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Thyroid Gland)
1. 해부
갑상선은 갑상선연골 아래쪽 기관 전면에 위치하여 좌, 우 2개의 엽(lobe)이 협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길이가 약 4cm, 두께가 2~2.5cm이며 성인 갑상선의 무게는 15~20g 정도이다.
2. 옥소의 대사 및 갑상선 생리
섭취된 옥소는 소장 상부에서 거의 전부 흡수되고 혈액내에서 I-는 염소와 비슷하게 대사되며 혈장농도는 음식을 통한 옥소 섭취량에 따라 변동이 심하다. 옥소의 주 공급원은 음식이지만 현재 흔히 사용되고 있는 약제 중에는 옥소 함유량이 높은 것들이 있다. 혈장내 iodide의 약 80%는 신장을 통하여 제거되고, 약 20%는 갑사선을 통하여 제거된다. Iodide의 갑상선제거율(throid clearance rate)은 옥소 결핍시에 증가되고 옥소 과잉상태에서는 감소된다.
3. 갑상선호르몬의 생성 및 분비
갑상선호르몬의 생성 및 분비는 1)iodide 포획(trapping), 2) 산화(oxidation)와 유기화(organification), 3) 연결(coupling), 4) 방출(release)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4. 갑상선호르몬의 운반 및 대사
혈액내로 분비된 T3, T4는 극미량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부 혈장단백에 결합되어 있다. 말초조직에서 생화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유리형의 호르몬이며 혈액내 유리 T4는 전체의 T4의 0.03%, 유리 T3는 전체 T3의 0.3%정도이다. T4의 혈장 반감기는 7일이며 T3는 1일이고 생물학적 활성은 T3가 T4보다 강하다. 갑상선호르몬의 대사는 네가지 경로로 이루어진다. 그중 가장 중요한 대사경로인 탈옥소화는 갑상선, 놔하수체, 간, 근육, 신장 등의 5'-monodeiodinase에 의해서 촉매되는 데 T4의 탈옥소화의 결과로 생성된 것이며 약 15%만이 갑상선에서 분비된 것이다.
5. 갑상선기능의 조절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TRH)의 분비 및 생산을 촉진하고 TSH는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기능을 증가시키고 혈 중 T3, T4의 농도를 높힌다. 혈 중 T3, T4는 반대로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TSH 분비를 억제한다. 이와 같은 음성되먹임(negative feedback)기전에 의해서 혈 중 T3, T4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T3(Triiodothyronine)
1. 정의
음식물을 통해 섭취된 Iodine이 I- 형태로 혈액을 통하여 갑상선에 흡수되어 Peroxidase에 의하여 활성화 형태인 I2로 된다. 갑상선 글로불린에 붙어 있는 Tyrosine base에 iodine이 1개, 2개가 붙으므로 MIT, DIT로 되어, 이들이 과산화효소에 의한 산화반응을 통하여 2분자씩 서로 결합하여 T3, T4를 형성한다.
일단 생성된 T3, T4는 갑상선글로불린에 결합된 상태로 갑상선 여포성관강내에 저장되고, TSH자극에 의하여 새포내로 들어가서 Lysosome내의 여러 효소에 의해 단백분해가 일어나 갑상선글로불린으로부터 분리된 후, TBP(TBG, TBPA, Albumin)와 결합되어 혈액내로 분비된다. 갑상선 옥소섭취, 호르몬 합성, 분비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TSH)에 의해 조절되며, 반대로 TSH분비는 혈액의 T3, T4농도에 따라 조절되고, 감소하면 TSH분비는 촉진되는 negative feedback, 시상하부에서 합성되고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TRH)에 의해서 촉진된다. 이 TRH에 의한 뇌하수체로의 자극은 갑상선 호르몬에 의해서 TSH분비가 억제되고 있을 때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 TRH분비에 대해서는 갑상선호르몬의 음성되먹임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성 : 혈액에 있어서 대부분 TBG와 결합하여 있고 전체의 약 2%인 극히 일부분이 유리 T3로 존재한다.
Hormonal activity T3 > T4.
2. 사용kit
CIS, 상품명 : RIA-gnost T3
3. 검사(측정)원리
TBP에 붙어 있는 T3를 분리 시켜모두 FT3로 만든뒤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키고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 plasma사용,2~8℃ 3일이내, -20℃ 냉동보관(3일이상)
표준액 : 2~8℃ 보관 (실험전 실온으로 가져다 놓는다.)
검체의 과도한 흔들림으로 생긴 용혈은 검사결과에 영향을 줄수 있다.
Std. 농도값을 확인한다.
Tube나 방사선동위원소의 Lot.번호를 확인한다.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Total
Std.
Con.
Sample
coated tube
add 50㎕ to each tube
125I-T3 1000㎕후 Mix
Incubate for 2hrs. at 37℃ or shaking at 17~27℃
Decant solution or aspirate
Gamma counting 1 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800ng/dl
최 소 값 : 1ng/dl
희 석 : 800ng/dl이상일때 10배까지 희석(검체 50㎕ : 0 STD 450㎕)
재 검 : 건진환자중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와 T3, T4, TSH의 값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8. 정상치
참 고 치 : 76~190ng/dl
9. 임상적 의의
T3가 증가하는 질환은 갑상선기능항진증, TBG증가증(임신,선천적 TBG과다증)이며,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 TBG감소증, 저 T3증후군 등이다. 혈청T3와 혈청T4는 보통 일률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간다. 그러나 T3중독증에 있어서는 총T4와 유리T4는 정상인 반면에 T3만 올라가게 된다. T3중독증은 그레이브스병, 중독증 선종이나 독성 결절갑상선종 환자들에게서 나타난다. T3는 또한 T4를 능가한다.옥소가 결핍된 상황에서 갑상선은 정상 갑상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 갑상선은 T4보다는 세포적으로 더 활성이 있는 T3를 다량으로 생산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T3치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더 정확한 지표가 된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은 환자의 약 90%정도에서 T3와 T4가 높게 나오지만 T3상승은 불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갑상선기능 저하증 환자에 있어 T3는 정상범위내에서 다소 낮은 치를 보일 수 있는데 진단적으로는 중요하지 않다. 임신중에는 정상적으로 혈청T3가 올라간다. 낮은 T3는 계통적인 질병(특히 간이나 신장질환)환자들과 중증의 급성질환을 앓고 있는 갑상선 정상인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에게서는 TSH가 정상범위내에 들어있다.
