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서체의 종류
한글은 훈민정음의 반포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판본체에서 궁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체를 형성하였다. 한글 서체를 분류함에 있어 학자에 따라 견해와 용어가 다르지만 대체로 판본체(古體)와 궁체로 대별할 수 있으며, 오륜행실도에서 나타나는 과도기 형태의 글씨인 오륜체 민간에서 유통되던 민체류의 글씨 등도 있다.
1.판본체
판본체는 한글이 창제된 시기에 만들어진 글씨체로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동국정운 등의 판본에 쓰인 자형과 획을 본받아 쓴 글씨체를 말하는 것으로, 오래된 글씨체라는 의미에서 고체 또는 훈민정음을 본받아 쓴 글씨라는 의미에서 정음체라고도 불린다.
처음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을 때는 모든 점획을 원필로 처리하였으나, 후에 새김에 불편을 덜기 위해 방필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훈민정음이나 동국정운 등은 원필로 되어 있으며, 이후에 발간된 용비어천가나 월인 천강지곡 등은 방필로 되어 있다.
글씨의 특징을 살펴보면 획의 굵기가 일정하고 사각형에 가까운 조형을 하고 있으며 문자의 중심을 중앙에 두고 좌우가 대칭을 이루는 기하학적인 조형을 취하고 있다.
2.궁 체
궁체란 궁중에서 교서 편지 등을 쓰던 사서 상궁이나 내관에 의해 발생하고 체계가 세워진 글씨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궁체는 선조 대왕의 언간이나 오륜행실도 등에서 보이던 한문적인 요소를 제거하면서 발달하여 한자와는 매우 다른 독특한 형태의 글씨를 갖게 되는데, 그것은 중심을 맞추어 쓰는 한자와는 달리 오른쪽 내려긋는 획을 기준으로 맞추어 쓰여졌으며, 판본체에 비하여 모음을 길게 강조하여 썼고 자획의 특징도 한자와는 매우 다르게 발달하였다.
숙종 때에 발달한 궁체는 영 정조 시대를 거치면서 당시에 성행했던 시조·가사·한글 소설 등 과 함께 더욱 발달하게 된다. 그것은 국문학 작품 을 베껴 쓰는 과정에서 글씨를 보다 아름답게 쓰려는 노력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궁체는 대체로 유려하고 섬세한 여성적인 필치를 가지고 있으나, 일부 서간체의 글씨에서는 활달한 기운이 넘치는 것도 있다.
정자와 흘림
궁체는 일반적으로 정자와 흘림으로 분류하는데, 흘림은 흘려 쓰는 정도에 따라 반 흘림과 진 흘림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정자는 점·획이 치밀하고 자형은 안정된 형태를 취하여, 차분하고 엄정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흘림은 서사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점획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하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정자의 점획을 바탕으로 발생된 것으로 점획의 연결을 통해 밝고 활기찬 기운을 느끼게 하는 것이 많다. 진흘림은 봉서 등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독특한 개성과 아름다움을 마음껏 발휘하고 있는 작품이 많다.
서사의 목적에 따라서는 베껴 쓴 글씨인 등서체와 편지글인 서간체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등서체는 규칙적이고 정돈된 형태를 갖고 있는 정자나 반 흘림을 많이 사용하며, 서간체는 서사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면서 자유 분방하고 필자의 개성이 뚜렷이 나타나는 진 흘림을 많이 사용하여 풍부한 예술적인 정취를 느끼게 한다.
3. 오륜체
박병천 교수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오륜행실도 등에 나타나는 글씨로 과도기적인 형태를 지닌다. 이러한 글씨는 조선 중기이후의 판본에 많이 나타나는 형태로 한문과 섞어 쓴 경우가 많고, 민간에도 널리 유포되어 민간에서 쓰이던 민체류의 서체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한문 획의 용필을 받아들였으며 한자와 혼용된 경우가 많다. 혼서체라는 용어도 쓰인다.
4. 민체
체계 있게 서예를 익히지 못한 민간에서 널리 쓰이던 글씨로 여태명 교수에의해 민체로 명명되었다. 편지글이나 고 베껴 쓴 소설류 등에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일정한 규범이 없이 오륜류의 글씨나 궁체가 섞여 쓰여진 경우가 많고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다.
첫댓글 좋은공부가 됩니다,,
감사히 감상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한글에도 여러가지 글씨체가 있군요
잘 배워갑니다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공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