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째 저는 가는 회사마다
FIELD 업무 보다는,,,, 뒤에서 시정조치서 발송하는 업무가 주가 되어왔습니다
저의 팀장이 제게 얘길 하더라구요,,,
자네 시정조치서는 아주 좋아,,
여봐 한국말이 없어
숫자랑 이상한 그래프밖에 없잖아,,,그래서 보고 올리면, 100% 결재난다니간
제가 8D REPORT로 시정조치 하게 된게 근 1년이 다 되갑니다
그래서 늦은 밤 8D REPORT와 또 씨름하면서 몇자 적습니다
제가 처음 8디를 처음 적게 될때는,,, 줄구 장차 원인만 2페이지 썼습니다
몇달이 지나선, 임시 조치만 쓰더니, 시간이 더 지나니간 유효성 검증을
많이 쓰게 되더라고요,,,,,,
지금은,, 제 앞에 있는 리포터를 보면,, 절반 이상이 재발 방지 대책입니다
그것도 설계 강건,,,,,,,,,,
제 생각 인데요 내년에는 평가 부분을 가장 길게 쓸거 같네요
평가 : 설계 강건과 단가의 차에 대한 경우의 수를 푼다는것은 아주 어려운 상대물이다
그러나 반드시 인계점은 존재 하며, 이 인계점을 푸는 것이야 말로 품질 관리자가
맡게 될 21세기 과제물이다
첫댓글 고충 이해가 갑니다
근데, 8D 리포트가 뭔가요... 샘플 있으면 올려주시면 감사~~
8D REPORT 문서 올려드리지요 참고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