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국불교 법사대학 제19기 부산 모임방 원문보기 글쓴이: 花茶 채수양
5. 정토
1) 정토교의 성립
혜원(慧遠)
중국 정토교(淨土敎) 세 유파 혜원(慧遠) 시작
선도(善導)
정토교 명실 공히 집대성한 사람
담란(曇鸞, 476~542) 보리유지(菩提流支) 삼장관무량수경 가르침
염불에 정토교의 기초
저술 : 왕생론주(往生論註)
도작(道綽, 562~645) 현중사(玄中寺)에 담란의 비명(碑銘) 보고 감명.
정토교에 귀의한 사람 관무량수경 강의
하룻동안 콩을 헤아리는 소두염불(小豆念佛)을 7만
저술 : 안락집(安樂集)
선도(善導, 613~681) : 중국 정토교의 대성자
극락. 지옥 보여주는 정토변상도(淨土變相圖) 그려 민중 나눠줌
시청각 교육과
칭명염불(稱名念佛)의 장안의 집집마다 염불소리가 끊이지 않음
저술 : 관무량수경소(觀無量壽經疏) 현존
우리나라
삼국유사(三國遺事)
원효 : 화엄경 주석을 달다가 크게 깨친 바. 스스로 파계를 하고
세속의 복장을 하고 머리를 기르고 [아무 걸림이 없는 박]
무애포(無碍匏) 매고 같은 뜻의 노래인 무애가(無碍歌) 부르면서 무애춤
아미타신앙 : 아미타불을 염함
2) 정토삼부경의 세계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 범본 티베트본
5C 경 강량야사(畺良耶舍) 한역본 현존
정토삼부경 발전 사상 : 성립시기 4C 경으로 추정
경명(經名)에서도 극락정토의 장엄함과 무량수불(無量壽佛)
좌우 관음(觀音)ㆍ세지(勢至)보살 생각하는[觀] 내용
왕사성의 비극
비극적인 사건. 왕사성의 비극 위제희 왕비
고뇌를 떨치고. 서방정토 구제 관불(觀佛)
관상(觀想)의 설법. 타력 구제의 진실성
십육관법(十六觀法) 악인 구제 악한 사람 불성 구제 대상 미타 신앙
무량수경
극락세계는 누구나 모두가 가고 싶어 하는 곳
극락세계를 건설하게 원인과 가는 방법을 설한 경
범본의 경명(經名) 아미타경 : 소경(小經)
무량수경 : 대경(大經)
쌍권경(雙卷經) : 대무량수경 2권 구성
무량수경 : 범본 티베트 번역본 5종류 한역본
범본 9c - 14, 5c 무렵 필사본으로 추정
티베트 번역본 5종류 한역본 강승개(康僧鎧) 번역 무량수경
내용 : 누구든지 아미타불을 믿고 이름 부르면 바로 정토에 태어남
선과 악인 현명한. 어리석은 이를 막론하고 누구나 일심(一心)으로 염불
임종 때 아미타불이 내영(來迎)하여 정토 인도
아미타불 과거세에 법장비구 때 세운 48대원 현세에 정토사상이 조화
설명되어 있는 경전
범본(梵本) 네팔과 일본 등 사본(寫本)이 전함
8c 에 번역된 티베트본 현존
한역본 세 종류 구마라집 번역본
일명 사지경(四紙經) 정토사상 설명
3) 정토교학의 중심 사상
극락세계
부처님이 진실한 자신에게 눈뜨는 것
눈에 보이지 않는 진실한 세계가 존재
눈에 보이는 현상 세계
눈에 보이지 않는 진실한 세계 : 정토(淨土)
두 가지 방법
하나는 먼 길을 가는데 혼자 힘으로 열심히 노력해서 어렵게 찾는 것
다른 하나 같은 목적지를 자동차를 타고 쉽게 가듯이 남의 힘을 빌려 찾는 것
정토사상
자력 타력
아미타불의 힘에 의지해서 진실한 정토
정토교 타력신앙(他力信仰) 강조
염불은 타력 참선 자기 힘에 의지자력(自力)
엄밀한 의미 자.타력 설명하기 어려움
자력과 타력 난행도(難行道). 이행도(易行道).성도문(聖道門).정토문(淨土門)
일심으로 염불하는 수행 자력
참선하여 성불할 수 타력적인 요소
극락
즐거움이 극에 달해 있는 세계
우리들이 사바세계 예토(穢土)
정토. 깨끗한.세계 불국토. 극락정토. 미륵정토.약사정토ㆍ화엄정토
극락정토 정토삼부경
아미타불을 어떻게 보느냐
정토를 어떻게 해석하느냐
불신관(佛身觀)과 정토관(淨土觀)이 정토사상의 확립
본원(本願) 별원(別願)