T4(Thyroxine)
1.정의
혈액에 존재하는 T4는 대부분이 티록신결합단백(TBP)과 결합하여 있고 그 전체의 약 0.02%가 유리형 T4로 존재한다. TBG에 결합된 T4와 생리적으로 활동적인 유리 T4를 모두 측정한 결과이므로 갑상선에서 T4의 분비능의 변화이외에도 TBG자체의 변동과 TBG에 T4가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는 여러 인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2. 사용kit
CIS, 상품명 : RIA-gnost T4
3. 검사(측정)원리
TBP에 붙어 있는 T4를 분리 시켜모두 FT3로 만든뒤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키고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 plasma사용, 2~8℃ 3일이내, -20℃ 냉동보관(3일이상)
표준액 : 2~8℃ 보관
Std. 농도값을 확인한다.
Tube나 방사선동위원소의 Lot.번호를 확인한다.
지나친 용혈은 정확한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전성인자와 몇몇 간질환은 TBG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단백질소모성 질환과 안드로겐은 또한 TBG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래서 TBG치는 전체 T4치의 정확한 측정을 간섭할 수 있다.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Total
Std.
Con.
Sample
coated tube
add 20㎕ to each tube
125I-T3 1000㎕후 Mix
Incubate for 2hrs. at 37℃ or shaking at 17~27℃
Decant solution or aspirate
Gamma counting 1 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40ng/dl
최 소 값 : 0.1ng/dl
희 석 : 40ng/dl 이상일때 10배까지 희석(검체 50㎕ : 0 STD 450㎕)
재 검 : 건진환자중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와 T3,T4,TSH의 값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8. 정상치
참 고 치 : 5.9 ~ 12.5ng/dl
9. 임상적 의의
T4가 증가하는 질환은 갑상선기능항진증, TBG증가증(임신, 선천적 TBG과다증)이며,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TBG감소증 등이다. TBG증가(에스트로겐이나 경구피임약제 투여)를 초래하는 질환에서는 높은 T4치를 보인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T4치는 1차와 2차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보이고 반대로 정상치 이하의 측정치는 1차나 2차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나타낸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TSH측정을 하거나 TRH검사를 하도록 한다. 그러나 정상T4치는 갑상선기능정상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T3중독증에 있어서도 정상치를 보이고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몇 명의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명백한 징후가 있으면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TBG에 결합된 T4와 생리적으로 활동적인 유리 T4를 모두 측정한 결과이므로 갑상선에서 T4의 분비능의 변화이외에도 TBG자체의 변동과 TBG에 T4가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는 여러 인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즉 혈중T4는 TBG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TBG가 증가할 경우에는 증가하고 감소할때는 감소한다. 따라서 TBG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호르몬,약물에 대해서도 변동한다.또한 T4와 TBG의 결합을 저해하는 약물(diphenyl hydantoin,salicylate등)의 투여로 T4는 감소한다.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1.정의
TSH는 시상하부의 TRH와 갑상선호르몬의 혈중농도에 의한 feedback기전으로 뇌하수체 전엽의 β세포(thyrotroph)에서 분비된다. 갑상선 여포 상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된 adenylcyclase가 c-AMP계를 부활하여 갑상선 I2섭취, Thyroglobulin합성과 가수분해, 갑상선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
2. 사용kit
Kit : 제조회사(DPC) 상품명 : Coat-A-Count TSH IRMA
3. 검사(측정)원리
항체가 피복된 Tube에 검체인 항원과, 항체가 표지된 동위원소를 비경쟁적으로 결합시킨 고상법으로써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
Control serum : 낮은 농도값(0.4~1.0), 높은 농도값(4~7)의 pool serum으로 모아서 한꺼번에 분주하여 냉동
고에 보관한다.
Tracer : 냉장보관 30일이내
표준액의 농도값, 코팅 tube와 tracer lot No.을 확인한다.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Total
Std.
Con.
Sample
coated tube
add 200㎕ to each tube
125I-TSH 100㎕후 Mix
Incubate for 2hrs. at 37℃ or shaking at 17~27℃
Decant solution or aspirate
Gamma counting 1 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150 uIU/ml
최 소 값 : 0.01 uIU/ml
희 석 : 150uIU/ml 이상 일때 10배 희석(검체 50㎕:0 STD 450㎕)
민 감 도 : 0.03 uIU/ml
특 이 도 : extremely low crossreactivity to ather glycoprotein hormone(FSH,LH,HCG)
정 밀 도 : Inter- assay : 5.5
Intra- assay : 2.3
재 검 : 건진환자가 정상치를 벗어난 경우와 T3, T4, TSH값이 불균형을 이룰때
8. 정상치
참 고 치 : 0.30~ 5.02 uIU/ml
9. 임상적 의의
혈중 TSH농도는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계의 질환에서 이상농도를 보인다. 증가농도를 보이는 질환으로는 원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 갑상선 완전적출, TSH생산종양이 있다. 낮은 농도를 보이는 질환으로는 결절성 갑상선종, 아급성갑상선염, 뇌하수체성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 항진증(Graves병), 시상하부성 갑상선기능저하증, TSH단독 결손증 등이 있다. 갑상선기능 촉진 작용을 가지는 TSH가 증가하면 갑상선은 비대해 지며 혈액중에 T4, T3등의 갑상선호르몬이 증가된다. TSH는 갑상선에 대한 당의 산화, 단백질의 합성등에도 의해서 촉진된다. TRH의 분비가 많지 않으면 TSH분비는 촉진되고 혈액중T3, T4가 증가한다. TSH의 일일내의 변동과 일차변동은 비교적 없다. 혈액TSH의 측정은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감별진단 및 치료 중의 경과관찰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치료중 발생하는 기능저하증의 조기 발견에 이용된다. 혈중TSH는 식이, 운동, stress 등의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 TRH부하시험
간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TRH가 뇌하수체에서 TSH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TSH의 분비예비능, 간뇌, 뇌하수체들의 장해부위의 판별에 도움이 된다. 합성TRH 200ug(소아는 100ug)을 2~3분 걸쳐서 정맥주사하기 전,15',30’,60',120’,180'을 채혈하여 측정한다. TRH부하시험은 부하 30~60분 후에 최고치를 보이고 10uIU/ml이상의 반응을 보인 때는 정상이다. 임상적으로 갑상선기능 이상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T3U, T4, T3등과 함께 검사를 한다.
