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QbA QbA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독일의 와인 카테고리 중의 하나. QmP 등급 바로 밑 단계.
QmP QmPQualitatswein mit Pradikat. 독일의 와인 카테고리 중의 하나. 최상위 카테고리이다. 영어로는 quality wine with predication. 인증된 고품질 와인
ㆍR
Racking 통갈이발효통이나 숙성통에서 다른 통으로 와인의 맑은 부분만을 옮기는 작업.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 와인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불어로는 Soutirage 라고 한다.
Remontage 르몽타쥬색, 추출물,탄닌을 최대한 추출해 내기 위해 발효 중인 와인을 통 하단의 출구를 통해 뽑아 상단에 다시 펌프질해 다시 부어 넣는 작업.
remuage 르뮈아쥬샴페인 지방의 샴페인 생산방법의 주요한 과정 중 한 단계. 병을 규칙적으로 진동, 회전 시켜 2차 발효 중에 생긴 고형물(주로 효모 찌꺼지)을 병목에 모이게 하는 작업을 지칭.
reserve wines 리저브 와인(프랑스 샴페인 지역에서) 미래의 빈티지와 혼합하여 non-vintage샴페인을 만들 목적으로 남겨두는 기존 해의 비발포성 와인.
reserve/ reserva/ riserva 리저브유럽에서는 합법적인 조건하에서만 레이블에 명시될 수 있는 용어로 같은 해에 생산된 포도로 만든 다른 와인보다 오래 숙성시켜 생산한 와인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다른 와인들보다 높은 가격에 팔리는 것이 사실이나 그 품질도 이에 비례하리라는 것은 전제되지 않는다. 반면, 미국에서 이 표현은 reserve, private reserve, proprietor's reserve 등의 형태로 어떤 법적인 근거없이도 사용되나 대부분의 경우 좋은 와인, 상품의 와인에 이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residual sugar 잔당병입 단계까지도 발효되지 않고 남아있는 설탕의 양. 이것이 와인의 당도를 결정한다.
Riesling 리슬링2000년전부터 재배되어온 독일산 품종. 리슬링 품종은 산도-과일향의 밸런스가 좋은 오랜 숙성이 가능한 와인도 생산된다. 다양한 스타일로 생산되는 것이 가능한 리슬링 와인은 부드러우면서도 복합적인 맛이 있고, 향신료와 복숭아, 살구과 같은 과일향, 그리고 꽃향기가 물씬 나는 숙성향, 그리고 긴 뒷맛과 여운을 갖는다. 귀부화되기 쉬운 품종이여서 향이 매혹적이 스위트 와인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국 캘리포니아, 오레곤과 워싱톤 그리고 프랑스 알자스와 이태리에서도 이 품종이 재배된다.
Roussanne 루싼느프랑스 꼬드 뒤 론의 북부 지역(에르미타쥐와 샤또 뇌프 뒤 빠프)의 와인에 사용되는 단위 면젹당 수확량이 적은 포도 품종. 옅은 색과 진한 향, 그리고 미디엄에서 full 바디 와인이 생산되는 품종으로 주로 마르싸느 품종과 블랜딩된다. 미국에서도 이 품종이 재배되지만, 극히 소량에 지나지 않는다.
ㆍS
Sangiovese 산지오베제이태리 토스카나 지역 밖에서는 거의 재배되지 않는 포도 품종. 자갈,. 점토, 편암 그리고 이회토와 따뜻한 날씨에 더 좋은 품질의 포도가 생산된다. 수확이 늦게 시작되는 샨죠베제는 딸기와 체리의 과일향이 담배와 허브향과 섞여나며 높은 산도와 적절한 알코올 도수와 탄닌 성분을 지닌 와인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엹은 적색 또는 주황빛을 띠는이 품종 와인은 10년안에 마시는 것이 적당한 와인이다. 이태리의 Chianti와 Brunello di Montalicino 그리고 Super-Tuscans라고 불리는 와인들에서 맛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Sauvignon blanc 소비뇽 블랑프랑스 보르도와 루아르 그리고 미국에서 재배되는 단단한 송이의 껍질이 얇은 화이트 와인용 품종. 이 품종으로는 풋풋한 향 (또는 자몽향)과 산미가 좋은 라이트 바디 와인이 생산된다. 보르도 지역에서는 항상 쎄미용과 블랜딩되며, 가끔 오크 숙성을 시키지만, 강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쏘테른과 Monbazillac지역에서는 쎄미용과 블랜딩하여 스위트한 스타일의 리쿼르로 생산한다.
