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대 그리스 철학 및 플라톤 연구 연표
1??? {테세우스 [Thesee, Θησεύς Theseu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테네의 영웅}
12?? {아가멤논(Agamemnon, Ἀγαμέμνων)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
- 메넬라오스(Menelas Μενέλαος / Menelaos (≪ qui soutient le peuple ≫) 트로이 전쟁의 영웅, 스파르타의 왕, 아가멤논의 동생, 헬렌의 남편.
1144년 문왕은 은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에게 포로로 잡혀 감옥에 갇혔다.
1111-04(재위) 무왕: BC 12세기 주(周:BC 1111-255)의 제1대 황제(BC 1111-1104 재위).
아스클레피오스(Asclepios Ἀσκληπιός / Asklepios, en lat. Aesculapius) 호머시대 테사리아 영웅, 고전시대에 의사, 아폴론의 아들. 죽은 자를 소생시켰다고 제우스의 벼락을 맞아 죽었다. 나중에 별자리가 되었다.
8??경 호메로스(Homere, Ὅμηρος /Homeros, ≪otage≫ ou ≪celui qui est oblige de suivre≫, av. J.-C. 9세기) 그 시인(le Poete, ὁ Ποιητής/ho Poietếs)이라 불린다. 이오니아인으로 추정하며 맹인일 것이다.『일리아드(Iliade Ἰλιάς/Ilias,)』와 『오딧세이(Odyssee Ὀδύσσεια/Odusseia)』
700 헤시오도스(Hesiode. gr. Ἠσίοδος / Hēsiodos, lat. Hesiodus, VIIIe siecle av. J.-C., environ vers -700). 고대 그리스의 시인으로 '이오니아파'의 호메로스와 대조적으로 종교적, 교훈적, 실용적인 특징의 '보이오티아파' 서사시를 대표한다. 농경기술과 노동의 신성함을 서술한 노동과 나날 Erga kai Hēmerai은 설화성(說話性)과 목가적 서술이 뛰어나다. 신통기(神統記 Theogoniā)도 있다.
712 아르킬로코스(Archiloque, Ἀρχίλοχος, Arkhilokhos, Paros 712이후-648): 그리스 이오니아 지방의 대표적 서정 시인
7?? 헤시오도스(Hesiode Ἡσίοδος/Hesiodos, en lat. Hesiodus, 기원전 8세기) 그리스 시인. La Theogonie (Θεογονία / Theogonia) Les Travaux et les Jours (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 / Erga kai Hemerai) ??
6?? 헤시오도스(Hesiode Ἡσίοδος/Hesiodos, en lat. Hesiodus, 기원전 7세기) 그리스 시인. 신통기(La Theogonie, Θεογονία/Theogonia) 노동과 나날(Les Travaux et les Jours, 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 / Erga kai Hemerai)
6?? 테르판드로스(Terpandre, Τέρπανδρος, Terpandros, 7세기경) : 그리스 스파르타 시인이자 음악가. 7현 리라를 발명하고 음악을 혁신하였다.
6?? 사포 (Sappho, ou Sapho, Σαπφώ, ou Psappha, 7세기-6세기) 여류시인이며, 소아시아 레스보스섬(Lesbos, 레스보스 사람(lesbien(ne) 즉 여성동성애자라는 명사는 여기서 나왔다)의 한 도시 미틸렌(Mytilene) 출신이다. 오비디우스(Ovide, Publlus Ovidius Naso, 43-17), 카툴루스(Catulle, Caius Valerius Catullus, 87-54), 호라시우스(Horace) 등도 그녀를 찬양하고 모방하였다.
650 피타코스(Pittacos, Πιττακός/Pittakos, 650년경-570년경), 미틸렌(Mytilene)에서 태어나 레스보스(Lesbos)섬에서 죽었다.. 신중함(la prudence, 용의주도)의 전형. 7현인
640 솔론(Solon, Σόλων, 전640년경-558) 아테네 입법가. 7현인
630 클레오불로스(Cleobule, Κλεόβουλος/Kleoboulos, 630년경-560년경) 정치가, 신화적인물. 7현인.
624-548 탈레스(Thales, Θαλῆς ὁ Μιλήσιος/Thalễs ho Milếsios 기원전 640-548)(fr.Wiki vers-625-vers-547 )): 원질(arche)을 물(l'eau). 7현인.