T3 UPTAKE(T3U)
1.정의
T3섭취율은 TBG 및 T4에 의해서 변화하므로 측정값을 해석할 때는 2개의 인자를 고려해야 한다. 또 TBG와 T4의 결합저해제(salytin제 등)의 사용시는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2. 사용kit
DPC, 상품명 : Coat-a Count T3 UPTAKE
3. 검사(측정)원리
Triiodothyronine섭취율(T3U)은 혈청에 일정량의 125I-T3를 가하고 갑상선호르몬에 의해 포화되지 않은 thyroxine binding protein(TBP)의 불포화 부분을 포화시키고 남는 유리 125I-T3가 tube의 항체와 결합한 것을 측정한다. 불포화량으로 간접적으로 TBP에 이전에 결합된 갑상선호르몬의 양을 구하는 상대적인 갑상선기능 검사법으로 포화분석법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 체 : serum 2~8℃ 1주일이내, -20℃ 냉동보관(1주일이상)
표준액 : Calibrator - 1ml D.W
Control 1,2 -1ml D.W (사용 30분전),2~8℃보관(30일)
Tracer : 2~8℃보관(30일)
Calibrator의 농도값을 확인한다.
Tube나 방사선동위원소의 Lot.번호를 확인한다.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Total
Std.
Con.
Sample
coated tube
add 25㎕ to each tube
125I-T3 1000㎕후 Mix
Incubate for 1hrs. shaking at 17~27℃
Decant solution or aspirate
Gamma counting 1 min
7. 검사 특성
정밀도 : Inter assay : 2.2%
Intra assay : 3.7%
재 검 : T3, T4, TSH값과 비교했을때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8. 정상치
참고치 : 25~37% T3U
9. 임상적 의의
갑상선호르몬은 혈액내에서 티록신결합단백(TBG,TBPA,albumin)에 결합하여 순환한다. 이때 TBG의 결합능이 일정하다면 TBG에 결합된 갑상선호르몬의 양은 갑상선의 기능상태와 비례하고, 반면 TBG중 갑상선호르몬이 결합하고 남은 여백은 갑상선기능과 반비례한다. 증가하는 경우는 갑상선기능항진증,TBG감소,중증신장질환,간질환,신생아이며,감소하는 경우로는 갑상선기능저하증,TBG증가증,임신등이 있다. 즉, 높은T4치를 나타내면서 높은T3U를 보이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을 나타낸다. 그리고 T3U이 낮으면서 낮은 T4치를 보이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나타낸다. 더 많은 TBG 유리 결합부위와 낮은 FT4치를 뜻한다. 그래서 갑상선기능의 일차적인 질환에 있어서 T4와 T3U은 같은 방향으로 변화되어 측정된다. T4와 T3U의 측정값이 같은 방향으로 보이지 않으면 TBG의 이상을 지적해 준다. 예를 들어 높은 T3섭취율과 낮거나 정상인 FT4치는 TBG치를 감소시킨다. 그렇게 감소되는 이유는 단백질소실이 원인일 수 있고 신증후군과 생산의 감소가 원인이 될 수 있다. 거꾸로 T3섭취율이 낮고 FT4치가 높거나 정상일 때는 TBG치를 상승시킨다. 그러한 높은 측정치는 외인성이나 내인성(임신)으로 나타날 수 있고 원발성 원인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티쓰리섭취율 단독검사로는 갑상선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곤란하므로 다른 갑상선 기능검사와 함께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TBP의 불포화량(T3U)은 혈중 갑상선호르몬농도뿐 만 아니라 TBP양에 의해서도 변한다. 외인성 125I-T3의 TBP에의 결합은 여러 가지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3U는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증가하고, 저하증에서 감소한다. 선천성TBG결손증,androgen치료,중증 간질환 등에서는 혈중 TBG는 감소하지만 T3U는 증가치를 보인다.유전성 TBG증가증,임신,estrogen치료 등 혈중TBG의 증가에 따라 감소치로 된다. Salicylic acid, phenytoin, butazolidin, penicilin등의 약물은 결합저해의 결과 T3U를 증가시킨다,
Free T3(Free Triiodothyronine)
1.정의
정상인에서는 혈중 T3의 30%는 갑상선에서 분비되고 70%는 말초조직에서 2분자의 deiodinase에 의해 T4로부터 전환된다. 이 탈 iodine효소는 각각의 표적세포에서 T4의 대사를 조절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생리작용을 발현한다. T3의 대부분은 혈중에서 TBG와 결합하여 세포내로 이행해서 실제로 생물학적 작용을 발휘하는 유리형triiodothyronine(FT3)은 0.3~0.4%에 지나지 않는다.