불보살님 한분이 가지는 원을 본원(本願) 또는 별원(別願)
총원(總願)
모든 불보살님이 다 같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원
사홍서원(四弘誓願)
정토삼부경 : 법장비구 48원
제18원 십념왕생(十念往生)의 원
원효의 십념 해석: 현료(顯了). 은밀(隱密)
현료 은밀
현료 :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나무아미타불 소리내어 외우는 것
은밀 : 초지(初地) 환희지(歡喜地) 이상의 보살이 아니면 실천하기 어려운 것
현료와 서로 회통
유심정토(唯心淨土)
마음이 모든 것의 근본으로 마음 밖에는 아무 것도 없으며
정토 또한 마음이 만들어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내가 서 있는 자리 바로 극락
번뇌(煩惱) 가 보리(菩提)
6. 밀교
1) 밀교의 성립과 역사
밀교(密敎) 비밀불교(秘密佛敎)
깨달음을 위한 수행도로서의 밀교를 진언승(眞言乘) . 진언문(眞言門)
다른 용어 금강승(金剛乘).구생승(俱生乘).시륜승(時輪乘)
밀교 딴뜨릭부디즘(Tantric Buddhism) 불교딴뜨라(Buddhsit Tantra)
8, 9c경 인도 밀교시대에 밀교경전 딴뜨라(Tantra)
밀교 대승불교의 성립 이후 4, 5c경 시작
중국의 불공(不空) : 현교(顯敎)와 밀교
부처님의 삼밀(三密) 수행문
세 가지 비밀을 신밀(身密). 구밀(口密).의밀(意密)
신밀 : 신체적 비밀 부처님의 상호(相好) 32상 80종호
보살.수호존 형태와 색깔. 장신구.수인(手印)
구밀 : 어밀(語密) 언어적 비밀 진언. 다라니. 종자(種字)
심밀(心密) : 마음의 비밀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지혜.삼매
진언(眞言). 다라니(陀羅尼) .보살의 형태와 수인(手印)
만다라(曼茶羅)
불교경전의 중국 전래
진언과 다라니 등의 밀교
정비된 의궤(儀軌) 입각 성불 목적
중기밀교는 8- 9c 당시대 한반도와 일본에 전해짐
대일경. 금강정경 밀교의 교학 수행체계 정비
인도.티베트 딴뜨라 중심 후기밀교 유행
2) 밀교의 중심 교리
비로자나불
석존의 입멸 후 불교경전에 나타난 붓다관 석존(釋尊) 국한하지 않고
삼세에 걸쳐 타방정토에 무수히 존재
인연에 따른 생멸(生滅)의 존재가 아님
시공(時空)을 초월한 절대세계
법신(法身)불 화엄경 초월한 절대적 존재
열반에 들지 않고 중생을 위해 영원히 설법
법신불이 지닌 신앙적 의미
보현보살(普賢菩薩) 중생구호를 위해 중생이 남을 때까지 성불치 않는다
대일경 비로자나여래의 일체지지(一切智智)
정의하여 밀교의 궁극적 성불이 중생구호의 방편적 구현 궁극적 목표
수행의 이상적 성취자 금강살타(金剛薩豊). 지금강(持金剛).집금강(執金剛)
절대법신의 영원성을 상징하는 금강
보리살타의 살타가 결합된 말 대보살의 중생구호이념을 실현
반야사상과 열반관 사상 계승
대지도론
깊은 깨달음 세간적 현실과 열반을 다르지 않게 본다
열반경
열반 영원한 안락
청정한 자성. 상락아정(常樂我淨) 근본 이념 계승
반야의 지혜 열반. 생사가 하나
금강살타
공성에 머물면서 중생구호 현실세계 노력. 성취자 이상
이취경 수승한 지혜를 성취한 보살 중생의 윤회
생사 다하도록 언제나 중생을 이익 되게
열반을 취하지 않음
반야 방편 제법. 일체의 존재 청정한 것
탐욕이 청정 크게 안락 풍요 삼계에 자재함 견고한 이익을 성취
3) 밀교의 수행이념
진언문(眞言門
밀교수행 대승적 이념의 실현 밀교의 수행
현교와 다른 독특한 수행방편
진언. 다라니와 수인. 불형(佛形) 소연(所緣) 관(觀)
내면적인 심식(心識)의 변화 성불에 이름
무상염송문(無相念誦門)
진언행자가 성불의 마음을 결정할 때 본존을 관.
