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차명령(Operation sequency order)과 Auto Script 작성요령!!
첫 번째, 작동순차명령이라 함은 영상을 만들다 보면 이미지를 여러 장 효과를 주어
개별적으로 Movie clip으로 묶어 놓은 것이 Outline에 나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영상이 작동 될 때 어느 것을 먼저 작동시키고 다음 것은 ....이렇게 순번을
정하여 작동하라고 스위시 프로그램과 약속을 정하는 절차입니다. 이러한 절차를
명령으로 넣어주지 않으면 10장이면 10장이 모두 한꺼번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순번을 정해주는 것입니다.
두 번째, Auto Script 명령입니다. Auto script는 위에서 순번이 정해졌으면
하나의 Movie clip이 몇 프레임만큼 작동해야 하는 가를 프로그램이 알아야 합니다.
이 프레임 수를 영상 프로그램에 입력(명령)을 부여해 주는 절차입니다.
그러면 이 프레임 수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정되는 가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이미지 또는 마스크에 효과를 줍니다. 이 효과의 총 길이가 Auto script의
on Frame 수가 되는 것입니다. 예로서 Move 효과를 100프레임을 주고
250프레임에 Place를 줬다면 전체 on Frame 수는 250이 되는 것입니다.
(작성 방법은)
첫 번째: 자동-작동순차명령
① Outline에서 이미지 Movie clip이 5개면 5개를 모두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하여 Grouping
→Group as Movie clip을 선택하여 묶어주고 Properties 창에서 이름을 간단히 “a” 수정해 줍니다.
그러면 Outline에 ‘a’라는 Movie clip이 만들어졌을 것입니다.
이 a를 마우스로 클릭 하면 a가 전개되면서 밑으로 5개의 movie clip이 나타날 것입니다.
편의상 밑에서부터 m01, m02, m03, m04, m05, 그리고 aa가 나열 되어 있습니다.
② 이때 Timeline을 보면 a를 포함한 5개의 Movie clip이 순차적으로 나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작동순차명령을 아래와 같이 부여하겠습니다.
ⓐ Timeline 맨 밑의 첫 번째(편의상 m01)의 1프레임에 마우스 우-클릭하여 Place를 선택하여 효과를 주고,
2프레임에 다시 마우스 우-클릭하여 Remove효과를 줍니다.
ⓑ m01의 두 효과를 모두선택(모두 선택 방법은 알고 계시겠지만, 혹시 몰라 자판의 [Ctrl]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두 개를 차례로 선택하면 됨)하고, 마우스 우-클릭 하고 하위 메뉴에서 Copy Effect을
선택하여 복사 명령을 준 다음,
ⓒ m02의 2프레임(m01의 Remove 효과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 하위 메뉴에서 맨 위 Paste Effect
(붙여넣기)를 선택해 준다. 또는 2프레임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자판 키 보드에서 [Ctrl]을 누루고,
알파벳 [V]를 누르면 붙여넣기가 됨.
ⓓ 위와 같이 m03는 3번 프레임에, m04는 4번 프레임에 붙여넣기를 하고, m05는 5 번 프레임에서는
마우스 우-클릭하여 Place 효과(거의 항상)만 넣어줍니다.
ⓔ 다음은 Timeline의 Movie clip 맨 위에 있는 a의 1번 프레임에서 마우스 우-클릭 한 상태로
frame no.5까지 드래그하면(1~5의 번호가 나타남) 모두 선택되고 하위 메뉴에서 Movie control을
선택 다시 Stop을 선택하면 1번 프레임에 적색으로 Stop효과 5개가 모 두 주어집니다.
즉, 5번 프레임까지 Stop 효과가 부여된 것입니다..
이제까지 작동 순차명령을 다 주어 졌습니다. 그러면 Auto Script 부여를 해 보겠습니다.
두 번째: Auto Script
① Outline에서 a 앞에 있는 “+”을 선택하여 a를 전개하고, 스위시 창 맨 위의 주 메뉴 바(Main Menu Bar)
에서 네 번째 있는 Insert를 클릭하고 하위 메뉴에서 세 번째 있 는 Movie Clip을 선택 해주면 Outline의
a 안쪽 movie Clip의 맨 위에 Movie clip 하나가 들어오게 됩니다. 이것을 선 택하고 Properties 창
에서 이름을 “auto”로 수정해 줍니다. 그리고 이‘auto’를 끌어 a 안의 Movie clip들 맨 밑으로
내려 줍니다.
② Outline에서 ‘auto’가 선택된 상태에서 Movie 창(작업 공간)위에 있는 Script를 선택 하면 Script창이
열립니다. 여기서 좌측 맨 끝에 있는 “Add Script▼”를 선택하면 나타나는 하위 메 뉴에서 Event를
선택 다시 우측에 차례로 나타나는 메뉴의 Frame→onFrame을 선택합니다. 그 러면 이제야
on Frame창이 나타나며, 여기서 On Frame: [1]의 1을 주어진 on Frame 수(예, 250)를 입력해주고
키보드로 Enter 를 해줍니다.
③ 위에서와 같이 on Frame이 주어졌으면, 다시 좌측 맨 끝에 있는 “Add Script▼”를 선택하면 나타나는
하위 메뉴에서 Movie control→Play()를 선택해 주면 Plays the timeline 창이 나타나면서
Target:[ (공백) ▼]이 보입니다. 여기서 맨 끝에 있는 역 삼각형(▼)을 클릭하면 하위 창이 나타나면서
여러 가지 형태의 글이 순차적으로 보 일 것입니다. 그중에서 맨 위에 있는 _parent를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Script 창에 onFrame(250) {
_parent play();
}
위와같이 보일 것입니다.
이것으로 작동 순차명령과 Auto script가 다 주어진 것입니다.
여기서 Movie 창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그래야 작업한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며, 테스트가 가능 하 니까요
그러기 위해서는 작업창 맨 위에 있는 (Script메뉴 왼쪽) Layout: Scene_1 을 클릭해주면
Movie 창으로 돌아갑니다.
이것으로 순차명령과 Auto Script가 다 주어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