2. 사용kit
Kit회사 :CIS, 상품명 : RIA-gnost FT3
3. 검사(측정)원리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 2~8℃ 2일이내, -20℃ 냉동보관(2일이상)
검체 10배희석(검체 50㎕ : 0 STD 450㎕)
표준액 : 2~8℃보관
Tracer : 2~8℃보관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Total
Std.
Con.
Sample
coated tube
add 50㎕ to each tube
125I-FT3 1000㎕후 Mix
Incubate for 2hrs. shaking at 17~27℃
Decant solution or aspirate
Gamma counting 1 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55.0 pg/ml
최 소 값 : 0.01 pg/ml
희 석 : 55 pg/ml이상 검체 10배희석(검체 50㎕ : 0 STD 450㎕)
재 검 : T3,T4,TSH값과 비교했을때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8. 정상치
참 고 치 : 2~4.25 pg/ml
9. 임상적 의의
증가를 보이는 질환은 갑상선기능항진증이고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에서는 혈중 TT3에 비하여 FT3의 증가는 현저하고 T3/T4비는 정상인에 비하여 큰 값을 보인다. TBG가 정상범위에 있어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FT3가 가장 예민한 지표가 된다. 특히 FT4가 정상에서 FT3만이 증가하는 T3-toxicosis를 진단하는데 꼭 필요한 검사이다. FT3는 기능 항진증을 항 갑상선제로 치료하면 갑상선 기능의 각 지표는 정상화되지만 그 시기는 시차를 나타내는데 가장 늦게 정상화된다. 때로는 TT4, FT4가 모두 낮은치를 보여도 우선적으로 FT3가 정상화하는 증례도 있고, 또한 기능 항진이 재연될 때는 가장 빨리 증가하기 때문에 치료 경과에 좋은 지표로 생각하고 있다. 항진증의 치료의 기능이 정상으로 되면서 TBG는 서서히 정상범위내로 증가하기 때문에 FT3는 TT3보다 치료의 경시적인 변화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는 갑상선호르몬 어느것이나 감소하는데 T4에 비하여 그 감소비율은 낮고 T4로 보충요법을 하여도 FT3농도는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 T4에 의한 보충요법을 시행할 경우, FT4가 정상이라도 FT3가 감소되는 경우는 흔히 있다. 그리고 FT4가 증가하고 FT3가 정상인 경우에도 TSH가 증가하는 증례가 있으므로 원발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의 지표로서는 TSH가 가장 좋은 지표가 된다.
TT4는 말초조직에서 T4의 대사 상태라는 관점에서, FT3는 갑상선에서의 분비기능면에서 각각 갑상선의 기능상태를 검색할 수 있다.
Free T4(Free Thyroxine)
1.정의
갑상선호르몬 중 티록신은 혈액중에서 그 대부분이 결합단백질(binding protein)에 결합되어 순환하고 그 중 일부분이 유리형으로 존재하는데 이는 전체 티록신(total T4)의 0.02%를 차지한다. 미량이지만 직접활성을 갖고 있어 유리 T4의 측정은 갑상선 기능 진단에 유용하다.
2. 사용kit
DPC, 상품명 : Coat-A-Count Free T4
3. 검사(측정)원리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 체 : Serum
표준액 : 0 STD - D.W 6m
1~7 STD - 각 3ml(사용 30분 전)
Control serum은 낮은 농도값(0.4~1.0),높은 농도값(4~7)의 pool serum으로 모아서 한꺼번에 분주
하여 냉동고에 보관한다.
Tracer : 냉장보관 30일이내
Buffer solution : 1 vial(40ml)+ D.W(400ml)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Polypropylene tube
Stds
Controls
Samples
Numbering
1-12
13-16
17
Pipette
Standards ㎕ Controls ㎕
Samples ㎕
100
100
100
BUFER ㎕
1000
1000
1000
30분후 Separatoration 완전히 제거, NO washing
125I-Free T4 ㎕
1000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Separatoration 완전히 제거, NO washing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9.9 ng/dl
최 소 값 : 0.01 ng/dl
희 석 : 9.9 ng/dl이상 검체 10배희석(검체 50㎕ : 0 STD(X) 450㎕)
민 감 도 : 0.01ng/ml
정 밀 도 : Inter assay : 7~9%
Intra assay : 5%
특 이 도 : Extremely low crossreactivity to other compounds
재 검 : T3, T4, TSH값과 비교했을때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8. 정상치
참고치 : 0.8~2.0 ng/dl
9. 임상적 의의
증가를 보이는 질환은 갑상선기능항진증이고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다. 혈중 TT4는 TBP 특히 TBG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중FT4농도는 세포내에서의 갑상선기능상태를 그것도 TBG증가증이나, 감소증을 합병하고 T4농도가 이상을 보일때에는 갑상선기능을 가장 잘 반영한다. 혈중 T4는 TBG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TBG가 증가 할 경우에는 증가하고, 감소 할때는 감소 한다. 따라소 TBG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hormone,약물에 의해서도 변동한다. 또한, T4와 TBG결합을 저해하는 약물(diphenyl hydantoin, salicylate 등)의 투여로 T4는 감소한다. 즉, 임신이나 estrogen의 투여, 만성활동성 간염에서는 TBG증가를 유도하여 혈중TT4농도는 증가하지만 FT4는 증가하지 않고 갑상선기능을 잘 나타낸다.
그리고 고령자 또는 악성종양, 간견변증, 만성신부전, 당뇨병, 저단백혈증 등의 중증 소모성 질환 환자에서는 낮은 치로 된다. 그러나 여기에다 기능 항진증이 합병하면 말초에서의 T4에서 T3로의 전환이 억제되어 TT4, FT4는 다 같이 증가치,T3는 정상내지 감소치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TG(Thyroglobulin)
1.정의
Thyroglobulin(TG)은 iodine이 함유된 당단백으로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의 조절을 받아 갑상선여포내 및 혈중으로 분비된다. Iodoamino산으로써 monoiodotyrosine 4.9, diiodotyrosine 1.9, T3 0.2 및 T4 1.0 mol/mol TG를 함유하여 모든 iodine량은 0.25%/protein이다. 당성분으로는 galactose 50, mannose 130, N-acetylhexosamine 127, sialicacid 23 및 fucose 21 mol/molTG를 함유하여 전체 당량은 9.4%/protein이다.
