병의 3분의 2 높이 정도 올라올 때까지 그대로 둔다.
대개는 1~2일 걸리는데 햇볕이 안들고 서늘한 곳에 둔다. 콩이 충분히 부풀었으면 콩이 식초에 잘 잠기게 1cm 정도
다시 식초를 부충한다. 1~2일 더 두면 콩이 식초를 더 흡수한다. 이 때 뜨는 콩이 있으면 다시 1cm 가량 식초를
더 보충한다. 이렇게 몇번 되풀이 해 콩이 식초를 더 흡수하지 않게 되면 뚜껑을 단단히 닫아 1주일 또는 10일간 그
대로 둔다. 이렇게 하여 초콩이 완성되면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초콩을 먹으면 식욕이 증진되고 소화력이 향상되며 피로회복 효과도 크고 비린내도 가셔 먹기 좋다.
날콩이 갖고 있는 문제점, 즉 혈구응집 작용, 소화장애, 비린내 등은 초콩을 만듦으로써 없어진다. 이런 경우 최근에
작물시험장에서 육성한 비린내 없는 진품 콩을 이용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콩에는 섬유질이 많아 변비 치료에 좋고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포닌과 레시틴이라는 물질이 풍부해 과산화지질 생성을 방지하고 지방 대사를
촉진해 비만을 방지하는 효과도 인정되고 있다.

약콩,서목태,쥐눈이콩의 효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