610-546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e, Ἀναξίμανδρος/Anaximandros 기원전 610-546): 무규정자(l'indetermine, apeiron)
585-524 아낙시메네스(Anaximene Ἀναξιμένης/Anaximếnes, 기원전 59?/585-524/525) : 공기(l'air) vers 585 av. J.-C., mort vers 525 av. J.-C.
5?? 미종(Myson de Chenee, Μuσων, 6세기경) 군주의 아들인데 농부로 97살을 살았다. 7현인. 플라톤이 페리앙드르(Periandre, 코린트 참주 7세기경, 627년 왕위오름) 대신에 7현인에 넣은 것은 아나카르시스(Anacharsis)에게 조언했기 때문이다.
??? 스파르타의 실론(Chilon de Sparte, Χίλων 또는 Χείλων, 년대 미상) 델피 신전의 일주문에 “너 자신을 알라”를 새긴 것이 그에 기인한다고 한다. 7현인.
5?? 오노마크리토스(Onomacrite Ὀνομάκριτος,/Onomacritos, 전 6세기경)는 그리스 고문헌학자(chresmologue?) 신탁 수집가(un compilateur d'oracles, 표절자)
5?? 이솝, 아이소포스(Esope, Αἴσωπος/Aisōpos, prov. av VIe s.) 그리스 우화작가로서 프리지(Phrygie, 에페소스보다 동쪽으로 (현재 터키의) 내륙지방) 출신이거나 트라키아(Thrace, 마케도니아 북동쪽 지방으로 현재 이스탄불 중심의 지방) 출신일 것으로 여긴다.
??? 에피메니데스(Epimenide, Ἐπιμενίδης/Epimenides) 크노소스 출신(556년경활동) 크레타인의 거짓말쟁이 역설.
585-500 피타고라스(Pythagore, Πυθαγόρας/Pythagoras 기원전 580-497) 사모스 출생 83살. 수(le nombre) / (580-485년경) 그는 종교개혁자이며 수학자. [퓌타고라스 죽고 난 30년이 지나야 소크라테스가 출생한다. 퓌타고라스 3세대 후에 티마이오스가 나올 수 있다]
580 크세노파네스(Xenophane, Ξενοφάνης 기원전 580경-485) 신=존재(l'Etre) 콜로폰(Colophon) 출신
570 비아스(Bias, Βίας ὁ Πριηνεύς, 570년경-) 프리엔(Priene)태생, 철학자 정치가. 7현인
556 시모니데스(Simonide de Ceos, Σιμωνίδης / Simonides, 556 -av. J.-C 467) 플라톤에 인용되는 목가적 그리스 시인
546 이오니아 지방이 페르샤인들에 의해 정복되다.
550 헤카타이오스(Hecatee de Milet, Ἑκαταῖος / Hekataios, 550경-480년경) 산문으로 쓴 그리스 역사 지리 작가.
544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e, Ἠράκλειτος, 기원전 544-480) 이오니아 에페소스 출신, 불(le feu), 투쟁의 변증법.
540-450 파르메니데스(Parmenide, Παρμενίδης/ Parmenides, 기원전 540-450) 존재가 있다(L'Etre est) / fr.Wiki 520/510 - vers 450-448[2].
525 아이스퀼로스(Eschyle, Αἰσχύλος / Aiskhulos, Sicile 525-Eleusis 456) 비극 시인이다.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Promethee enchaine)』/ 아이스퀼로스. 고대 아테네의 3대 비극 작가 가운데 최초의 인물. 철학자 도덕론자로서 그는 복수의 욕망에 과한 권리의 우월, 법에 관한 정의의 우월, 힘에 관한 정신의 우월을 표현했다.
518 핀다로스(Pindare, Πίνδαρος / Pindaros 518-438) 그리스 목가적 시인, 그리스 중부 보이오티아(Beotie) 키노스케팔라이(Cynoscephales~BC 446 이후(BC 438경?)
???(500)-??? 류키포스(Leucippe, Λεύκιππος/Leukippos v. 460 ? 370 av. J.-C.), 원자론 창시자(?)
500-428 아낙사고라스(Anaxagore, Ἀναξαγόρας, 전500-428) 이오니아 클라조메네(Clazomenes en Ionie), 전체(Tout)밖에 정신(Nous)있다. 태양을 불타는 돌이다.
??? 디오게네스(Diogene d'Apollonie, Διογένης, fils d'Apollothemis) 밀레토스의 아폴로니에서 태어나다 아낙시메네스 제자, 아낙사고라스와 동시대.
