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침 사혈요법의 종류

1. 정혈 따주기 : 손끝(십선 십단) 사혈법, 경맥분포 3줄기를 고려한 사혈점이론,
5-thumb 4-thumb이론 참조(참고『손의 웰빙』189쪽 이하,『피를 빼야 기가 돈다』149쪽 이하).
2. 제2의 합혈(合穴)사혈법 : 손발의 오리발(?) 부위인 팔사 팔풍을 상하를 맞잡고 지압해 보라! 겨드랑이와 서혜부 위쪽으로 찌릿한 자극이 방산되고, 장기가 꿈틀거린다. 왜 그런가? 합혈은 광 족반사 이론에서 신경구역, 광명수지침 이론에서 사지와 목이 연결된 연결구역, 광명수지침 오수혈론에서 제2의 합혈(만성병을 치료하는 요혈) 이다.
3. 관절부위 측면사혈법 : 손가락의 수지골이나 팔목과 무릎 등 접번관절은 관절이 작동되는 측면에 자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로서 무릎관절치료시 내슬안 외슬안이 사용된다. 같은 방법으로 수지골에서도 중절골과 말절골 측면에 자침하면 관절부위를 지나는 전신 말단의 기혈이 잘 소통되게 한다.
적용 방법 - 만성병 치료시 정혈따주기, 제2합혈 사혈법과 병행하여 사용.
4. 어혈 방혈법 : 기혈이 저류하여 생긴 어혈은 정체되고 냉하여 하강하고, 속으로 숨어드는 특성이 있다. 여기에 온구나 지압 후 사혈은 어혈을 정화시키는데 도움된다.
그런데 사혈요법에서 어혈이 있는 부위를 단순히 사혈하여 그대로 두는 방혈법이다. 자침시 침을 꾹 눌러대지 않고, 편한 그 상태로 자상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스런 방혈이 나타나고, 추가자침으로 자연방혈을 도우면 된다. 즉 인위적 개입을 피하고 나올 만큼 나오라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사혈법은 무리가 가장 적은 사혈법으로 대부분의 사혈법은 이 방법을 사용하나, 위급시 행하는 정혈사혈법이나 부항사혈은 강제로 피를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5. 머리부위 호박침주기 사혈법과 수박줄무늬긋기 사혈법 :
만성두통 갱년기장애 정신과질환 기억증예방 등 고질병에는 머리에 직접 사혈한다.
특히 두정부 사혈이나 자침은 상시상정맥동을 자극하여 두개골 내측에 고인 뇌 정맥의 재순환을 촉진한다. 이 밖에도 측면의 청각구 지각구 언어구, 전면의 통합구, 후면의 시각구 운동구 균형구 등에 대한 치료는 호박침주기식 사혈이 효과적이다.
뇌 신경학의 발달은 대뇌 좌우반구 어느 부위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즉 시각에 관계된 ‘시각구’는 눈이 있는 반대쪽 즉 두개골의 뒷쪽 후두융기가 있는 좌우측에 나타나며, 청각에 관련된 ‘청각구’는 시각구의 아래 외측에 있다.
언어 장애에 대해서는 대뇌 중심회의 전후에 나타난 운동영역과 감각영역에 따라 ‘명명성 언어장애구’와 ‘감각성 언어장애구’로 구분하여 관련되는 부위 1점을 먼저 사혈한뒤 드로부터 동서남북 4점과 그 사이사이를 자침한 후 다시 그 사이 여백에 50여 회 자침한다.
한편, 머리와 뇌의 중요성을 감안해 뇌 전체를 수박에 난 줄무늬처럼 사혈하는 침법이 있다. 이때는 백회를 수박꼭지로 간주하고,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자침하되 머리털이 난 곳으로부터 수박꼭지를 향해 자침해 가며, 주요혈(*시발점)을 중심잡아 피가 잘나오는 곳이나 머리털이 다른 곳에 비해 탈모된 곳은 강조하여 사혈한 뒤 백회를 향한다. *시발점은~ ①풍부 아문부, ②머리 측면 담경상의 계맥 노식 부위, 각손과 솔곡 부위, 곡빈 현로 부위, ③정수리 전면 신정 상성 부위와 곡차 승광 통천 등에서 시작한다.



6. 자율신경 사혈법 외~ :
아문-천주-풍지부, 요유-미골단부, 이첨부, 액문-중저와 규음-협계는 대표적인 부교감신경을 일깨울 수 있는 사혈부위이다.
이 부위를 사혈하여 면역력을 증대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인체의 신경학적 균형이나 산-알칼리 균형 등은 정중선에 입각한 치료점들과 좌우 균형점을 활용한다.
①정중선 사혈점- 백회 인당 단중(전중) 중완 단전 회음, 그리고 아문 대추 척중 상선
②좌우 균형 사혈점 - 견정 천종 풍시(또는 양구) 위중 족삼리(또는 양릉천) 양보(또는 광명) 액와점 용천 등에 국소 사혈법(다침한다)
7. 사혈시술에 따른 시술자의 신기(腎氣) 허손과 예방 대책
사혈요법을 행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보완적 방편들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사혈요법은 생명현상을 지속시키는 혈액을 배제하는 방법이므로 피에 얽힌 정신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혈액의 방출이 사기(邪氣) 방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정혈도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가나 피시술자 모두 섭생에 있어서의 청결한 음식물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정식해야 하며, 사혈에 의한 신체적 충격에 대한 보완을 제중구나 단전 뜸법 등으로 기혈을 보충해주면 좋겠다.
쑥뜸은 사특한 영기를 몰아내는 특성이 있고, 인체에 적용되면 올바른 세포와 병든 세포를 식별하여 병든 세포를 공략하는 식별 능력이 있는 것으로 체험하고 있다.
사혈요법을 행하는 동안에는 다소 휴식을 여유롭게 취하도록 하여 심신을 동시에 재정립하는 것이 좋겠다.
동시에 사혈에 의한 원기부족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신기보전법(腎氣保全法)을 병행한다.
첫댓글 광명침사혈기 기능이 업그래이드 되었다♡소음 방지턱 신설하였음♡
ㅡ 저소음 /톤의 높이도 낮아짐
ㅡ강한 탄발력 보강/ 충분한 강도로 사혈됨
ㅡ내구성이 길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