진언과 비밀한 수인을 유가수행의 본존상을 짓는다.
본존의 색상과 위의(威儀) 같이 진언행자의 마음
본지(本地) 상응하는 불신(佛身)에 머물러 비록 복이 적은 자라도 성불
유가수행 수행자의 심식(心識) 붓다의 의식 전환 전식득지(轉識得智)의 수행이념
중생의 신어심(身語心) 붓다의 신금강.어금강.심금강
즉신성불(卽身成佛)의 수행이념 후기밀교의 수행
생기차제(生起次第) 구경차제(究竟次第)의 독특한 수행체계 사상적 기반
삼유(三有)
신어심의 영역 중생의 세 가지 삼유(三有). 생유(生有). 중유(中有). 사유(死有)
붓다의 화신. 보신. 법신으로 구현
비밀집회딴뜨라
진언 관연(觀緣)한 몸 말과 마음에 의지
마음은 안락하고 즐거워 수승한 실지(悉地) 성취
마음에 관연한 무아 말과 몸 관할 것
평등한 공성을 삼밀에 상응하여 성취
신어의를 관연 그 자성은 관연함이 없을 것
진언에 의해 몸을 상응함에 있어 보리도 없고 수행도 없다
공사상 유식사상. 여래장사상 불교의 근본적 교리에 입각
수행자의 내면세계 반영하는 유가수행
7. 선
1) 선(禪)의 기원
인도의 명상법 요가(yoga) 비롯
붓다의 명상과 정각(正覺)
요가의 기원 B.C 3000년 고대 인도의 원주민
요가 명상 선(禪) 5000년의 역사
요가 사유(思惟). 명상(冥想)
명상을 통해 오감(五感) 제어 산란한 마음 정지
감각기관 움직이지 않고 집중(執中)하여 마음을 통일시켜 적정상태
요가 삼매(三昧, sama-dhi). 선나(禪那, dhya-na)
선나(禪那) 선바라밀(禪波羅蜜)
우파니샤드 브라흐만교 요가의 명상 브라만과 아트만이 하나
범아일여(梵我一如) 경지 체득
붓다의 선정(禪定) 제법의 본질 연기(緣起)의 법 깨닫기 위한 것
수행하는 가운데 수정주의(修定主義) 사상가 선정법
요가의 선정을 통하여 정신집중
적정(寂靜)의 상태 고(苦)에서 해탈
최고의 경지 무소유처(無所有處)의 선정.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선정
선정에서 벗어나면 다시 이전 상태로 수정주의의 수행
고행주의(苦行主義) 수행자 정신적 자유 얻기 위한 혹독한 고행.
최극한의 경지 정신적 해탈
고행정신 해탈의 경지 고행주의. 네란자라 강물에서 목욕
수자타 우유죽 공양 보리수나무 아래에 금강보좌 선정
생로병사의 인간의 근본 고통의 원인 해탈하는 길 명상
새벽하늘의 샛별 스스로 연기의 법을 깨달았다
지(止 Samatha) 관(觀vipasana)
지관(止觀) 지. 사마타 삼매(三昧) 집중 산란심 없는 경지
관 비파사나 만법의 근원 진리[緣起] 관찰
지 번뇌가 없는 정적(靜的) 마음상태 선정
관 선정 동적(動的) 상태 지혜
지관쌍수(止觀雙修)의 선정설
부처님이 수정주의의 선정설(禪定說)을 버림
지의 선정 연기의 법을 관찰하는 지혜
사선(四禪) 팔등지(八等持) 구차제정(九次第定).
1.사선 :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2. 팔등지 : 사선+사무색정(四無色定 :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3. 구차제정 : 팔등지+멸진정(滅盡定).
사념처관
1. 신념처관(身念處觀) : 이 몸이 부정(不淨)하다고 관함.
2. 수념처관(受念處觀) : 고락(苦樂) 등 감각 작용이 모두 고(苦)라고 관함.
3. 심념처관(心念處觀) : 의식[識心]이 생멸하여 항상하지 않음을 관함.
4. 법념처관(法念處觀) : 제법이 인연으로 생겨남으로 무자성(無自性)임을 관함.
오정심관
1. 부정관(不淨觀) :탐욕이 많은 사람이 닦음. 육체의 부정한 관찰자신의
탐욕심 집착심을 끊게 만드는 선정의 수행.
