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용버섯별 활용법
1. 흰우단버섯(Clitocybe gigantea)
1) 약용 부위 및 생태특성
여름과 가을, 특히 입추를 전후해서 초원에 대량으로 자라며 '버섯군'을 형성한다. 버섯군의 가장자리에서는 자실체가 형성되며 땅 속에 황갈색의 불규칙한 형상의 균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자실체가 어릴 때 따서 햇볕에 말려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고 맛은 달다.
4) 효능
내장을 보호하고 기를 돕는다. 혈의 열을 분산시키고 체외로 배출시킨다.
5) 복용법
어린이가 홍역을 하거나 신경질적이면서 불안해할 때, 마른 흰우단버섯 9g을 물에 불린 후 잘게 썰어서 끓여 마신다. 1일 2회 많은 양을 마신다.
2. 팽이(Flammulina velutipe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 수풀이나 관목 군락 내의 죽은 나뭇가지 위 또는 나무 줄기 위 수목의 횡단면상에서 발생하여 다수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여러 종류의 활엽수나 생나무에서 우연히 발생해 나무 껍질과 목질부의 사이에 균근을 형성하면서 목재의 황색 부패를 야기시킨다.
그 위에 형성되는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어릴 때 햇볕에 말려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찬 기운이 있다.
맛은 약간 짭잘한 편이며 뒷맛은 조금 쓰다.
4) 효능
(1) 꾸준히 복용하면 간장 계통과 장, 위궤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또, 취학 연령의 아이들에게 꾸준히 복용시키면 신장과 체중의 증가 효과를 볼 수 있다.
(2) 버섯의 자실체 내에는 알칼리성 단백류의 항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뛰어난 항암 작용을 한다.
5) 복용법
팽이버섯을 달여서 지속적으로 복용한다.
3. 잣버섯(Lentinual lepide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과 가을에 소나무 줄기와 목재 위에서 많이 자라는데, 드물게 다른 침엽수 위에서 자라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 형성된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딴 후 햇볕에 말려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달다.
4) 효능
꾸준히 복용하면 몸의 조절에 중요한 작용을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키운다. 또한 강한 항종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5) 복용법
체력 보강을 위해서 끓여서 지속적으로 복용한다.
4.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활엽수의 나무 줄기 위에서 자라는데 그때 형성되는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딴 후 햇볕에 말려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열성이 강한 성질이며 맛은 달다.
4) 효능
풍병과 몸의 찬 기운을 제거 할 수 있으며, 근육과 경락(몸과 팔다리를 세로 방향으로 달리는 선으로 좌우 12쌍이 있다고 함) 을 줄여준다.
5) 복용법
요통을 비롯한 통증을 치료하고 손발이 저리고 근육이 불편할 때 느타리 9g을 황주와 함께 넣고 끓여 1일 2회 복용한다.
5.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1) 약용 부위 및 상태 특성
여러 종류의 활엽수와 침엽수의 나무 줄기가 가지 또는 썩은 나무 위에서 자란다.
2) 채집 시기
딴 후 햇볕에 말려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달다.
4) 효능
신체를 튼튼하게 하므로 보양제로 이용할 수 있다. 자실체 내에는 일종의 항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5) 복용법
치마버섯 9~16g을 달여서, 흑설탕을 넣어 1일 2회 복용한다.
6. 표고(Lentinula edode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봄, 가을, 겨울의 세 계절 동안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 위에서 생장한다. 인공재배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딴 후 햇볕에 말려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달다.
4) 효능
기를 보호하고 병의 풍기를 다스리며, 몸 안에 뭉쳐있는 나쁜 피를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기를 다스린다. 식욕을 돋구고 요실금(마렵지 않은 데 오줌이 저절로 나오는 상태) 을 다스린다. 항암 성분 및 간 기능을 강화 시켜 주는 성분이 있다.
5) 증상에 따른 처방 및 복용법
(1) 독버섯을 잘못 먹어 발생하는 식중독을 다스린다. 말린 표고 90g을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2) 소아의 홍역과 우두 접종 후의 알레르기에는 말린 표고 6g을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3) 수종을 다스린다. 말린 표고 16g과 녹함초, 금앵자 뿌리 각 30g과 함께 물에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4) 위장이 거북하면서 배가 아플 때에는 생표고 90g을 잘게 썰어 물에 달여 복용한다.
(5)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러울 때 표고를 술에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7. 큰비단그물버섯(Suillus elegan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과 가을에 침엽수 내에서 자라며 침엽수종에서 버섯 뿌리가 형성되며,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취 후 버섯자루 부분, 흙모래 부분을 잘라 말린 후 사용한다.
3) 성질과 맛
열성이 강한 성질이고 맛은 달다.