4?? 크라튈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 / Kratylos 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v. 576-480)의 제자
499-477 메디아 전쟁(Guerres mediques); Marathon, Salamine, Platee 전투. 페르샤에 대한 그리스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한 아테네. 그리스 동맹의 주도권.
496 소포클레스(Sophocle, Σοφοκλῆς / Sophoklễs, 496 ou 495 av. J.-C. - 406 ou 405 av. J.-C.) 그리스 3대 비극 시인의 한사람. Eschyle (526-456) et Euripide (480-406).
495 페리클레스(Pericles, Περικλῆς, signifiant litteralement ≪ entoure de gloire ≫, 전495년경- 429), 아테네 전략가. 연설가, 국가적 인물.
494년 밀레토스의 모든 도시들은 폐허가 되다. (에페소스를 제외하고)
490 엠페도클레스(Empedocle, Ἐμπεδοκλῆς, 490-435) 시실리 아크라가스(Ακράγας, 아그리장뜨Agrigente)출신, 4원소(물, 공기, 흙, 불) 사랑과 증오 (소크라테스보다 20여년쯤 선배)
490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Πρωταγόρας 기원전-490경-420경) 트라키아지방 아브데라 출신,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 그의 아버지는 메안드리오스(Meandre ou Meandrios)이다. 그는 여러 번 아테네에 거주하기도 했는데, 페리클레스(Pericles)와 가깝게 지냈다. / 485-411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d'Abdere, Πρωταγόρας, 기원전 485-411) 압데라 출신, 인간 만물척도(L'homme est la mesure de toutes choses)
490 페이디아스(Phidias, Φειδίας / Pheidias, v. 490-430) 아테네의 조각가, 고전예술에서 가장 유명한 대표자이다.
487-380?? 고르기아스(Gorgias, Γοργίας 487-380??) 시실리 레온티노이(Leontinoi en Sicile)출신, 못말리는 자(Enfant terrible), 때 맞는 시간(Kairos, καιρός) 개념 창안. / 460? 고르기아스(Gorgias en gr. Γοργιας/Gorgias) 경활동 (fr 위키) 시실리 출신, 엠페도클레스의 제자, 108세까지 살았다.
484 헤로도토스(Herodotos, Ἡρόδοτος / Herodotos 484?-430,420?) 그리스의 역사가. 고대에 창작된 최초의 위대한 이야기체 역사인 그리스와 페르시아 전쟁의 역사(Histoires, Ἱστορία/Historia Historiae(〈페르시아 전쟁사〉라고도 함)(서설+9권)를 썼다
480-??? 제논(Zenon Ζήνων /Zếnon,기원전 480[490]-420경) 변증법(상대부정을 통한 자기긍정)의 발명자 [소크라테스보다 10살[20살]많다. 소씨가 한 수 배웠을 확률이 있다]
480? 헬라니코스(Hellanicos, Ἑλλανικός/Hellanikos, 기원전 5세기경 불확실하지만 480경에서 395경에 죽었다) 그리스 산문가(un logographe grec). 그의 저술은 주로 신화서술(la mythographie)과 인종서술(l’ethnographie)에 있다. 투키디데스가 비판함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역사서술( l’historiographie grecque)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신화, 인종에 관한 많은 작품을 쓰고 아테네 역사도 서술했다. 투키디데스가 비판하지만 그도 그를 이용하고 있다. .
480-406 유리피데스(Euripide, Εὐριπίδης / Euripides, Salamine 480 -Macedoine 406) 소크라테스(Socrate, 470-399)의 친구였다. / 그리스 3대 비극 작가(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470 멜리소스(Melissos de Samos, Μέλισσος ὁ Σάμιος/Melissos o Samios) 그리스철학자. 정치가, 이오니아 제독. 엘레아 학파 최후의 인물 444년경에 활동
469-39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 아리스토파네스(Ἀριστοφάνης, 450-386)가 소씨를 아테네의 “등에”라고 불렀다.
466 의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466-377) 탄생 ??
460 역사가, 투키디데스(Thucydides,Θουκυδίδης, 전 460-400) 펠로포네소스전쟁(Histoire de la guerre du Peloponnese)(Θουκυδίδης Ἀθηναῖος ξυνέγραφε τὸν πόλεμον τῶν Πελοποννησίων καὶ Ἀθηναίων. ≪ Thucydide l’Athenien a raconte la guerre des Peloponnesiens et des Atheniens. ≫)
460? 프로디코스(Prodicos de Ceos, Πρόδικος / Prodikos, 470 et 460 -mort apres 399) 프레소크라틱 철학자. 언어와 문법 연구자.