2. 자비관(慈悲觀) : 화를 내는 사람이 닦음. 과거 생으로 모두가 부모 형제 관찰 자비의 마음 분노 화내는
마음 가라앉히는 선정 수행.
3. 인연관(因緣觀) : 전도(顚倒)된 사고 가진 사람이 닦음. 일체의 것은 인연에 의해 사실을 관찰 도리에
맞는 마음을 가지기 위한 선정 수행.
4.계분별관(界分別觀) : 모든 존재를 실체로 보는 사람이 닦음. 일체의 현상하는 존재는 영원한 실체가
없음 관찰
존재를 바르게 보는 마음을 가지게 하는 선정의 수행.
5. 수식관(數息觀) : 마음이 산란한 사람이 닦음. 자연계의 대기호흡을 관찰
자신의 호흡을 세어서 마음을 안정 선정의 수행.
대승불교의 경전 선사상
금강경. 화엄경. 유마경. 능가경
대승선
반야의 공사상 일체개공(一切皆空)
일체 모든 것은 연기하여 자성이 없음
무자성의 공을 체득하는 것
금강경
즉비(卽非)의 논리 공사상
불법은 불법이 아니므로 그 이름이 불법이다[佛法者 卽非佛法 是名佛法]
즉비의 부정의 논리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 무주(無住)사상
화엄경
해인삼매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
상즉상입(相卽相入)의 논리
중생이 바로 부처[衆生卽佛] 돈오선의 이론적 기초
유마경 번뇌 즉 보리[煩惱卽菩提]
생사 즉 열반[生死卽涅槃]
불이법문(不二法門) 선의 실천사상 발전
능가경
자각성지(自覺聖智)의 여래청정선(如來淸淨禪)을 강조
나는 최정각(最正覺)을 이룬 그 날 밤부터 열반에 이르기까지 일자(一字)도 설하지 않았다
일자불설(一字不說)설
이심전심.불립문자(以心傳心 不立文字) 선사상적 토대
2) 선종과 선의 종류
선종(禪宗)
인도의 선 중국에 전래 선 수증(修證)의 종지
선종의 초조 : 보리달마(菩提達摩) 혜가. 승찬. 도신. 홍인. 신수와 혜능
북종 점수선, 남종 돈오선
남종 계통 마조의 홍주종
오가칠종(五家七宗) 조동종과 임제종이 전해짐
자파(自派)의 종지 교외별전(敎外別傳)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교외별전 선의 입각처(깨달음)가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言語道斷]
마음의 길이 없어진[心行處滅] 경지
언어와 문자에 의지하는 교종(敎宗)의 가르침에 대해 이심전심의 강조
불립문자 언어문자를 초월한 선의 경지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언어문자에 집착하지 않는다
직지인심 사람의 마음을 바로 가리켜 부처의 성품을 보는 것
달마 성품이 곧 마음[卽性卽心]
마조 마음이 곧 부처[卽心卽佛]
임제 사람이 곧 부처[卽人卽佛]
견성성불 참 성품을 보게 되면(깨달으면) 바로 부처가 된다
부파불교 종지를 오해 생사를 단멸공(斷滅空)에 안주하는 것으로 열반
무주생사(無住生死 : 생사에 머물지 않음)
무주열반(無住涅槃 : 열반에도 머물지 않음)의 무주행
반야바라밀의 보살행을 근간으로 근본불교의 정신으로 돌아갈 것
견성성불(見性成佛) 요익중생(饒益衆生)
생사에도 머물지 않고, 열반마저 버리는 대승보살행
내용에 따른 분류
대지도론 17권 외도선(外道禪).성문선(聲聞禪). 보살선(菩薩禪)
능가경 사종선(四種禪)
1. 우부소행선(愚夫所行禪)
성문ㆍ연각ㆍ외도 수행자의 선정 무상ㆍ고ㆍ무아ㆍ부정한 것
인무아(人無我) 설해진 선
2. 관찰의선(觀察義禪)
의(義 : 意味) 관찰하는 대승공관의 선정
의는 법(法 : 사물, 존재)의미
자기의 몸[人] 일체의 객관 존재[法] 공ㆍ무아
인법이무아(人法二無我)를 깨닫는 선
3. 반연여선(攀緣如禪)
진여(眞如) 소연(所緣)으로 하는 선
일체의 존재는 공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여래의 법신 진여불성 상(常).락(樂).아(我).정(淨) 관하는 것