4) 효능
요통, 근육통을 비롯한 손발이 저리는 것을 원활하게 해준다.
5) 복용법
근육피로 해소제로 버섯을 달여 1일 2회 9g씩 황주로 끓인 물로 복용한다.
8. 기와버섯(Russula virescen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 가을에 비온 후 혼합림 또는 활엽수림의 땅에서 자란다.
2) 채집 시기
채취후 흙모래를 제거하여 깨끗이 한 후에 햇볕에 잘 말려서 사용한다.
3) 성분과 맛
찬 기운의 성질을 지니며, 단맛 신맛을 내다.
4) 효능
눈이 밝아지며 신경질을 가라앉히고, 몸 안의 열을 체외로 분산시킨다.
5) 복용법
눈이 침침하고 가슴에 열이 나면서 답답할 때, 버섯균을 삶거나 볶아서 지속적으로 복용한다.
9. 먹물버섯(Coprinus comat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봄에서 가을에 비온 후 정원이나 목장 또는 유기비료가 풍부한 잔디밭에서 자란다.
2) 채집 시기
전체가 백색이 나타날 때 채취해 흙모래를 제거하는 즉시 물에 3분 동안 삶아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보통이고 맛은 달다.
4) 효능
위에 좋은 작용을 하고 정신을 맑게 해주며, 치질을 치료해 준다.
5) 복용법
말린 먹물버섯 30~60g을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10.주머니털버섯(Volvariella volvacea)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과 가을 두 계절에 풀더미 위에서 자란다. 지금은 대부분 볏짚 위에서 인공재배하고 있으며,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집한 후 세로로 반으로 나누어 불에 말리거나 햇볕에 말려서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이 찬 기운을 지니며 맛은 달다.
4) 효능
(1) 풍부한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전염병에 대한 모의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상처가 난 자리를 빨리 아물게 하며 괴혈병을 예방·치료한다.
(2)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콜레스테롤이 과다하게 누적되는 것을 예방해 주어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3) 무더운 여름에 식용하면 더위를 가시게 한다.
(4) 단백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몸의 항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5)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5) 복용법
말린 주머니털버섯을 끓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11. 양송이(Agaricus bispor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마분볏짚의 비료 위에서 인공재배로 배양하고, 야생버섯은 비가 온 후 채소밭, 들판, 마굿간, 정원등에서 자란다.
2) 채집 시기
자실체가 밖으로 노출되기 전 (내균막이 파열되기 전) 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린 후 비축하며, 일반적으로 신선할 때 약용으로 사용한다. 현재 인공재배법으로 대량 생산되고 있다.
3) 성질과 맛
성질이 순하며 맛은 달다.
4) 효능
소화를 돕고 정신을 맑게 하며 고혈압을 예방·치료해 준다.
5) 복용법
(1) 매일 신선한 것으로 150g을 볶거나 끓여 먹으며 소화가 원활해진다.
(2) 매일 신선한 것으로 180g을 끓여서 1일 2회 복용하면 고혈압이 치료된다.
(3) 신선한 것으로 150~180g 정도를 끓여서 먹으면 산모의 젖의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12. 큰말징버섯(Calvatia cyathiformi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늦은 여름이나 늦가을에 비가 내린 후 넓은 들판 또는 숲속에서 자라며,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집하여 햇볕에 말린 후 비축해 둔다. 또는 말린 후 의피부분은 벗겨내고 병안에 저장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맵다.
4) 효능
부기를 없애고 지형작용이 있으며, 폐를 맑게 하고 목(후두) 에 좋으며 해독작용을 한다.
5) 복용법
(1) 만성편도선염을 치료해 준다. 큰말징버섯 3g, 산수유 9g, 감초 6g을 물에 끓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2) 후두염이나 모에 나는 병을 치료해 준다. 큰말징버섯, 유산나트륨 각 3g을 물에 끓인 후, 설탕을 가미시켜 1일 2회 복용한다.
(3) 잦은 코피를 막아준다. 큰말징버섯을 덩어리로 만들어 콧구멍에 밀어넣어 주는 것을 꾸준히 해주면 코피가 멎는다.
(4) 외상출혈, 종기, 동상으로 인해 진물이나 고름이 흐를 때 가루를 만들어 상처가 난 곳에 바른다.
(5) 식도 및 위출혈시에 버섯 6g을 물에 끓인 후, 설탕을 가미시켜 1일 2회 복용한다.
(6) 기침 감기에 큰말징버섯 6g과 감초 3g을 함께 물에 끓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13. 말불버섯(Lycoperdon perlatum)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 가을에 비가 내린 후 숲속의 넓은 공간에서 자라며 자실체를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집한 후 햇볕에 말려서 병 속에 저장하여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매운 편이다.