?-? 크라튈로스(Cratyle, Κρατύλος/Kratylos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제자. 플라톤은 그에 대해 작품을 썼다.
460? 류키포스(Leucippe, Λεύκιππος / Leukippos 480년경 v. 460 ?- 370 av. J.-C.), 원자론 창시자(?) 440년 주로 활동, 데모크리토스는 430년경에 주로 활동. 스승겸 친구로 지낸 것이 아닐까?
460 히포크라테스(Hippocrate, Ἱπποκράτης / Hippokratēs, v. 460-v. 377) 그리스 의사이다. 그는 데모크리토스(Democrite, gr. Demokritos, v. 460-v. 370)와 고르기아스(Gorgias)와 더불어 공부했다.
460 데모크리토스(Democrite, Δημόκριτος/Demo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A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정도 많다.]
450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Ἀριστοφάνης/Aristophanes, 450-386)는 그리스 아테네 희극작가이다.
449-422 아테네 전성기: 페리클레스(Pericles)의 시대
444 안티스테네스(Antisthene, Ἀντισθένης / Antisthenes, 기원전 444-365)(79살)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 제자(25살 어렸다, 플라톤보다 17살 많다), 키니코스 학파 창설자. (스토아의 제논보다 109년 즉 한 세기 앞섰다.)
443 히피아스(Hippias d'Elis, Ἱππίας 443-396/390) 소피스트, 엘레아 귀족 출신이다. 살아있는 백과사전이라 불렸다고 한다.
440 시실리아에서 피타고라스학파의 학살이 있었다. 여기서 살아남은 타렌테 출신 뤼시스는 테베에 가서, 에파미노다스(Epaminondas)의 아버지인 폴륌니스(Polymnis)의 보호를 받았다
440? 크세노폰(Xenophon, Ξενοφῶν / Xenophōn, 전440경-전355경) 그리스 철학자. 장군 소크라테스 제자. / 430 크세노폰 (Xenophon, Ξενοφῶν / Xenophōn, v. 430- v.355) 그리스 역사가.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436 이소크라테스(Isocrate, Ἰσοκράτης / Isokrates, 전436–338) 아테네 10연설가 중의 한사람 수사학파 창시자. Nicocles(roi de Chypre et fils d'Evagoras) 8살 나이 많은 그를 플라톤이 경쟁자로 생각해서 아카데미아를 세웠다고 한다.
435 퀴레네 학파의 아리스티포스(Aristippe de Cyrene, Ἀρίστιππος, 435-356)
431 펠로포네소스 전쟁(la guerre du Peloponnese, 기원전 431-404) 시작
429 페리클레스(Pericles, Περικλῆς, v. 495-429) 사망(66살). 아테네 민주정시대의 정치가. 그는 아낙사고라스와 엘레아 학파의 제논을 스승으로 삼았다. <페리클레스 시대>라는 명칭은, 그리스 문명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를 지칭한다.
트라쉬마코스: 플라톤의 국가편 등장 그는 비튀니아 지방의 칼케돈 출신 소피스트다.
칼리클레스(Kallikles) -강자가 항상 약자보다 많이 가짐은 자연의 이치이다
427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본명 아리스토클레스 Aristocles 427-347; 80살) 플라톤이란 ‘어깨가 넓음’을 의미한다. 이데아의 철학자. (소크라테스 나이 42살이었고) [그리고 18년 후에 배울 수 있을 있었다면, 소크라테스 나이 60살이었으며 10여년을 따라다니며 배울 수 있었을 것이다.]
413-404 펠로포네소스 전쟁(Guerre du Peloponese)
413 디오게네스(Diogene le cynique, Διογένης / Diogenes, 413-327; 87살) 시노페(Sinope)출신 탄생 (소크라테스 사망시 14살) 고대철학자, 키니코스학파의 대표철학자.
407 스페우시포스(Speusippe Σπεύσιππος, 전407-전339) 플라톤의 조카. 정통 플라톤주의자. 플라톤 사후 아카데미아 초대 학장.
