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기업들은 특정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세밀한 계획 하에 업무의 전과정을 관리하면서 진행하지 않는다. 이렇다 보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초과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당초 예정했던 기간에 프로젝트를 마치지 못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일이 종종 생긴다.
한번에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이라고 해도 프로젝트 관리자가 별도로 임명이 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팀이나 급조된 선임자가 맡아서 한다. 프로젝트관리가 조직 내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훈련도 받지 않은 관리자가 프로젝트 관리 업무를 보게 된다.
프로젝트관리(PM; Project Management)는 불확실한 비즈니스 환경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반이 된다. 프로젝트관리는 프로젝트를 예정된 기한과 예산 범위내에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사용해 프로젝트 업무를 원만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젝트관리 기술은 수십년에 걸쳐 발전해 왔고 지금은 프로젝트관리가 전문적인 훈련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전문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프로젝트관리 능력은 전문적인 기술습득을 통해서만 갖춰질 수 있고, 이러한 능력을 갖춘 전문적인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를 수행했을 때 그만큼 프로젝트의 성공확률이 높아진다.
오늘날 기업들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올바른 의사결정과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을 합리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기술이 절실하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밑그림을 잡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업무를 상세히 알아야 하며 이를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젝트 관리자의 능력을 인증해 주는 자격증이 프로젝트관리전문가 또는 프로젝트관리기술사(PMP;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이다. 이 자격증은 1984년 미국의 프로젝트관리기술회인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처음으로 시행, 지금은 국제적인 공인자격증으로 인정받고 있다.
PMP 인증제도는 프로젝트 관리의 전문성을 배양하고 프로젝트 관리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체계적인 PM기법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PM은 1990년대 초부터 세계적인 자격증으로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1997년 이후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PMP 인증시험은 그동안 영문으로만 치러졌는데, 1998년 11월부터 한글번역시험도 볼 수 있게 됐다. 2000년 7월부터는 국내시험기관에서 온라인 시스템으로 인증시험을 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글번역시험은 문제가 한글로 출제되는 것은 아니고 온라인시스템에서 문제를 한글로 번역해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응시자격은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을 소지한 경우 PM 실무경력이 4500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또 경력은 신청일로부터 최소한 3년에 걸쳐 쌓은 경력을 말하며 6년전 경력은 인정하지 않는다. 최종학력이 고졸일 경우에는 7500시간 이상의 PM 실무경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경력은 신청일로부터 최소한 5년에 걸쳐 쌓은 경력을 말하며 8년이 경과한 경력은 인정하지 않는다.
응시는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고 신청서 작성시 경력부분에 상세하게 실무경력을 입력해야 한다. 신청한 내용을 토대로 미국 PMI에서 내사를 거친 후 시험허가서를 개별 발송한다.
PMP 인증시험 응시료는 PMI 회원의 경우에는 405달러이고, 비회원인 경우 555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인증시험은 휴식시간 없이 4시간 동안 진행되며 시험이 끝나면 바로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시험은 프로젝트 관련분야에서 사지선다형 200문항이 출제되며, 200점 만점에 137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문제는 입문과정(8문항), 계획과정(72문항), 제작과정(50문항), 감사과정(56문항), 마감과정(14문항) 등으로 구성돼 있다. 또 프로젝트관리의 개념과 용어, 각종 지식영역, 프로젝트관리 기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시험을 제대로 치를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www.promat.or.kr)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