2. 사용kit
RADIM, 상품명 : TG 125I IRMA CT
3. 검사(측정)원리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체를 비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plasma 2~8℃ 1일이내, -20℃ 냉동보관(2일이상)
표준액 : 2~8℃보관
Tracer : 2~8℃보관
Washing solution : 1 vial(100ml) + D.W (900ml) (3 months at RT)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Total
Std.
Con.
Sample
coated tube
add 50㎕ to each tube
125I-Tg 200㎕후 Mix
Incubate for 2hrs. shaking at 17~27℃
Decant solution or aspirate
125I-TG Ab 250㎕후 Mix
Incubate for 18~24 hrs
Washing 2ml ×2, Gamma counting 1 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600 ng/ml
최 소 값 : 0.1 ng/ml
희 석 : 600 ng/ml이상 10배희석(검체 50㎕ : 0 STD 450㎕)
재 검 : 환자병명,과거이력과 차이가 많이 날 경우
8. 정상치
참 고 치 :0.1~25 ng/ml
9. 임상적 의의
갑상선글로불린은 갑상선상피세포에서 합성되는 당단백질로 분자내에 4개의 펩티드 사슬을 갖고 있다. 갑상선의 여포세포내에서 I2가 페록시다제에 의해 산화되고 갑상선글로불린에 있는 티로신에 부착되어 MIT,DIT을 형성하고,중합되어 T3, T4로 된다. 종래 TG는 갑상선 여포내에만 존재하여 혈중에서 측정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RIA의 개발로 정상인의 혈중에 TG가 존재할는 사실이 알려졌다. TG는 갑상선의 정상적인 분비성분이며, TSH의 조절을 받고 있는 사실도 시사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갑상선암에서 혈중TG농도가 상승하여 수술후에는 정상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혈중 TG농도와 갑상선암의 관계가 주목되고, 혈중TG측정의 목적은 갑상선 종양 및 전이의 진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TG의 상승은 갑상선암에 특이적이지는 않다. 갑상선 분화암을 가진 대부분의 증례에서 혈중TG는 고치로 되나 반면 갑상선 수양암 및 미분화암에서는 TG합성능이 없어 혈중TG는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상선종, Basedow병 및 아급성갑상선염에서도 상승되며 이점에 있어서 TG는 갑상선 분화암의 Marker라고는 할 수 없다. 다음으로 갑상선 분화암의 치료와 TG농도 관계를 보면 갑상선 적출에 이어 방사선 요오드요법을 실시하고 전이가 나타나지 않는 증례에서는 혈중TG농도가 정상이거나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이가 보이는 증례에서는 수술후에도 혈중TG가 고치로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수술후 갑상선 분화암의 재발 또는 전이 병소의 Marker로서 TG의 임상적 유용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현재 혈중 TG농도 측저의 가장 중요한 의미도 여기 있다고 할 수 있다. 혈중 TG농도가 상승되는 질환 또는 상태로는 갑상선분화암, 갑상선분화암의 수술후 재발 또는 전이병소가 있는 경우, 갑상선종양, 아급성갑상선염등이 있다.
뇌하수체
1. 뇌하수체의 기능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와 광범위한 생리적 작용을 나타낼 뿐 아니라 하나의 단위를 이루어 갑상선, 부신 성선, 등 여러 내분비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이러한 구조는 신경내분비라 불리 우는 뇌와 신경의 상호연관을 형성해서, 신경계는 내분비기관으로 조절하고, 내분비 활성은 중추 신경계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모든 생리활동에 관여하게 된다.
2. 해부학적 구조 및 발생
뇌하수체 후엽(신경하수체)은 신경에서 기원하는 데, 태생학적으로 시상하부 복부(ventral hypothalmus) 및 제 3뇌실이 외측으로 팽출해서 형성한다. 신경하수체는 시상하부 시삭상핵(supraoptic nucleus) 및 실방핵(paraventricular nucleus)에 위치하는 세포체의 축삭(axon), 신경말단 및 지지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상하부-신경하수체로에는 약 10만게의 신경하섬유가 있다. 신경종말에서는 신경섬유 두께가 1um체서 50um범위까지 이르는 반복된 팽창이 보인다. 뇌하수체 전엽(선하수체)은 구인두(oropharynx)가 외배엽 팽출(ectodermal evagination)해서 형성하는 라트케낭에서 기원한 후, 이동하여 신경하수체와 결합하는데, 신경하수체와 접합하는 라트케낭 부분의 발육은 미약하며 중엽을 형성한다. 일부 중에서는 중엽이 온전하게 남아 있지만 사람에서는 그 세포들이 뇌하수체 전엽에 퍼지게 되며, 전구아 편양흑색소 부신피질자극호르몬(pro-opiomelanocortin)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생산, 분비할 수 있다. 뇌하수체는 전엽이 약 2/3를 차지하고 있고, 크기는 매우 다양하지만 약 15×10×6mm 정도이며, 무게는 500~900mg 정도인데, 임신시에는 크기가 2배 정도로 증가한다.
3. 조직학
뇌하수체 전엽 세포는 원래 산호성(acidophils), 호염기성(basophils) 및 혐색소(chromophobe) 세포로 분류 되었으나, 면역 세포화학 및 전자현미경 기법이 발달하면서 세포를 분비물에 따라서 성장호르몬 분비세포, 프로락틴 분비세포,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세포 및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 분비세포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1) 성장호르몬 분비세포
성장호르몬 분비세포(somatotrophs)는 전통적인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서 산호성이며, 보통 전외측에 위치하고, 뇌하수체 세포의 약 50%를 차지한다. 전자현미경하의 과립크기는 직경이 약 150~600nm 이다.