Savagnin 사바냥프랑스 쥐라 지방에서 재배되는 쉐리 스타일 와인인 Vin Jaune을 만드는 품종이다. 화이트 와인에도 블랜딩 되는 경우가 있지만, 거의 전량이 Vin Jaune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 품종의 로제 포도는 알자스 지방에서 Klevener라는 이름으로 재배되며, Savagnin Noir이라는 품종은 삐노 누아 품종의 별칭일 뿐이다.
Sec 쎅(불어) 드라이. 당도가 매우 낮은 것을 의미. 하지만, 과일향이 없는 것은 뜻 하지 않음. 잘 익은 과일향이 풍부한 와인의 경우 실제로는 드라이해도 스위트하게 여겨지는 경우가 있다.
Semillon 쎄미용프랑스 보르도과 남서부 지역 그리고 호주에서 많이 재배되는 화이트 와인용 품종. 이 품종의 다소 큰 포도 알맹이들에서는 연한 황금빛 색상과 무화과 또는/그리고 오렌지 마말레이드 향을 지닌 와인이 생산된다. 주로 소비뇽 블랑와 블랜딩되며, 샤도네이와 블랜딩되는 경우도 있다.
Smooth 부드러운와인의 감촉을 표현하는 용어로 round한 것보다 더 유연한 느낌이다. Aggressive 의 반대말.
Sommelier 소믈리에레스토랑에서는 와인을 담당하는 와인 웨이터. 하지만, 말만 웨이터이지 와인에 관한 총 책임자. 소믈리에는 와인의 구매와 저장 그리고 와인 리스트를 작성을 책임지며, 손님들이 주문한 와인과 어울리는 와인을 추천해 준다.
Spicy 매콤한,스파이시한아니스, 계피, 정향, 육두구, 후추 등의 향이 나는 와인을 묘사하는 테이스팅 용어.
Structure 구성산, 탄닌, 그리세린, 알코올, 당분이 와인의 감촉에 미치는 총체적 효과. 주로 맛의 구조가 단단하다. 또는 맛의 구조가 부족하다는 수식과 함께 사용한다.
sulphur dioxide(SO2) 아황산방부제 또는 소독제로 일반적인 편견과 달리 와인에 유요한 물질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양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와인의 맛을 버리고 두통을 유발하는 것은 사실이다.
super Toscana 수퍼 토스카나1980년대에 이탈리아의 vino da tavola급 와인 중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을 사용해 생산한 고급와인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조어. 포도 품종에 관한 DOC의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DOC 급에 속하진 않지만, 토스카나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산지오베제 포도로 만든 와인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sur lie 쉬르 리on the lees(앙금의 위에)의 불어 표현. 일반적으로는 화이트 와인은 발효과정이 끝나면 여과과정을 거쳐 효모 등의 찌기와 분리되고 이렇게 여과된 상태에서 숙성이 되는 데, 이 방식을 따르지 않고 발효 후에도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두는 경우를 sur lie라고 한다. 이 용어는 프랑스산 화이트 와인 Muscadet가 맛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 발효과정이 끝난 후에도 스테인레스 스틸 통에 lees와 같이 보관 숙성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산 방식은 프랑스 랑그독 지방 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들까지 확대 도입되었고, 특히 보르도 Pessac-Leognan AOC 나 부르고뉴의 Meursault 스타일의 와인이 대표적인 특질을 느끼게 해 준다.
Sylvaner 실바너오스트리아가 그 근원지인 실바너는 프랑스 알자스 지방, 독일과 유럽 중부지역 국가들에서 재배되는 화이트 와인용 품종이다. 소출량이 많고 빨리 익는 실바너로는 상큼 맛과 연한 향신료와 꽃향이 나지만, 별로 특색있는 맛을 가지지 않는 화이트 와인이 생산된다. 병숙성을 통해서 토마토와 같은 맛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Syrah 시라중동 지역이 근원지인 적포도 품종. 호주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재배되지만, 프랑스 론 남부의Cote-Rotie와Hermitage의 화강암과 석회암, 그리고 사암이 주를 이루는 토양에서 좋은 품질의 와인을 내어 더 유명한 품종이다. 검푸른 색을 띠는 이 품종은 껍질이 얇고 알맹이가 적으나 소출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 품종으로 생산된 와인은 풍성한 과일향(베리, 제비꽃, 후추)과 진한 맛이 높은 알코올 도수와 탄닌함량과 어우러지는 와인이다. 주로 그르나슈와 블랜딩되며, 꼬뜨 로띠에서는 청포도인 비오니에(Viognier)와 블랜딩된다.