404 30인참주(三十人僭主, Thirty Tyrants 404-403) 고대 그리스 과두정치(寡頭政治)를 이끈 30명의 세력자. 그리스에서 BC 404~BC 403년 펠로폰네소스전쟁에 패한 아테네는 스파르타의 장군 리산드로스의 후견(後見)하에 민주정치가 폐지되고, 크리티아스(Critias), 테라메네스 등을 대표로 한 30명의 과두정치 체제가 수립되었다. 이들은 민주파 시민 1,500여 명이 살해되고 다수가 추방되어 재산이 몰수되는 등 공포정치가 시행되었다. .. 민주파의 트라시불로스가 그의 추총자들을 이끌고, BC 403년 1월 페레우스에서 크리티아스군과 싸워 승리를 거두고, BC 403년 6월 아테네의 민주정치가 부활되었다.
40? 에우독스(Eudoxe de Cnide, Εὔδοξος ὁ Κνίδιος/ Eudoxos ho Knidios -408 ? -355 ou -395 ? -342) 그리스 천문학자가 기하학자 의사 철학자.
40? 히케타스(Hicetas, Ἱκέτας or Ἱκέτης; ca. 400 – 335전) 전4세기경 그리스 천문학자, 철학자. 시라쿠스 태생으로 360년경에 활동하였다. 천문학자 엨판토스(Ecphantos, Ἔκφαντος)는 그의 제자이다. 이 둘은 태양 중심으로 지구가돈다고 주장했다.
40? 폴뤼크라테스(Polycrate, Πολυκράτης) 그리스 수사학자 소피스트, 문법학자 조일로스(Zoile, Ζωΐλος, 전400경–320)의 스승, 393년경 Accusation de Socrate를 썼다.
39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469-399) 70살)사망 - (당시 플라톤 28살: 플라톤이 20세 때 소크라테스를 만났다면, 소씨는 62살로 활발한 사상을 가질 것이다. 플씨의 젊은 8년의 공부는 매우 중요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죽고 데모크리토스가 30여년을 더 산다. 그러면 플라톤이 데모크리토스를 잘 모른다는 것이 말이 안되네... 플라톤과 동시대를 30여년을 산 셈인데 말이야.... 아리스토텔레스는 데모크리토스를 잘 알았다고 하고... (45RMG))]
3?? 히파르코스(Hipparque le Pythagoricien, Ἵππαρχος, 기원전 4세기영) 그리스 철학자.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가 전함에 의하면 데모크리토스의 죽음(370년)에 참여했다고 함 109살을 살았다고..쾌락철학자라고 한다 / 두 사람(Clement d'Alexandrie et Jamblique)이 전하는 바 Lettre de Lysis a Hipparque에서 뤼시스는 히파르코스가 피타고라스 학파의 비밀을 배반했다고 비난했다. 히파는 추방당하고 죽음으로 간주하는 묘지를 세웠다고 한다. 그런데 편지는 의심스럽고, 또한 이파는 히파즈(Hippase de Metaponte)와 혼동될 수 있다.
397 투키디데스(Thucydide Θουκυδίδης / Thoukudides, 전460년경-397) 아테네 정치가 역사가, 아마도 암살당했다.『펠로포네소스 전쟁(histoire de la guerre du Peloponese)』
396 크세노크라트(Xenocrate de Chalcedoine, Ξενοκράτης, -396 -314)는 플라톤의 조카(스페우시포스, Speusippe Σπεύσιππος, 전407-전339)에 이어서 셋째 아카데미 학장이다.
390 아이스키테스(Eschine, Αἰσχίνης / Aiskhines, 390-322) 아테네 10인 연설가중의 한사람 정치가. Contre Timarque
387 아카데미아(L’Academie, Attic Greek: Ἀκαδήμεια; Koine Greek Ἀκαδημία) 플라톤이 아테네에 세운 철학학교. 기원전 387년경에서 기원전 86년까지 지속되었다.
38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Aristotelēs, 384-322: 62살) 스타지르(Stagire)에서 탄생. (플라톤 나이 3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의 나이 50살에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384 데모스테네스(Demosthene, Δημοσθένης. 기원전 384-322)가 태어나다..
372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e, Θεόφαστος/Theophrastos 기원전 372-287)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계승자 초대 리케이온 학장(322 a 288) 식물학자, 박물학자. 다방면의 작가, 연금술사.
3?? 디오클레스(Diocles Διοκλῆς, 전4세기경) 의사. 카리스테(Caryste en Eubee)출신, 아테네에서 활동, 새로운 히포크라테스라는 별명을 얻다.