4) 효능
부기를 없애고 지혈작용을 하며, 폐를 깨끗이 해주고 목(후두) 에 좋고 해독작용을 한다.
5) 복용법
(1) 만성편도선염을 치료한다. 말불버섯 3g, 산수유 9g, 감초 6g을 달여 1일 3회 복용한다.
(2) 기침 감기를 치료한다. 말불버섯 6g, 감초 3g을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3) 위철혈시에 말불버섯 6g을 물에 끓인 후, 설탕이나 꿀을 가미시켜 1일 2회 복용한다.
14. 목도리방귀버섯(Geastrum triplex)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 가을에 비가 내린 후 수풀 위에서 자라며 포자분을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집한 후 별빛모양의 외포피를 없애고 비축해 둔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매운편이다.
4) 효능
부기를 없애고 지혈작용을 하며, 폐를 깨끗이 하여 목(후두) 에 좋고 해독작용을 한다.
5) 복용법
(1) 후두염을 치료한다. 목도리방귀버섯, 유산나트륨 각 3gdp 적당한 양의 설탕을 넣어 함께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2) 코피를 멈추게 한다. 목도리방귀버섯을 잘게 잘라서 콧구멍에 넣었다 잠시 후에 빼주면 된다.
15. 말뚝버섯(Phallus impudic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 가을에 비가 내린 후 수풀 위에서 자라며, 군자루 및 균탁을 약재로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취한 후 찐득찐득하면서 썩은 내가 나는 부분은 잘라내고 물로 썩은 냄새가 사라질 때까지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려서 비축하거나, 신선할 때 약으로 쓴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강한 열성을 지니며, 맛은 달면서 담담하다.
4) 효능
혈액 순환이 잘되게 하고 진통작용을 한다.
5) 복용법
풍습통(다발성에 부종을 동반한 관절 통증) 을 치료한다. 신선한 버섯 220g을 50도 백주(또는 오미가주) 1홉 속에 담구어 두었다가 10일 후에 복용하는데, 하루에 9~15g을 3회 복용한다.
6) 참고
(1) 마른 것은 신선할 때 무게의 1/10이다.
(2) 이 균자실체를 깨끗이 씻어서 썩은 냄새가 나는 부위만 없애면 죽순의 대용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데, 맛이 좀 떨어진다.
(3) 여름에는 균전즙(균을 다린 즙) 을 이용하여 식품의 방부제로도 사용한다.
16. 주름찻잔버섯(Cyathus striat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 가을에 떨어진 나뭇가지, 썩은 나무, 마른 나뭇잎에서 자란다.
2) 채집 시기
채집한 후 햇볕에 말렸다가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열성이 강하고 맛은 약간 쓰다.
4) 효능
위통을 멈추게 한다.
5) 복용법
위통을 치료한다. 주름찻잔버섯 9~16g을 물에 끓여서 마시거나, 6~9g을 가루를 내어 끓인 물과 함께 마신다.
17. 던지버섯(Astraeus hygrometricus)
1) 약용 부위 및 생태 특성
여름, 가을에 숲속 모래 위에서 자란다. 외포피는 물을 흡수할 수 있어 습도계로도 사용한다.
2) 채집 시기
채집한 후 외포피를 없애고 비축한다.
3) 성질과 맛
성질은 순하며 맛은 매운편이다.
4) 효능
지혈작용을 한다.
5) 복용법
외상으로 인한 출혈을 멈추게 하고 동상으로 인한 상처를 치료해주는데, 가루를 내어 상처 부위에 발라 놓으면 된다.
18. 기타 버섯에 함유된 성분
지금까지 밝혀진 버섯들 외에도 약효를 함유하고 있는 버섯의 종류는 앞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질수로 늘어나리라 본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확실한 약효가 입증된 버섯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음을 알아두기 바란다.
이외에도 졸각버섯, 잿빛만가닥버섯, 버들송이 등에 항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암이란 일단 발병되고 나면 치유하기 어려운 난치병이다. 그 점을 감안할 때, 이런 버섯들을 여러 가지 음식으로 만들어 먹거나, 끓여서 물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면역력이 강화될 것이다.
1) 즐각버섯(Laccaria laccate)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나무 밑 땅 위에 군생하는 흔한 식용균이다.
(3) 효능
이 버섯의 추출액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2)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숲속, 평원, 밭, 길가 등의 땅 위에서 군생한다.
(3) 채집 시기
여름에서 가을에 자실체를 채취한다. 신선한 것을 식용하면 훌륭한 식품이 되므로 건조하여 보관한다. 그리고 인공재배법이 개발되어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4) 효능
이 버섯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3) 버들송이(Agrocybe cylindracea)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활엽수의 마른 줄기, 또는 생목의 썩은 부분에 다발로 자란다.