ㆍT
tartaric acid 주석산와인의 산도를 결정하는 주석산
table wine 테이블 와인프랑스 와인 등급의 최하 등급인 vin de table를 영어로 직역한 경우로 역시 가장 낮은 등급의 와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와인 등급과 관계없이 알코올 도수가 7-14도(지역에 따라서 15도)사이의 와인을 지칭하기도 한다. 이 정도의 알코올 도수를 지닌 와인은 디저트 와인과 강화 와인과 달리 식사 때에 음식과 함께 마시기 좋은 와인이다.
Tafelwien 타펠바인(독어) 테이블 와인 또는 vin de table
tannic, tannin 탄닌포도의 씨, 껍질, 그리고 줄기 또는 오크 통의 재료가 되는 오크 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페놀 성분으로 와인 생산과정을 통해 와인에 첨가되는 성분이다. 탄닌이 많은 경우에는 덜 익은 감을 먹었을 때와 같이 입이 마르고 텁텁한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 탄닌이 중요한 이유는 와인의 오랜 숙성 가능성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탄닌은 방부제로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와인에 탄닌이 많이 함유된 경우에는 와인이 쉽게 변질이 되지 않고 복합미를 지닌 와인으로 바뀌게 된다.
Tastevin 타스트뱅주로 버건디 지방에서 사용하는 시음용 은제 용기. 와인 상인들이 직접 와인 저장고나 생산지를 방문했을 때 사용했던 것으로 다른 잔들과 달리 깨지지 않아 선호 되었던 것이다. 이 잔(잔이라기 보다는 접시)은 다양한 무늬가 세겨져 있는 낮은 용기이다. 가운데는 불룩하게 올라온 형태로 되있어 와인이 가장자리로 몰리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것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14세기에서 부터 있으나, 15세기가 되서야 많은 문서들에 등장을 한다. 그리고 17세기 이후에는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다.
TbA TbA(독어) Trockenbeerenauslese의 약어. Beerenauslese에 사용되는 포도보다 더 건조된 포도를 수확하여 만든 와인을 포함하는 등급. 귀부현상에 걸려 건조된 포도만을 엄격한 선별과정을 통해 손으로 수확하여 만드는 와인으로 이름과 달리(trocken: dry) 매우 스위트한 와인이다. 색깔은 황금빛이 도는 황갈색이고, 굉장히 달고 끈적함이 느껴질 정도의 점도를 지녔으며, 매우 복합적인 향을 갖는다.
Tempranillo 탬프라니오스페인 리오하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적포도 품종.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는 이 품종은 색이 깊고 딸기, 향신료와 신선한 담뱃잎 향이 나는 와인으로 생산되며, 산도와 알코올 도수가 낮기 때문에 다른 품종과 블랜딩되는 게 일반적이다. 이 품종은 달리 포투갈의 Alentejo와 Duoro 지역과 알젠티나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Tobacco 담배부케를 설명하는 테이스팅 용어로 주로 보르도의 오크 숙성 시킨 와인에서 나는 담뱃잎과 같은 향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Triage 크리아쥬스파클링 와인 양조 과정 중, 블렌드 된 베이스 와인에 당분과 효모가 첨가되는 단계를 가리키는 프랑스어. 이로써 2차 발효가 일어나면서 탄산 가스가 생성된다. 때때로 2차 발효동안 스파클링 와인이 숙성하는 기간 전체를 통칭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Trockenbeerenauslese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직역하면, dry berry selected 즉, 선별된 건포도로 만든 와인이라는 의미. 이 와인은 귀부현상을 앓은 포도를 사용하고 향긋하고 달콤한 것이 특징이다. 독일에서는 이 와인 생산되는 것이 그리 흔한 일은 아니지만, 오스크리아의 Burgenland에서는 보다 빈번하게 이 와인이 생산된다. 독일의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는 일정 수준의 Oeschle(옥스러)도수에 달해야 한다: 모젤 리슬링의 경우 150도. South Baden Rulander(Pinot gris)의 경우에는 154도이여야 한다. 많은 수작업이 요구되므로 가격이 비싸다.
Trollinger 트로링거독일 뷔르템베르그에서만 생산되는 적포도 품종. 상큼하고 과일향이 좋은 품종이 생산된다. 이 품종은 이태리 Tyrol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Shiava 품종에 독일 이름을 붙인것으로 독일에서는 스위트한 스타일로 생산되는 와인에 사용된다. 거의 내수용으로 생산되는 와인들이며, 수확이 가능한 시기가 늦기 때문에 독일내의 다른 지역에서는 재배를 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