2) 프로락틴 분비세포
프로락틴 분비세포(lactotrophs)는 산호성 세포로서 전엽에 골고루 퍼져있고, 전엽세포의 20~25%를 차지한다. 전자현미경하의 과립 크기는 약 550nm이다. 과립이 거의 없는 것과 과립이 매우 많은 두 종류의 프로락틴 분비세포가 존재하며, 임신 중에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증식되어서 뇌하수체 크기가 약 2배로 커진다.
3)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thyrotrophs)는 당단백 물질 때문에 호염기성이며, periodic acid-Schiff(PAS)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인다.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는 뇌하수체세포 중 가장 드물어서 선하수체의 세포의 10%미만이다. 과립은 작고(50~100nm), 보통 뇌하수체 전내측이나 전외측에 위치한다.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 때에는 이들 세포가 매우 비대해져서 전반적으로 뇌하수체의 크기가 커진다.
4)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CTH와 관련된 펩티드는 태생학적으로 중엽에서 기원하는 호염기성 세포(corticotrophs)에서 분비되며, 전엽의 전내측에 위치한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세포는 선하수체 세포의 15~20%를 차지하며, 전자현미경하의 과립크기는 직경이 360nm정도이다. 당질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에서는 탈과립(degranulation)이라 불리 우는 미세소관 유리질화가 나타난다.
5)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
LH, FSH는 호염기성 세포(gonadotrophs)에서 유래하며, 과립직경은 200nm 정도이다. 이들 세포는 전엽세포의 10~15%를 이루며, 전엽전체에 퍼져있다. 폐경, 클라인 펠터증후군, 터너증후군 같은 일차성 성선부전 상태에서는 비대해져 뇌하수체의 크기가 커진다.
ACTH
1.정의
분자량이 약 4500인 polypeptide로 N말단 1~10 사이에 기능적 활성부위가 있다. 주로 부신 피질에 작용하며 steroid hormone 합성을 촉진하고 melanin 세포 자극 작용, 지방분해 작용을 한다.
2. 사용kit
ELSA ACTH Ⱂ (CIS bio international)
3. 검사(측정)원리
Tube 표면에 피복된 항체와 sample 의 항원을 반응시킨 후 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체를 결합 시키고, 고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방법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조조 공복 안정시의 EDTA plasma - 하루 변동이 심하므로 채혈 시간을 명시 한다. heparine
plasma, 탁하거나 용혈된 것, lipemic 한 검체, fibrin이 있는 검체는 부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
채혈 후 냉장상태로 보관 후 냉장상태에서 원심분리하여 -20℃에 보관한다.
0-5 STD, CON 1.2 : 각각 D.W 1.5ml - -20 ℃ 에 보관, 최대 2회 사용 dilution buffer, tracer,
tube, washing solution - 4 ℃ 에 보관.
Std.와 control은 한 번 쓴 후 2개로 분리하여 얼려두고 다음에 사용한다.
높은 농도 검체의 희석시 diluent 농도가 있으므로 결과계산에 주의한다.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ELSA coating tubes
Stds
Controls
Samples
Numbering
1-12
13-14
15
Pipette
200
Pipette Ab-I-125 ㎕
100
Mix
Multi tube Vortexer에서 혼합한다.
Incubate
20±2시간동안실온(15-30℃)에서반응시킨다(shaker).
Wash
증류수로 3회 세척한다( GAW50 Washer).
Gamma-Counting
1분간 계측한다.
☞ 검체희석 : 2000 pg/ml 이상시 diluent 450㎕-검체 50㎕넣어 10배, 100배 계단희석
희석결과계산; Sx= (obtained value - (9/10 x diluent value) x 10 pg/ml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1~1950 pg/ml
최 소 값 : 2 pg/ml
희 석 : 1950 pg/ml 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검체는 diluent로 10배 까지 희석한다
정 밀 도 : Inter-assay
n=15 22 cv=6.1%
n=15 59 cv=2.9%
n=15 778 cv=2.1%
Intra-assay
n=15 40 cv=5.3%
n=15 203 cv=4.8%
n=15 1055 cv=1.3%
8. 정상치
참 고 치 : 0-60 pg/ml
9. 임상적 의의
성, 연령 차이는 없다. 일내 변동이 심하다.
측정의의 : 시상하부 -뇌하수체-부신피질계장애를 검색.
시상하부-뇌하수체 이상시 고농도를 보인다.
증 가 : ADDISON 병,선천성 부신 효소 결핍증,CUSHING병 ,저혈당 증가
감 소 :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ACTH 결손증,steroid영향
Prolactin
1.정의
분자량 : 22,000, 200개의 amino산으로 된 뇌하수체 peptide hormone
분비기관 : 뇌하수체 전엽
기 전 : 시상하부에서 합성되어 분비억제와 분비촉진을 이중으로 조절, 지배 하는 기전으로 조절
특 성 : 다른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과 달리 특정한 표적 내분비선을 갖지 않으므로 Negative feedback에
의해 분비조절을 받지 않는다. 임신시 유선발육에 참여하고, 산욕기에는 유즙분비를 촉진한다.
2. 사용kit
Prolactin RIABEADⅡ ( Abbott laboratories )
3. 검사(측정)원리
Bead에 피복된 항체와 검체의 항원을 반응시킨후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체를 결합시키는 고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Method(bead) 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Serum 또는 plasma,
과거 검사 조회 후 Normal saline 으로 10배까지 희석하여 실험 실시.