367 시실리 시라쿠사에서 드니 2세가 드니 1세를 계승하다. [드니, 디오뉘시오스(Denys, Διονύσιος / Dionysios, 전431-전367) Denys l'Ancien 시라쿠사의 그리스 식민지 참주. / 드니 2세(Denys le Jeune, Dionysios II de Syracuse, 전397-전354) 그리스 식민지 참주. 367년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다. 전354년 암살 당했다. ]
365 회의학파의 피론(Pyrrhon, 기원전 365-275) (90살)가 태어나다.
361 필레몬 (Philemon, gr. Philemon, 361-262) 그리스 희극 시인, 메난드로스와 경쟁자이다. 그는 플라우투스(Plaute, Titus Maccius Plautus, 254-184, 라틴 희극 시인)에게 영향을 주었다.
35? 에우데모스(Eudeme de Rhodes, Εὒδημος, 전4세기경)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천문학에 관하여(Sur l’astronomie)에서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의 견해들 서술했다. 테오프라스토스 다음으로 리케이온 학장? / 파니아스(Phanias, Φανίας 전 4세기경) 소요학파 철학자. 식물학자. 레스보스 섬 에레즈( Erese sur l’ile de Lesbos)에서 태어났다.
30? 아리스톡세노스(Aristoxene de Tarente, Ἀριστόξενος ὀ Ταραντίνος, 전330년 주로 활동 (IVe siecle av. J.-C.) 그리스 소요학파 철학자 반플라톤주의자. 음악과 리듬 이론가.
356 퀴레네 학파의 아리스티포스(Aristippe, 435-356) 사망
356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더 대왕(Alexandre le Grand, Ἀλέξανδρος ὁ Μέγας, en. Alexander the Great, Alexander of Macedonia. 전356-전323)
351 데모스테네스(Demosthene, 384-322) 필립왕 공격(비난) 연설(『Philippique』)
347 플라톤 사망(Platon, 427-347) 향년 80세. (당시 아리스토텔레스 43살이었다, 그러니깐 26년을 플라톤과 사제지간 관계를 맺었다.)
342 메난드로스 (Menandre, Μένανδρος, 342-292) 아테네 희극 시인 탄생.
341 에피쿠로스(Epicure, Ἐπίκουρος, Epicuros. 전341-270; 71살) 탄생 플라톤이 죽은 후 6년이 지나 태어났다. 알렉산더가 죽을 때 18살이었다.
336 크라테스(Crates, Κράτης, Krates BC 336-BC 286?) [이 연도가 맞다면 크라테스는 디오게네스 사망시에 13살이었다. 어느 글에서 크라테스가 디오게네스 제자라는 것은 좀 이상하다.]
335 아리스토텔레스 리케이온(Lycee)를 세우다.
335 제논(Zenon, Ζήνων, 전335-264) 사이프러스 키티움 출신의 스토아 학파의 창시자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사망시 제논 12살이었다.)
331 알렉산드리아 도시 건설, 페르시아의 저항의 종말: 아르벨레스(Arbeles)전투
331 클레안테스(Cleanthe d'Assos, Κλεάνθης, 전331경-전232)고대 그리스의 스토아학파 철학자. 제논의 제자이다. 제논의 유업을 전승하였고,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제논의 뒤를 이은 스토아학파의 태두(泰斗)였다.
330 유클리드(Euclide, 330-270) 『기하학 원론(Elements de Geometrie)』
323 키니코스학파의 디오게네스(Diogene, Διογένης, 413-323) 사망
323 에피큐로스 18살 경에 플라톤주의자 팜필(Pamphile)에게 배움 - 알렉산더가 죽는 해 아테네의 반마케도니아 운동이 일어난다.
322 아리스토텔레스 사망.
321 에피큐로스, 사모스 섬으로 추방당했던 아버지와 콜로폰에서 만남
315 아르케실라오스(Arcesilas de Pitane, Arkesilaos 315-241) 신아카데미학파에 속하며, 아카데미의 제5대 학교장되었다.
312 스토아학파의 제논 아테네에 오다.
311 에피큐로스 30살, 레스보스의 미틸렌에서 가르침; 이곳에서 좋은 대접을 받지 못함
310 아리스타르코스(Aristarchos: Aristarque de Samos, Ἀρίσταρχος, v.310–230 av. J.-C.) 사모스 출신 그리스 천문학자 수학자. 지구가 태양주변을 돈다.