4. 여래청정선(如來淸淨禪)
일체의 삼매를 선정
깨달음의 경지 자각성지(自覺聖智)에서 중생 제도 자비 행에 대해
전념하는 선
도서 .종밀
5. 종선으로 분류
외도선.범부선.소승선.대승선.최상승선(最上乘禪 : 여래선)
여래선과 조사선
사실상 여래선을 중국적 조사 불교의 관점에서 조사선 우위
3) 중국 선종사상의 전개
중국 선(禪) 전래
후한(後漢) 이래 선경(禪經)이 번역 이후
안세고가 소승계의 선경 안반수의경 선행법상 등 번역
지루가참 대승계의 선경 반주삼매경. 도행반야경 등 번역
수식관 안반수의경 달마 중국 선종이 흥기되기 이전
중국의 습선자(習禪者)에게 끼침
달마선
중국 선종 천태선 달마선 출발 달마계통으로 선종 통합
보리달마에 의해 시작 능가경 불어심위종(佛語心爲宗) 불심제일(佛心第一)
능가사(楞伽師). 불심종(佛心宗)
달마 능가선의 핵심사상 이입사행(二入四行)설
도에 들어가는 두 종류의 문(二入) 이치로 들어가는 이입(理入)
실천행으로 들어가는 행입(行入)
이입 : 경전의 가르침에 의거하여 종(宗 : 心, 禪)을 깨달아[藉敎悟宗]
범부와 성인이 동일한 참성품[眞性] 즉 불성을 깨달음
행입 : 四실천행 1. 보원행(報怨行) : 빚을 갚는 행
2. 수연행(隨緣行 : 인연에 따르는 행
3. 무소구행(無所求行 : 구하는 바가 없는 행
4. 칭법행(稱法行 : 법에 합일된 행
안심법문(安心法門)
이입(理入)이란 안심(安心)이 안심이란 벽관(壁觀)
벽관의 벽(壁 ): 객진위망(客塵僞妄)이 들어가지 못하는 것.
벽관 : 모든 번뇌와 거짓된 망상이 일어나지 않는 심불기(心不起)의
순일무잡(純一無雜)한 마음상태
혜가 - 승찬 능가종
승찬 신심명 능가사 남천축일승종(南天竺一乘宗)의 입장
무득정관(無得正觀)의 선사상을 전개황매(黃梅)의 쌍봉산(雙峰山)
달마선종의 4조 도신(道信)이 일행삼매(一行三昧) 실천불교 선양
500여명의 수선자 운집 명실상부 선종(禪宗) 교단
동산법문(東山法門)
홍인(弘忍)이 쌍봉산의 동산 수선도량 개창 수선
도신 홍인의 선법
동산법문 사상 : 도신의 수일불이(守一不移)사상
수일불이 공정(空淨)의 눈 가지고 주의하여 일체를 관
낮과 밤의 없이 오로지 모든 정력 쏟아 항상 동요함이 없는 것
하나의 사물에 집중시켜 관(觀) 하는 좌선 실천법
수본진심(守本眞心) 선사상
홍인 도신의 수일불이의 좌선법을 계승
스스로의 본심이 바로 부처임을 알게 되기를 바란다
천경만론(千經萬論)이 각자 본래의 진심을 지키는 것(守本眞心)
좌선과 노동 병행 : 생산적 교단 백장청규 지대한 영향
남능북수(南能北秀)
북종의 신수와 남종의 혜능
신수
낙양과 장안제도(帝都) 북종의 신수는 양 수도의 법주[二京法主]
세 황제의 국사[三帝國師] 달마 이래의 안심법문을 계승
점수(漸修)에 의한 이념선(離念禪) 선양
단경 신수의 게송
몸은 보리의 나무요[身是菩提樹]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으니[心如明鏡臺]
때때로 부지런히 털고 닦아서[時時勤拂拭]
티끌과 먼지 묻지 않게 하라[莫使有塵埃]
북종의 점수선적 가풍
혜능
남종 혜능 남방(광동) : 무념(無念).무상(無相). 무주(無住) 종지
식심견성(識心見性)의 돈오(頓悟)적 무념선(無念禪)
단경 혜능의 게송
보리는 본래 나무가 없고[菩提本無樹]
밝은 거울 또한 받침대가 없네[明鏡亦無臺]
부처의 성품은 항상 깨끗하니[佛性常淸淨 : 이 본에 本來無一物]
어느 곳에 티끌과 먼지가 있으리오[何處有塵埃]
남종의 돈오선적 가풍
신회
북종 신수계 사승 방계요(師承是傍) 법문 점수(法門是漸)
혜능을 달마선의 6조로 현창한 인물
돈오선 혜능에 의해 주창
돈오선의 지위 신회 육조현창운동
남종선은 신회의 하택종. 마조의 홍주종. 석두의 석두종 계통
능가종.동산법문. 북종선. 남종선
강서(江西) 마조 도일(馬祖道一)
호남(湖南) 석두 희천(石頭希遷)
마조계 선종
용상대덕(龍象大德) 배출 형성
