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포시기 |
약제명 |
유 의 사 항 |
발아직전, 개화직전, 낙화직후 |
6-6식 보르도액 또는 동제 |
전엽후에는 약해가 발생됨 |
신초신장기(5월 중·하순) |
농용신수화제 |
항생제 연용은 내성균의 발생이 염려 됨으로 연 2∼3로 제한함 |
과실비대기(6∼7월) |
6-6식 유산아연석회액 |
석회보르도액 제조방법에 준하여 조제하되 유산동 대신 유산아연을 사용함 |
낙엽직후 |
4-8식 보르도액 |
9월 이후 감염된 것은 월동하므로 방제철저 |
나. 검은별무늬병(흑성병)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하나, 과실에 발병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병반은 주로 과실 꼭지 가까운 양광면에 나타나고, 서로 맞닿는 경우가 많으며, 과실비대시 병반부가 균열되어 열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병으로 인해 과실이 연화, 부패되는 일은 없다.
본 병은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은 해에 발병이 빠르고 심하며, 낙화직후부터 5월에 비가 많으면 발생이 많아지고, 과원이 과습하고 통풍이 불량하거나 노목원인 경우 발생이 많다. 방제대책으로는 발아전 10일경에 석회유황합제 8∼10배액을 살포하고, 낙화직후부터 수화유황제 및 유기유황제 농약을 살포한다.
다. 잿빛무늬병(회성병, 균핵병)
꽃, 과실, 작은 가지에 발병하며, 과실에 피해가 가장 크다. 꽃에 발병하면 화기 전체가 갈변되며 연화 부패한 후 가지에 붙은 채로 회백색의 가루모양의 분생포자 덩이를 형성한다. 과실에는 유과나 미숙과에 발병하는 것은 적고, 주로 성숙과에서 발병하며 수확후 수송중에도 발병된다. 과실에 나타나는 병반은 넓게 나타나며 이병 부위는 꽃에서와 같이 표면에 회백색의 분생포자 덩이를 형성한다. 피해과는 낙과하지만 나무에 붙어 미이라 상태로 남는 것도 있다. 이 병은 개화기의 강우와 성숙기의 저온(수확전 20일간의 기온이 15∼17도)과 다습에 의해 크게 발생된다. 방제방법은 약제방제가 효과적이나 수확기의 저온강우가 많으면 효과가 떨어지므로 청경재배와 통풍관리 등 경종적 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재배적 대책으로는 이병과 및 고사 가지를 발견 즉시 제거하고 도장지의 발생을 좋게 한다. 약제방제는 병균이 과실에 침입하면 1∼2일 후에 발병되므로 예방의주로 방제를 해야 한다. 방제적기는 수확전 약 20일간으로 적용 약제를 7일 간격으로 3∼4회 충분히 살포한다.
라. 흰가루병(백분병)
잎에 주로 침입하는 균과 과실에 주로 침입하는 두 종류의 균이 있다. 유과에는 표면에 버짐모양의 백색 반점이 나타난 후 1∼2cm 크기로 확대되며 후에 갈변한다. 피해과는 부패하거나 낙과되는 일은 없고 과피 손상에 따른 열과 또는 기형과가 되기 쉽다. 본 병은 낙화 직후부터 발병하기 시작하며 5월 중·하순경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과원 주위에 찔레나무가 많으면 발병이 심하다. 방제방법으로는 발생 상습지의 경우 낙화직후부터 10일 간격으로 2∼3회에 걸쳐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이병과실을 발견 즉시 제거한다.
마. 잎오갈병
주로 잎에 발병하나, 때에 따라서는 꽃, 신초, 과실에도 발병한다. 새잎이 나오자마자 발병하며 감염된 잎은 적색, 황색으로 부풀면서 뒤틀리며 이상 비대된다. 발아기부터 전엽기에 발병하며, 심한 발병후에는 낙엽에 따른 과실비대가 불량해진다. 본 병은 기온이 낮고 강우가 많은 해에 발병이 심하며 전엽 직후의 피해가 크다. 방제약제로는 발아 직전 석회유황합제 7∼10배액(보메5도액), 유기유황합제, 유기동제, 6-6식 보르도액 등을 살포한다.
2. 살구의 주요 해충
가. 뽕나무 깍지벌레
굵은 가지의 표면에 기생하면서 수액을 흡수하므로 수세가 급격히 쇠약해지고, 발생이 심하면 가는 가지는 고사한다. 굵은 가지에 둥글고 흰 탈 껍질을 쓰고 붙어 있으며, 봄철 부화기에 손으로 누르면 알 또는 유충이 터져 노란액이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본 해충은 밀식원과 같이 통풍이 나쁜 과원에서 약제 살포가 충분치 못할 때 발생이 심하다. 방제방법으로는 동계 기계유유제 20배액을 12월부터 2월 중순 이전에 살포하면 된다. 또한 석회유황합제 7∼10배액을 축엽병 방제와 겸하여 살포한다.
나. 나무좀류
수세가 쇠약해지면 줄기에 작은 구멍을 뚫고 먹어 들어가므로 곱고 가는 나뭇가루가 보이며, 심하게 피해를 받은 나무는 전엽후 잎의 황변과 함께 서서히 고사한다. 수세가 좋은 나무에 침입하면 수지(樹脂)가 나오므로 쉽게 알 수 있다. 주로 북, 서쪽 부위가 피해를 심하게 받으며 주간에 침입한다.
다. 복숭아 유리나방
유충이 주간부 또는 주지 아래쪽을 주로 가해하며, 형성층을 먹어 들어가면 벌레똥과 수지가 나오게 된다. 방제방법으로는 성충 최대 발생기인 6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메프제 또는 아포진 100∼500배액을 주간, 주지에 살포하며, 나무에 침입한 유충을 잡아준다.
첫댓글 좋은걸 배움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