310 에피큐로스 람프사크(Lampsaque, 고대 리디Lydie 지역, 현재 터키)에서 학교를 개설하다.
306 에피큐로스(35살) 아테네에서 학교(Jardin, ecole a ciel ouvert)을 열다.
301 스토아학파 제논(34살), 회랑(Portique) 학교 세움
300경 알렉산드리아 유크리드(Euclide) 기하학 집성
300경 - 중국의 도가 철학자 장자(莊子, 370-300년경) 사망
300경 아르케스트라토스(Archestrate ou Archestratos) 시실리의 그리스 시인, 식도락가, 요리사...
289 - 중국 유학의 계승자 맹자(孟子, 372-289) 사망
287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기원전 287-212, 시실리섬의 과학자) 원리 발견 - 유레가(Eureka!, j'ai trouve!, 알았다! 찾았다!)
284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 Ἐρατοσθένης 기원전 284-기원전192)(92살)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그리스 수학자, 천문학자, 철학자이다. “베타”라 불렸다. 지구의 둘레를 재다.
281 크리시포스(Chrysippe, Χρύσιππος / Khrysippos, av. 281-205) 아테네에서 제논의 제자 클레안테스에게 배웠다. 스토아 학파 철학자.
264-261 로마와 카르타고 사이에 제 1차 포에니 전쟁
257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 de Byzance, Ἀριστοφάνης, 전257경–전180경), 그리스 문법학자 비평가. 처음에는 호메로스를 탐구했다. 전195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이었다.
221 - 중국의 통일 진시황(秦始皇, 즉위 246-210)
219 카르네아데스(Carneade Karneadēs, 219-128) 신플라톤주의에 속하며, 아카데미의 제10대 학교장이 되었다. <아래와 차이를 참조하라.> / 214 카르네아데스(Carneades av. 214?- 129?) 그리스의 회의학파(懷疑學派) 철학자. 스토아 철학을 연구, 그 철학을 논박하여 진위의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여하한 인식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BC 137년까지 제3 아카데미아 학장으로 있었다.
212 알렉산드리아 수학자 아르키메데스 사망(287-212)
202 - 한나라 유방(劉邦)이 초나라 항우(項羽)를 해하(垓下)에서 격파. 한(漢)나라 성립.
190 히파르코스(Hipparque, Ἵππαρχος 전v.190–전120) 그리스 천문학자 지리학자, 수학자.
180 파나이티오스(Panetius, gr. Panaitios 180-110 av. J.-C.) 중기 스토아 학파의 그리스 철학자이다.
186 로마의 원로원은 186년에 피타고라스 학파의 책들을 없애버렸으며, 그리고 나서 173년과 161년에는 에피큐로스 사상도 쾌락주의와 정치적 포기를 함축하고 있다는 이유로 금지하였다. 이후 스토아학파가 중심이 되다.
149-146 로마와 카르타고 사이 제3차 포에니 전쟁: 카르타고 멸망 주민을 노예로
150 안티파트로스(Antipatros ou Antipater de Tarse, 전150-129) 스토아 철학자. 창시자 제논의 사상을 잘 표현하고자 시도 한자. 디오게네스 드 바빌론(Diogene de Babylone)의 제자, 파네티오스(Panetios de Rhodes)의 스승, 카르네아드(un adversaire de Carneade)의 반대자. Sur le Monde (7 livres), Sur l'etre, De l'Ame
133-121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리키니우스 법 실시를 주장하다가 살해당함)
135 포세이도니오스(Posidonius d'Apamee, gr. Poseidonios, 135-51 av. J.-C.) 스토아학파의 그리스 철학자이다.
110 필로데모스(Philodeme de Gadara, Φιλόδημος ὁ Γαδαρεύς, Philodēmos, "love of the people" 전110경-전40경) 시리아의 가다라(Gadara, Coele-Syria)출신 에피쿠로스철학자.
106 키케로(Ciceron, Marcus Tullius Cicero, 전106-전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99 ?? 안드로니코스(Andronicos, Ἀνδρόνικος;) [60년경 활동] 뤼케이온 마지막 학장,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384-322)의 책 편집자. “메타피직(형이상학)”의 유래.
