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성 |
용접부 |
열분배 |
특징 |
직류정극성 (DCSP) |
봉 : - 30%
모재: + 70% |
•모재의 용입이 깊음 •봉이 늦게 녹음 •비드 폭이 좁음 •일반적 사용 | |
직류역극성 (DCRP) |
봉 : + 70%
모재: - 30% |
•모재의 용입이 얕음 •봉이 늦게 빠름 •비드 폭이 넓음 •박판, 주강, 고탄소강, 합금강, 비철금속 등에 사용 |
2━14 교류용접의 극성
⁃ 교류 용접
• 1초간에 상용 주파수의 2배수의 아크 전압이 0이므로, 1초(60헬쓰(Hz)에는 120번 아크 전압이 0 임
• 비피복봉 사용 : 아크 불안정으로 용접 어려움
• 피복봉 사용 : 피복제의 이온발생이 쉬워 안정된 아크를 얻음
2━15 용접입열 및 용융속도
⁃ 용접 입열 : 용접부에 외부에서 주어지는 열량.
• 아크가 용접단위 길이 1㎝당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 H는?
H= 60EI/V [Joule/㎝]
E(V):아크전압, I(A):아크전류, V(㎝/min) : 용접속도
• 모재에 흡속된 열량 : 입열의 75~85%
⁃ 용접봉의 용융속도
•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길이 또는 무게
• 용융속도 = 아크전류 × 용접봉 쪽 전압강하
• 용융속도는 전류만 비례하고, 아크전압과 용접봉 지름과는 무관
2━16 용접이행
⁃ 단락형 (short circuit type)
용적이 용융지에 단락되면서 표면장력 작용으로 모재에 이행
⁃ 글로뷸러형 (globuler trannsfer)
흡인력 작용으로 용접봉이 오무러 들어 용융 금속이 작게 이행
⁃ 스프레이형 (spray transfer)
피복제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폭발하여 미세한 용적이행
2━17 수동피복금속 아크용접기의 종류
⁃ 직류아크 용접기
- 발전기형 : 전동발전식, 엔진구동식
- 정지기형 : 정류기형, 축전지형
⁃ 교류아크용접기
- 가동철심형, 가동코일형, 탭전환형, 가포화리액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