조당집 친승제자 88인 현도(玄徒) 천여 명
전등록 입실제자 139인
마조계 홍주종(洪州宗)으로 재편
조사선의 종지
혜능부터 시작된 조사선 종지 마조계 홍주종 만개
즉심시불(卽心是佛 ): 마음이 부처이다
비심비불(非心非佛) : 마음도 아니요 부처도 아니다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 평상심이 도이다
조사선 특유의 일상성의 선사상을 전개
홍주종의 선승
서당 지장. 백장 회해.남전 보원. 대주 혜해
백장 선종 최초
백장청규(百丈淸規)
선원청규(禪苑淸規) 제정
선종교단 독립
백장청규 선수행자를 위한 선문규식(禪門規式) 중요한 덕목
전 대중이 생산노동에 참여해야 하는 보청(普請)의 법 제정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一日不作 一日不食]
위산과 황벽
백장의 뛰어난 제자로는 위산과 황벽
위산(噴山) 제자 앙산(仰山) 선종 오가(五家) 위앙종(噴仰宗) 개창
황벽 직하무심(直下無心) 무심법문 강조
임제 배출 임제종(臨濟宗)
무위진인(無位眞人) : 아무 가식이 없는 참사람
평상무사(平常無事 : 할 일을 다 마친 일없는 경계)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 :
곳에 따라 주체적인 삶을 살면 어느 곳이나 진실의 세계
선종 오가(五家)
조동종(曹洞宗) 운문종(雲門宗) 법안종(法眼宗)
마조(馬祖) 문하의 위앙종(噴仰宗). 임제종(臨濟宗)
오가칠종(五家七宗)
임제종 분파 : 황룡종(黃龍宗)과 양기종(楊岐宗)
묵조선(默照禪)
조동종 계통의 굉지정각(宏智正覺)제창
묵(默) 묵묵히 좌선하는 것
조(照) 비추는 작용(照用) 심성(心性)의 영묘한 깨달음
묵묵히 좌선하는 가운데 영묘한 마음의 작용.
앉아있음의 좌선을 매우 중시
간화선
임제종 양기파 계통 대혜 종고(大慧宗豈) 간화선 집대성
조사의 깨달음의 기연(機緣 : 因緣): 공안(公案: 話頭) 참구 선수 행법
공안(화두) 관공서의 문서
준수해야 할 절대성의 법칙
불조(佛祖)가 개시한 불법의 도리
수행자의 분별의식 버리고 조사의 공안 참구 깨달아 문제의식(現成公案)
인식주관과 객관대상 일체 분별 차별심 여의고 그곳에서 화두를 참구
화두 일체의 허구적 비실제적인 의식 작용 절대적인 참선 방편
화두 참구의 목적 방법은 화두에 대해 간절한 의심
의식작용 집중바깥 경계의식 지향하는 것 끊고 있는 그대로 진리 직관(直觀)
4) 한국선(韓國禪)의 전개
한국선 정신 원효 귀일심원 요익중생(歸一心源 饒益衆生) 사상
전래 신라 말 시작 고려 초 이르기 구산(九山)선문(禪門) 개창
구산선문
1. 법랑(法朗) : 중국 4조 도신 -신행(信行)- 신수- 보적 북종선 전수
준범(遵範)- 혜은(惠隱) - 지선(智詵) 문경 봉암사 희양산문(曦陽山門)
2.도의(道義) : 마조계통 홍주종- 서당지장 남종선법 전수. 설악산 진전사
염거(廉居).체징 (體澄) 장흥 보림사 가지산문(迦智山門)
3. 홍척(洪陟) : 서당 지장 심인(心印). 남원 실상사 실상상문(實相山門)
(선문 가운데 가장 빠르다)
4. 혜철(慧哲) : 서당 지장선법 전수 곡성 태안사.동리산문(桐裡山門)
도선국사
5. 현욱(玄昱) : 마조 제자 장경회휘 법- 심희(審希) 창원 봉림사
봉림산문(鳳林山門)
6. 무염(無染) : 마조 제자 - 마곡 보철의 법 . 보령 성주사 성주산문(聖住山門)
7. 범일(梵日) : 마조 문하- 염관 제안의 법. 강릉 굴산사 사굴산문(淞堀山門)
8. 도윤(道允) : 마조의제자 - 남전 보원 화순 쌍봉사
절중(折中).영월 법흥사 사자산문(獅子山門)
9. 이엄(利嚴) : 조동종의운거- 도응 심인 해주 광조사. 수미산문(須彌山門)
구산선문 외에 혜소(惠昭).순지(順之) 등이 산문 건립
선의 종지 무위임운(無爲任運). 무념무수(無念無修)
남종선: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 돈오견성의 무념법문
