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법
점보(점步)-뒷발을 움직이지 않고 앞에 있는 발을 조금 앞으로 전진하면서 발바닥을 90°돌려 놓는다.
진보(進步)-뒷발을 한발 내디며, 앞발 앞에 놓는다.
순보(順步)-손과 발이 같은 방향을 말한다. 즉 오른손과 오른발이 앞이며, 왼손과 왼발이 앞이다.
요보(拗步)- 손과 발이 반대 방향을 말한다. 즉 오른손과 외발이 앞이며, 왼손과 오른발이 앞이다.
계보(鷄步)-왼발을 축으로 하여 오른발을 왼발 옆으로 가지고 가서 발끝으로 선다.
이때 계보는 발끝을 스치듯이 하여 체중을 전혀 두지 않는다.
근보(근步)-왼발(오른발)이 나가면 그 발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오른발(왼발)을 먼저 발을 따라 세게 내디며 따라 잡는다.
이때 뒷발의 각도는 45°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형의권의 기본 보법이며 오형권(五形拳) 가운데 벽권, 찬권, 붕권에 사용되며 포권의 경우 45°지그재그로 전진하며 횡권의 경우 좌우의 다리를 교차하면서 전진하는데 이 보법은 형의권의 특징이며 상대를 타격할 때는 반드시 이 보법을 사용한다.
숙달 후나 실전에서는 점보→ 계보(준비하는 발의 한 동작)→ 진보→ 근보로 한 동작으로 이어져 행한다.
형의권의 실전에서 응용 보법으로는 상대와의 거리에 따른 보법으로 대략 30cm 거리라면 촌보(寸步)를 쓰고, 대략 1~1.5m 경우는 점보(점步)를 쓰고, 대락 2m 경우는 전보(剪步)를 쓰고, 대략 3~5m 의 먼 거리라면 질보(疾步)를 이용한 쾌보(快步)를 사용한다.
이때 쾌보(快步)가 가장 어려운 동작으로 사나운 말(馬)처럼, 호랑이(虎)가 먹이를 잡으려고 달려 들 듯이 전진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전이 아니면 설명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