2-8˚C : 24시간이내 / -20˚C : 24시간 이상.
prolactin 농도가 잠을 자는 동안에 증가되기 때문에 꼭 환자가 깨어난지 3-4시간 후에 채혈해야만 한다.
반복된 freezing과 thawing 은 피해야만 한다.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Manual Pipette : 25ul, 200ul Shaker
6.검사(측정)방법
Tray
Stds
Controls
Samples
Pipette
Standards ㎕ Controls ㎕
Samples ㎕
25
25
25
Pipette Ab-I-125 ㎕
200
200
200
Ab-Bead
Coated bead 1개씩 넣는다.
Mix
Cover덮고 bead가 잠기도록 가볍게 쳐준다.
Incubate
실온(15-30˚C)에2시간동안반응시킨다(Shaker).
Wash
Proquantum 이용 washing (30ml로 2회)한다.
Gamma-Counting
Bead를 tube로 옮겨 1분간 계측한다.
☞ 검체희석 : 200ng/ml 이상 검체일 경우 Normal saline 450ul에 검체
50ul를 넣어 10배· 100배 계열희석하여 실험한다.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0.9 ∼ 20 ng/ml
최 소 값 : 0.1 ng/ml
정 밀 도 : Intra assay : 4.5 ∼ 7.3 %
Inter assay : 1.2 ∼ 6.7 %
Sensitivity : 0.9 ng/ml ( Insert manual ; 0의 2SD)
Specificity : LH ; 5000 mIU/ml
FSH ; 5000 mIU/ml
HPL ; 100000 ng/ml
HGH ; 1000 ng/ml
TSH ; 20000 uIU/ml
HCG ; 100000 mIU/ml 까지 cross-reaction이 없다.
Precision :
Intra-precision
Inter-precision
N
Mean
ng/ml
C.V. %
N
Mean
ng/ml
C.V. %
25
5.96
7.31
5
5.96
6.77
25
15.94
4.57
5
15.94
1.23
25
38.50
4.51
5
38.50
2.97
8. 정상치
Male 7.3 - 16.1 ng/ml
Female 7.8 - 19.6 ng/ml
9. 임상적 의의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증가 ; pregnancy, breaststimulation, stress, coitus,estrogen·progesterone·androgen 투약, some
psychotropic, antihypertensive drugs, TRH.
감소; L-dopa와 bromocriptine투약. 고 Prolactin 농도는 Galactorrhea-Amenorrhea Syndrome, 시상하부
장애, 뇌하수체질환, 유방암, 갑상선기능 저하증, 만성신부전, 정신질환 에서 나타난다.
뇌하수체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뇌하수체 선종의진단불임 및 2차 무월경증과 유즙분비과다
등의 평가
IGF-1(SOMATOMEDIN-C)
1.정의
분자량이 약 5000-7000인 polypeptide계 물질로 성장 hormone의 작용을 나타내는 중계물질. 혈중에서는carrier 단백에 결합되어 있다. GH 의존성이며 insulin과 같은 작용을 갖고 있지만 별도의 receptor를 갖고 있다.
2. 사용kit
DSL
3. 검사(측정)원리
Tube 표면에 피복된 항체와 sample의 항원을 반응시킨 후 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체를 결합 시키고, 고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 하는 IRMA 방법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EDTA plasma - 용혈된 것,lipemic한 검체는 부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
냉동 상태로 보관 후 녹여서 1회만 사용 가능하다.
Kit : DSL
0-5 STD,CON 1.2 : 각각 D.W 1ml - -20 ℃ 에 보관, 녹인 후 1회 사용
coating tube - 4 ℃ 에 보관.
ANTI-IGF-125I - 4 ℃ 에 보관.
extraction solution(ethanolic Hcl solution) - 4 ℃ 에 보관.
neutralizing solution ,washing solution - 4 ℃ 에 보관.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sample 100ul centrifuge tube에 분주
400ul extraction solution 분주
incubating 30 at room temperature (60분 넘기지 말것)
3000 rpm 45분 4 ℃ centrifuge
상층액 100ul를 plain tube에 분주( E.S 을 묻힌 tip 사용)
neutralizing solution 500ul
total
standard
control
단백추출sample
Add 50 ul to each tube
125I -anti-IGF (200ul)
incubating 3hr at room temperature(shaker)
washing 3 times(tap water)
Gamma-ray counting 1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1-600 ng/ml
최 소 값 : 0.80 ng/ml
희 석 : 600ng/ml 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검체는 0 STD로 10배 까지 희석한다
정 밀 도 : Inter-assay
n=8 10.41 +/- 0.85 cv=8.2%
n=8 53.84 +/- 0.80 cv=1.5%
n=8 255.9 +/- 9.59 cv=3.7%
Intra-assay
n=8 9.38 +/- 0.32 cv=3.4%
n=8 55.35 +/- 1.64 cv=3.0%
n=8 263.6 +/- 3.86 cv=1.5%
8. 정상치
9. 임상적 의의
측정의의 : GH와 더불어 뇌하수체성 소인증, 말단비대증을 진단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 데 유용하다.
증 가 : 말단 비대증이나 거인증,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 수술이나 약물에 의해 말단비대증을 치료하면
농도는 감소한다.
감 소 : 뇌하수체성 소인증, 영양 장애 , 심한 간 및 신장질환과 갑상선기능 저하증 GH치료시 농도가
증가 한다.
IGF-2
1. 정의
67 amino acid peptide 로 GH의 작용을 나타내는 중계물질. IGF 1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2. 사용kit
DSL
3. 검사(측정)원리
Tube 표면에 피복된 항체와 sample의 항원을 반응시킨 후 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체를 결합 시키고, 고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방법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체 : serum,EDTA plasma - 용혈된것,lipemic 한 검체는 부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
냉동 상태로 보관 후 녹여서 1times만 사용 가능하다.
Kit : DSL
0-6 STD,CON 1.2 - -20℃ 에 보관. 녹인 후 1회 사용.
coating tube - 4 ℃ 에 보관.