(3) 채집 시기
다 자란 자실체를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이 버섯은 맛좋은 식용균이어서 인공재배법으로 대량 생산되고 있다.
(4) 효능
이 버섯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4)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가을에 각종 활엽수 특히 너도밤나무, 단풍나무 등의 말라죽은 나무나 생목에 군생한다.
(3) 채집 시기
자실체가 자랐을 때 채취하여 식용으로 이용하면 훌륭한 맛을 나타내며 건조하면 약용으로도 쓸 수 있다. 인공재배법이 개발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4) 효능
이 버섯의 단백결합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5) 밀버섯(Collybia confluen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림의 낙엽이나 땅에 군생 또는 속생한다.
(3) 채집 시기
여름에 자실체가 자랐을 때 딴 후 햇볕에 말려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단백결합 다당체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체의 방어력을 높여주는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낸다.
6)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활엽수 특히 물참나무의 심재 백색부후균으로 활엽수 노목의 밑등에 난다.
(3) 채집 시기
신선한 자실체를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인공재배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4) 효능
이 버섯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7) 턱수염버섯(Hydrum repandum)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숲속 땅 위에 난다.
(3) 채집 시기
여름이나 가을에 자실체를 채취하여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단백결합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8) 말징버섯(Calvatia craniformi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가을에 숲속의 썩은 낙엽이 많은 땅 위에 난다.
(3) 채집 시기
자실체가 어릴 때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가지고 있다.
9) 좀우단버섯(Paxillus atrotomentos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활엽수의 썩은 나무 또는 땅 위에 야생한다.
(3) 채집 시기
신선한 자실체를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10) 독청버섯아재비(Stropharia rugo soannulata)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풀밭, 밭, 쓰레기장, 말똥이나 쇠똥 위에 군생 또는 단생한다.
(3) 채집 시기
어린 자실체를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한다.
11) 갓버섯(Lepiota procera)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숲 속, 대나무 밭, 풀밭에 단생한다.
(3) 채집 시기
어린 자실체를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단백 다당체는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12) 벌집버섯(Favolus alveolari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연중에 활엽수의 마른 가지 또는 살아있는 뽕나무에 나고 백색부후균을 일으킨다.
(3) 채집 시기
연중에 아무 때나 자실체를 발견하는 대로 채취하여 건조한다.
(4) 효능
이 자실체의 다당류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13) 농이(Sarcodon asparat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활엽수내 땅 윙 열을 지어 군생한다.
(3) 채집 시기
여름에 자실체를 채취하여 식용한다. 건조할 때는 길이로 잘라서 말려야 한다. 건조하면 강한 향기가 난다.
(4) 효능
예전부터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다려 먹으면 소화를 도와준다는 민간약으로 유명하다.
14) 콩나무버섯(Armillariella mcllea)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활엽수와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마른 가지 및 생목 밑에 군생한다.
(3) 채집 시기
봄부터 여름에 자실체를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자실체는 항종양 성분을 지니고 있다.
15) 한입버섯(Cryptoporus volvat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침엽수, 특히 소나무에 자란다. 소나무 향기를 가지고 있다.
(3) 채집 시기
봄부터 가을에 채집하여 건조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자실체는 항종양 성분을 지니고 있다.
16) 조개느타리 버섯(Pleurotus pulmonari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활엽수의 넘어진 나무 또는 떨어진 가지에 군생 또는 단생한다.
(3) 채집 시기
봄부터 여름에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자실체는 항종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17) 간버섯(Pycnoporus coccineu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활엽수, 침엽수의 고목, 마른 가지에 군생한다.
(3) 채집 시기
자실체를 채취하여 건조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자실체는 항종양 성분을 지니고 있다.
18) 비늘버섯(Pholiota sqarrosa)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여름에서 가을에 활엽수나 침엽수의 생나무, 고목, 마른 가지, 그루터기 등에 속생한다.
(3) 채집 시기
자실체가 어릴 때 채취하여 건조한다.
(4) 효능
식용버섯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통, 설사 등의 중독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알코올류와 함께 먹으면 더욱 심하다. 이 버섯이 항종양 성분을 지니고 있다.
19) 주름버섯(Agaricus campestris)
(1) 약용부위
자실체
(2) 생태 특성
봄부터 가을에 비옥한 풀밭, 목장 잔디밭, 밭 등에 군생하며, 때로는 군륜을 형성한다.
(3) 채집 시기
자실체를 어릴 때 따서 식용하거나 건조하여 보관한다.
(4) 효능
이 버섯의 자실체는 항종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출처: 김병각>
1957년 서울대학교 약대 졸업
195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1964년 미국 워싱턴 대학교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