보조 지눌
고려 중기보조 다시 중흥기 맞이
보조 길상사(현, 송광사) 수선사(修禪社)
정혜결사(定慧結社)
이념
근본도량 하여 참선 위주 결사불교 전개
명리를 버리고 산림에 은거 정혜쌍수(定慧雙修). 예불전경(禮佛轉經) 노동 운력
성품 단련 진인달사(眞人達士) 고행(高行)의 길 본받자
정혜결사의 수행 : 1.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 : 정혜쌍수. 돈오점수(頓悟漸修)
2.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 : 화엄 선의 일치 선교회통(禪敎會通)
3.경절문(徑截門) : 화두 참구에 의한 간화선의 수행
저술 : 간화결의론 : 한국불교 최초 간화선 선양
수선사 : 혜심(慧諶).몽여(夢如). 혼원(混元) 16국사 배출 송광사 승보사찰
고려 말 선 중흥 한 선사
태고 보우(太古普愚) 나옹 혜근(懶翁慧勤) 백운 경한(白雲景閑)
원나라 유학 임제정맥 간화선풍 진작
태고 가지산문에 출가하여 깨달음
원나라 석옥 청공(石屋淸珙) 참문 인가
임제의 정종(正宗) 해동 간화선 대혜 종풍 계승
선풍 인간 본연에 돌아가 불조의 본지(本旨) 의거 시방세계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서원력을 세우는 것
경한
석옥의 법 이어받은 사람 무심무위(無心無爲)의 선지 강조
나옹 공덕산 요연 출가 양주 회암사 개오
원나라 연경의 법원사 승 지공(指空). 임제의 정맥 계승
평산 처림(平山處林) 입실하여 불자(拂子) 법의전수
선사상 : 선수행자가 돈독한 신심을 가지고 여일하게 화두만을 참구한다면
승속과 노소 또는 초참후학에 관계없이 본지풍광(本地風光)을 체득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산중불교(山中佛敎)
조선의 숭유배불 정책 종파가 강제로 통폐합 11종이 7종
7종이 교종과 선종의 양종 선종만이 남게 되었으니
조계종이 바로 이 통불교(通佛敎)적 선종
폐불의 시기 서산대사 청허휴정(淸虛休靜) 출세 선 부흥
선가귀감
휴정의 선사상
선교관 대하여 선(禪) : 말 없음으로써 말 없는 데에 이르는 것
교(敎) : 말 없음으로써 말 없는 데에 이르는 것
선교일치
누구나 말에서 잃어버리면 염화미소가 모두 교적(敎迹)이 되고
마음에서 얻으면 세상의 온갖 잡담이라도 다 교외별전의 선지(禪旨)
화두 참구에 의한 공부(간화선)
대저 학자는 모름지기 활구(活句)참구 사구(死句)는 참구하지 말아야 한다
화두 : 어구(語句). 의의(意義) 두 가지 문
어구 참구 경절문 활구
마음의 길도 끊어지고 말 길도 끊어져서 모색할 수가 없는 까닭
의의를 참구한다는 것은 원돈문의 사구
참선 삼요(三要)
1. 대신근(大信根)
2. 대분지(大憤志)
3. 대의정(大疑情)
화두 :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 왜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고 하는가?
시심마(是甚匿) : 이뭣고?
정전백수자(庭前柏樹子) : 뜰 앞에 잣나무
마삼근(痲三斤) : 삼 서근)
건시궐(乾屎猛) : 마른 똥막대기
부모미생전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부모부터 태어나기 전 본래 모습
1700가지 공안
참선하는 정신 :
한 생각 일어나고 멸하는 것을 생사
이 생사의 사이에서 힘을 다해 화두
화두에 간단(間斷 : 사이가 끊어짐) 곧 생사가 번뇌
화두가 불매(不昧)하면 곧 그것이 바로 그 사람 스스로의 집
사대(四大)로 된 이 추한 몸이 찰나 찰나에 쇠하고 썩어간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사은(四恩)의 깊고 두터움을 알고 있는가?