ANTI-IGF2-125I - 4 ℃ 에 보관.
extraction solution(ethanolic Hcl solution) - 4 ℃ 에 보관.
neutralizing solution ,washing solution - 4 ℃ 에 보관.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6.검사(측정)방법
sample 50ul centrifuge tube에 분주
750ul extraction solution 분주
incubating 30 at room temperature (60분 넘기지 말것
3000 rpm 45분 4℃ centrifuge
상층액 100ul를 plain tube에 분주( E.S 을 묻힌 tip 사용)
neutralizing solution 500ul
total
standard
control
단백추출sample
Add 100 ul to each tube
incubating 3hr at room temperature(shaker)
washing 3 times(D.W)
125I -anti-IGF2 (100ul)
incubating 1hr at room temperature(shaker)
washing 3 times(Buffer)i
Gamma-ray counting 1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1-2000ng/ml
최 소 값 : 12ng/ml
희 석 : 2000ng/ml이상의 농도값을 보인 검체는 0 STD로 10배 까지 희석한다
특 이 도 : IGF1, Poinsulin, Insulin, IGFBP2, IGFBP3, IGFBP4, IGFBP5, GH
에 간섭을 받지 않는다.
정 밀 도 : Inter-assay
n=8 74 +/- 7 cv=9.5 %
n=8 427 +/- 27 cv=6.3 %
n=8 1295 +/- 135 cv=10.4%
Intra-assay
n=10 63 +/- 30 cv=4.3%
n=10 416 +/- 30 cv=7.2%
n=10 1585 +/- 68 cv=4.3%
8. 정상치
9. 임상적 의의
측정의의 : GH와 더불어 뇌하수체성 소인증, 말단비대증을 진단하고, 치료효과를 판정하는데 유용하다.
증 가 : 말단 비대증이나 거인증, 갑상선기능 항진증,임신
- 수술이나 약물에 의해 말단비대능 을 치료하면 농도는 감소 한다.
감 소 : 뇌하수체성 소인증, 영양 장애, 심한 간 및 신장 질환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 GH치료시 농도가 증가 한다.
IGFBP - 3
1.정의
IGF는 GH와 다른 조절인자의 조절 아래 체조직에서 생산되고, 세포 성장에 있어 autocrine, paracrine, endocrine 조절인자로 활동한다. IGFBP-3는 264개의 amion acid peptide로 구성되어 있고, 분자량은 29,000 dalton이다. 뇌하수체 또는 시상하부의 GH 부족에서 IGFBP-3 수치는 균일하게 낮아진다. IGF-Ⅰ과 IGF-Ⅱ는 인슐린과 구조적 동형이며, 효과적인 유사분열 생식과 동화작용을 하는 peptide이다. IGF와 인슐린의 작용은 IGF-Ⅰ을 포함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IGF-Ⅱ 수용체 그리고 인슐린과 매우 상응하는 수용체를 결합시켜 줌으로써 조절된다. IGFBP-3는 주된IGF-binding protein으로 혈청 IGF-Ⅰ,IGF-Ⅱ의 95%이상이 이들과 결합하여 IGF의 반감기를 10분에서 수시간으로 연장시킨다. IGFBP-3는 IGF-Ⅰ과 IGF-Ⅱ에 비슷한 친화도를 갖고 결합함으로써 IGFBP-3의 농도는 주로 total IGF농도를 결정한다.
2. 사용kit
DSL(Diagnostic Systems Laboratories), DSL-6600 ACTIVE IGFBP-3
3. 검사(측정)원리
항체가 피복된 tube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체가 sandwich로 결합하는 고형상법으로 IRMA method이다.
4. 검사전 준비사항
·검 체 : serum
희석전 2~8℃ 냉장보관 - 48 hours
(원액) -20℃ 냉동보관 - 8 weeks
희석후 2~8℃ 냉장보관 - 48 hours
-20℃ 냉동보관 - 4 weeks
검체 1 : 100으로 희석 (검체 10㎕ + zero std. 1000㎕)
·표준액 : Zero std.(A) - 55㎖ (2 ~ 8℃)
B ~ F : D.W 1㎖ 제조전 : 2 ~ 8℃ 냉장 보관
Con(1,2): D.W 1㎖ 제조후 : 2 ~ 8℃ - 48 hours, -20℃ - 2 weeks
⇒ 미리 3 ~ 4개로 나누어 냉동 보관한다.
·Tracer : 2 ~ 8℃ 냉장 보관
·Kit : DSL(Diagnostic Systems Laboratories), DSL-6600 ACTIVE IGFBP-3
5. 장비 및 기구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6.검사(측정)방법
Total
Standard Control Sample
Plain tube
Coated tube
Add diluted sample 50㎕
125I Anti-IGFBP-3 200㎕
125I Anti-IGFBP-3 200㎕
Icubating 18~24hrs at RT (180rpm)
Washing D.W 3㎖(3 times)
γ-ray counting 1min
7. 검사 특성
측정범위 : 120 ng/ml
최 소 값 : 0.1 ng/ml
희 석 : 100 ng/ml 이상일 경우 10배 희석 (sample 20㎕ + zero std. 180㎕)
민 감 도 : 0.5 ng/ml
특 이 도 : 3 ng/ml
정 밀 도 : Intra-assay : 3.0 %
Inter-assay : 1.0 %
8. 정상치
참 고 치 : 첨부 참조
9. 임상적 의의
GH의 결핍이 있는 아이들은 혈청내 IGFBP-3의 농도가 나이에 비해 5%정도 낮아짐을 보인다. GH receptor가 결핍된 상태(Laron syndrome, Anti-GH Ab, 간질환 또는 영양실조와 같은)에서는 IGFBP-3 수치는 감소한다. GH 결핍증과 말단비대증 진단에 좋은 검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