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학년도 수능 난이도 예측
1) 쉬운 수능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수능 시험의 출제 방향이나 난이도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2010학년도는 정시 전형에서 수능 영향력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수능의 난이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었고, 실제 평가원 모의 고사가 어렵게 출제됨에 따라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난이도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수능 시험은 어렵게 출제되지 않았다.
이는 정부 시책의 수능 시험의 부담감 축소=사교육 축소라는 정치적 방향성과 맥을 같이 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사교육비의 주범으로 꼽힌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난이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수능이 매우 쉬웠던 것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런 흐름은 2011학년도에도 그대로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정부에서 밝히고 있듯이 사교육비의 주범이 수리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수리 영역의 난이도는 전년도와 비슷하거나 다소 어려워진다고 하더라도 어렵지 않은 방향성을 유지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수리 영역의 난이도가 전년도 수준을 유지한다고 해서 전체 수능이 쉬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수능 난이도의 평가가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평가되는 측면이 강하고 상위권에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수리 영역이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는 대단히 정치적인 맥락에서만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2) 실제 2010학년도 수능은 쉬웠는가?
2010학년도에 수능을 치른 중위권 혹은 중하위권 학생들은 언론을 통해 나오는 이야기에 굉장히 당혹스러움을 느꼈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수능 난이도 분석의 중심축은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수리를 중심으로 판단하면 2009학년도에 비해 2010학년도가 쉬운 수능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외국어 난이도가 상승을 했고, 일부 탐구 영역이 어려웠기 때문에 중하위권 학생들이 느끼는 난이도의 체감도는 그리 쉬운 수능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는 실제 누적 백분위에 따른 표준 점수의 변화를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다. 실제 수능의 난이도가 떨어지게 되면 실제 표준점수가 전년도에 비해 하락하는 현상이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이런 현상은 실제 상위권 층에서는 나타났지만 중위권 혹은 중하위권의 경우에는 동일 누적 백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09학년도와 비교해서 점수가 오히려 상승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 말은 실제 중위권 혹은 중하위권의 경우 전체 난이도에서는 그리 쉽게 수능을 치르지 못했음을 의미하거나 수리 영역의 표준 점수의 변화가 하위권으로 내려 갈수록 전년도와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드러내는 지표이다.
이런 경향성은 2011학년도 수능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 말은 외국어 영역이나 탐구 영역의 난이도는 올해 비슷하거나 오히려 조금 더 어려워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이럴 경우, 외국어 영역의 점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층인 중위권 혹은 중하위권 학생들의 점수 몰락 현상이 올해도 재현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탐구 영역에서도 상대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몰리는 과목의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경향이 올해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수능에서 원점수 체계가 아닌 표준 점수를 반영하는 시스템에서 탐구 영역의 난이도 조절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지만 실제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백분위를 활용하여 자체 환산 점수로 표준 점수를 반영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탐구 영역의 난이도 변화에 따른 표준 점수의 변화에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받는 것은 중위권 학생일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2011학년도 수능에서도 탐구 영역의 난이도에 따른 영향력은 상위권 학생들보다는 중위권 층에서 보다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즉 탐구 영역의 난이도는 출제 위원에 따라 결정될 뿐 전체적인 난이도가 조절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3) 수능의 변별력에 대해
수능이 쉽게 출제됨에 따라 정시 전형에서 수능의 변별력이 매우 적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오히려 쉬운 수능 시험은 상대적으로 수능의 변별력을 높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변별력이란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0학년도 정시 전형에서는 학생부의 실질 반영 비율을 낮추었고, 서울대를 제외하고 논술 고사를 폐지함에 따라 쉬운 수능 시험은 수능의 영향력을 보다 확대시킨 결과를 가져 왔다.
특히 정시 전형에서 우선 선발 제도를 더욱 확대시켰던 2010학년도에는 수능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되었다고 보는 것이 올바른 해석이다. 이런 흐름은 정시 전형에서 학생부의 실질 반영 비율을 높이거나 논술 고사를 부활하지 않는 한 2011학년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수능이 쉽게 출제됨에 따라 상위권 학생들이 느끼는 수능에 대한 부담감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4) 특정 영역 중심의 학습 체계의 문제점 극복이 관건
2009학년도에 수리 영역이 매우 어렵게 출제됨에 따라 표준 점수를 중심으로 점수를 반영하는 현행 입시 흐름에서 표준 점수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을 하는 형태가 몇 년간 지속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수리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출제되었던 외국어 영역을 소홀히 공부하는 잘못된 학습 태도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하지만 수리 영역이 쉽게 출제되면서 다른 영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특히 수능 반영 영역이 3+1 반영 경향이 강해지면서 특정 영역보다는 전 영역의 학습 체계의 중요성은 보다 강조될 수밖에 없다. 2010학년도에는 외국어 영역이 어렵게 출제되면서 외국어 영역에 다소 약점을 지닌 지방 학생들의 학습 체계의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교과 과정이 변화하는 개정 7차교육 과정인 2012년도부터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출처:청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