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판 방수재료
1 개요
금속판에 의한 방수는 완전한 수밀 연속층을 만들고자 하는 의도에서 도입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지붕의 마감재료로 사용되어 왔지만, 기존의 방수재료인 아스팔트, 합성고분자 시트, 도막 방수재 등이 지닌 문제점(들뜸, 열화, 내구성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도입된 방수재료이다.
금속판 방수재료로는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 티탄 시트, 동판 시트, 납판 시트 등이 있으며 주로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가 사용된다.
2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 방수재
가. 스테인레스 강의 종류와 성질
철은 대기중에서 산화하여 녹이 발생하기 쉬우나, 크롬을 첨가하면 녹발생이 어렵고 여기에 니켈을 첨가하면 더욱 내식성이 증가한다. 스테인레스 강은 일반적으로 철에 11%이상의 크롬을 함유하는 합금강으로 알려져 있으나, 니켈, 망간, 몰리브덴 등을 함유하는 것도 있어, 그 종류는 다양하다.
현재 KS D 3700(냉간 압연 스테인레스 강대)에서 정의하고 있는 스테인레스 강의 종류로는 멀델사이트계, 페라이트계, 오스테 나이트계, 2상계 및 석출 경화계의 5종류의 합계 61강종이 있다.
이 외에도 각 스테인레스 강 제조업체가 사내 규격품으로 제조하고 있는 것을 합하면 100종류 이상의 것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나. 지붕용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
지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테인레스 강판은 네 종류로 한정된다.
① 무도장 스테인레스 강판
② 도장 스테인레스 강판
③ 화학발색 프테인레스 강판
④ 도금 스테인레스 강판
지붕용 스테인레스 강판은 주로 SUS 304, SUS 316, SUS 410, SUS 430이 사용된다.
다. 방수용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강판은 KS D 3700(냉간 압연 스테인레스 강대)에서 규정하고 있는 SUS 304 또는 316이다.
무도장 스테인레스 강판을 그대로 사용하면 빛의 반사가 강열하여 시각적인 공해를 일으키므로 일반적으로 표면을 2D(회색)로 마감하여 사용한다.
최근에는 SUS 304 스테인레스 강판의 표면에 도장하기 쉽도록 마감하여 고내후성 도료를 두겹으로 코팅한 도장 스테인레스 강판(KS D 3615)이 사용되고 있다.
라. 기타 관련재료
A. 고정철물
고절철물에는 방수층을 바탕에 고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L자형 고정철물과, 이를 바탕에 고정하는 패스너가 있다. 고정방법은 먼저, L자형 고정철물의 하단을 패스너로 바탕에 고정하고 상단에 방수용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L자형 고정철물에는 고정형과 슬라이드형의 두 가지가 있으며, 고정철물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SUS 304를 사용하나, 방수층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패스너는 주로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나, 탭핑 나사 또는 셀프 드릴링 나사의 역할을 동시에 하여야 하므로 SUS 410과 같은 멀덴 사이트계(13Gr계 스테인레스 강)가 적합하다.
B. 바탕깔기재
바탕깔기재는 바탕에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가 잘 순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로, 아스팔트 루핑 22㎏ 또는 연질 발포 폴리에치렌(4㎜두께 정도)이 사용된다. 특히 연질 발포 폴리스티렌은 발포배율을 40배 정도로 조절한 것으로 결로 방지효과도 있다.
C. 단열재
① 바탕과 방수층 사이에 설치할 경우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방수는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바탕에 고정하므로, 바탕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도 바탕의 습기나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습기가 방수층 단말부로 방출되므로 습기의 축적은 그다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방수층아래의 단열재는 여름철에 상당한 고온이 되므로 내열성이 뛰어난 단열재(예를들면,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계의 발포체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② 방수층 위에 설치할 경우
방수층 위에 단열재를 설치할 경우에는 그 위에 보호층이 있으면 그다지 내열성은 문제되지 않으므로 단열성능이나 흡습성능을 중요시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표면마감한 연속 압출성형 발포 폴리스티렌계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D. 보조재료
① 드레인
드레인은 방수층과 동질의 스테인레스 강판재의 것을 사용한다. 방수시공 현장에서는 공장 가공한 드레인과 방수층을 용접하여 일체화시킨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탕에 드레인을 미리 설치할 경우에는 상부를 나사로 조이는 방법으로 하고, 여기에 스테인레스 강판을 용접한다.
② 조인트 캡
조인트 캡이란 방수층을 용접하여 꺽어 올린부에 씌우는 U자형의 깊이가 20㎜정도의 보호재를 말하며 방수층과 동질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한다.
③ 실링재
방수층 치켜올림 단말부의 물끊기나 관통재의 슬리브 등과 같이 시일할 필요가 있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리콘계가 사용된다.
④ 보호재료
스테인레스 강판 시트 방수공법에는 노출공법과 보호재를 사용하는 누름공법이 있으며, 누름공법에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자갈이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