사람의 목숨이 호흡 사이에 있음을 알고 있는가.
일어나고 앉기가 편할 때에 지옥의 고통을 생각하고 있는가?
이것이 참선하는 사람의 일과 삼아야 할 일이므로 점검하고 점검해야 한다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대승정신 선지
출세.자유 깨달음의 경지 :신령스러운 빛이 어둡지 않아서 만고에 길이 빛난다 [神光不昧 萬古徽猷]
조선 말기
경허(鏡虛) : 쇠미해진 선풍 진작
문하: 만공.해월 .수월.한암 등의 걸출한 선승 배출
근대선의 명맥 유지
용성(龍城) : 대각운동 생활선 주창. 독립운동. 교화에 진력
제자 : 동산. 인곡. 동헌. 고암. 자운 등
성철 그의 문손
만공.용성 근대 한국선(韓國禪) 중흥 양대 산맥
5) 선(禪)과 현대
현대사회 왜 선수행이 필요한가.
인간성 상실. 물질지상주의 .환경오염 전쟁.기아 등
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들에 대해 선은 어떤 대안을 가지고 있는가
물질적 풍요 속에서 정신적 빈곤 느끼며 정체성 상실 방황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것은 문화가 있기 때문이지만
현대의 과잉 문화 속에서 소비적 향락문화에 매몰되어 감
소비와 향락 물질만능주의의 필연
물질의 노예가 되어버린 인생은 무의미
먹고 자고 자식을 낳아 키우는 것 인간이 아닌 동물들도 할 줄 안다.
인간 다른 아름다운 영혼과 이성
아름다운 영혼 이성 가진 사람을 참사람[眞人]
참사람(순수인간)
모든 육체적 욕망과 허위의식 비우고 인간의 본래모습 참사람(순수인간)
순수인간 마음이 비어 일체 물질경계 얻을 바가 없음[無所得]
허위의식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
얻을 바 없음을 깨닫는 것이 선(禪) 선은 탐.진.치의 세가지 쓰레기(얻음의 세계)를 말끔히 쓸어 빈 마음
자본주의 무한욕망 물질 허위의식가장 중요한 인간성을 상실
인간성 객관경계에 오염된 허위의식 비워서 다시 회복
텅 비워버린 마음에서 창조적인 생각 굳은 의지가 창출
비운 마음이 청정한 본성 불성 부처
선에서는 인간의 본성 그대로 부처(衆生本來佛)임을 강조
본래 부처인 인간이 무한한 존엄성을 가진 존재
인간의 삶을 편리한 것이 반드시 행복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편리함은 더욱더 많은 정보를 제공
의식작용이 더욱 복잡해져서 번민과 고통을 느끼며 하루를 생활
내면적인 스트레스 마음의 얽매임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내적 자유
선은 우리에게 절대자유의 경지인 해탈의 방법
직하에 무심 하라[直下無心]
지금 있는 그 자리에서 일체 경계에 얽매인 마음을 일시에 놓아라[放下着]
무심이란 아무 생각이 없는 목석이 되라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무심이란 일체를 생각하되 생각하지 않음[於念而不念]
분별하되 분별하지 않음이요
분별하지 않되 잘 분별함이 무심의 상태
마음이 일어나지도 않고[無生心]
멸하지도 않는[無滅心]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중도정심(中道正心)무심
서산대사 선가귀감 객관대상[境界]
대하여서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생하지 않음[不生]
생하지 않는 것을 생각이 없다[無念]
생각이 없는 것을 해탈
해탈이란 궁극적인 내적 자유와 평안
선 일체 존재가 모두 불성이 있다[一切衆生悉有佛性]
모든 생명이 부처 모든 국토 정토
마음이 청정하면 국토가 청정
직심이 도량[直心是道場] 직심이 정토[直心是淨土]
일체 중생이 본래 부처 상호 존중 일체 사물과 국토가 정토이니
아끼고 가꾸어야 할 대상이 아니겠는가.
현대인 마음 밖의 대상 소유함 행복 구하려고 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과 다른 인간과 사물(자연)에 대한 참된 이해 관계 상실
선(禪) : 인간이 바로 부처 주체적 삶 회복
모든 사람이 불성의 존재
우주(자연)와 인간이 하나 생명 공동체적 삶
항상 깨어있는 마음. 열려있는 마음
사람과 사람. 사람과 물질.
사람과 우주에 항상 깨어있고 열려있는 사람이 선을 닦는 사람[禪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