98 류크레티우스(Lucrece, Titus Lucretius Carus, 98-55기원전) 에피큐로스 학파 로마 시인 탄생 『사물의 본성(De rerum natura)』(De la nature des choses)
92 - 중국 사기와 열전을 쓴 사마천(司馬遷, 14(3)5-92(3)) 사망
89 율리우스법 (통령 케사르, 로마 시민권법)
[86 술라(Sylla ou Sulla, en lat. Lucius Cornelius Sulla, 전138-78) 로마 정치가, 어느 기록에는 술라가 아카테미아 문을 닫았다고 한다. - 로마 시대 아테네는 네오플라토니즘의 학교라 한다.]
80 엔네시데모스(Enesideme ou Ænesideme, gr. Ainesidemos, 전80년경-후130년 사이) 고대회의주의 학파. 피론주의 학파 창설자. Il vecut entre 80 av. J.-C. et 130 ap. J.-C.
75 파이드로스(Phedre, Φαίδρος, Phaidros ?-기원전70년경) 기원전 1세기경의 에피큐로스 학파의 철학자로서 기원전 75년경 아테네 에피큐로스 학파의 대표자였다.
70 베르길리우스(Virgile, Vergilius, 70-19.)시인탄생, 에피큐로스 학파의 영향을 받음
64 스트라본(Strabon, Στράϐων, 전64-후21/25 ≪qui louche≫ 사팔눈, en lat. Strabo), 그리스 지리학자. ne a Amasee dans le Pont (actuelle Amasya en Turquie).
60 제1차 삼두정치(폼페이우스, 케사르, 크라수스)
58-51 케사르 갈리아 정복 전쟁을 치르다.
57 * 박혁거세(朴赫居世, av 69 -ap 4)로부터 신라가 성립하다.
37 * 주몽(朱蒙, 東明王, av. 58-av 19)이 고구려를 세우다.
31? 트라쉴로스(Thrasylle de Mendes, Θράσυλλος Μενδήσιος, 로마이름 Tiberius Claudius Thrasyllus, Τιβέριος Κλαύδιος Θράσυλλος, ??-후36) 그리스 지식인, 천문학자. en.Wiki 이집트 그리스 문법학자. 문학비평가. 플라톤 작품 8종류의 4부작으로 편집
30 클레오파트라 7세 죽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멸망 - 로마 복속국가로
27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Augustus av.63-14, 재위 av.27-14) 등극
20 필론(Philon d’Alexandrie, Φίλων ὁ Ἀλεξανδρεύς/Philon o Alexandreus, hebreu: ידידיה הכהן Yedidia Hacohen 기원전20경–기원후 45) 그리스화 된 유대철학자.
19 라틴 시인 베르길리우스(Virgile, Vergilius, 71-19) 사망
18 * 온조가 백제를 세우다.
15 파이드로스(Phedre, lat. Caius Iulius Phaedrus, gr. Φαίδρος 기원전 15- 기원후 50) 우화작가 황제 아우구스투스로부터 해방된 노예.
4. 네로 황제의 스승이며 스토아 학자로서 자살한 세네카(Seneque, en lat. Lucius Annaeus Seneca 전 4- 후 65) 그는 극작가이며 정치가이다.
4 나자렛에서 예수(Jesus de Nazareth, av.04-29) 태어나다.
2 - 중국에 불교 전래.
O -
2 루키리우스(Lucilius le Jeune, 1세기경) 세네카보다 몇 살아래. 시실리 총독. 세네카와 편지교환, 저술 Aetna .
3 * 고구려(高句麗) 국내성(國內城)으로 천도
8 * 중국 왕망(王莽 재위 8-23) 전한(前漢)에서 신(新)으로 바꾸고 황제(皇帝)로 칭하다.
17 라틴 시인 오비디우스(Ovide, Ovidius, av. 43-ap. 17) 사망
25 * 유수(劉秀) 수도를 낙양으로 옮기고,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 25-57)
42 * 수로(首露)왕 가락국 건설. 아유타국(阿踰陀國) 공주 허황옥(許黃玉)을 비로 삼았다.
46 플루타르코스(Plutarque, Πλούταρχος/Ploutarkhos 46-125) 케로네(Cheronee en Beotie)태생, 그리스 출신 로마 역사가 사상가. 중기 플라톤주의 영향을 받았다. 위인 전기(Vies paralleles des hommes illustres, en grec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 Bioi Paralleloi),『도덕작품(Oeuvres morales)』이 있다.
50 노예출신 에픽테토스(Epictete, Ἐπίκτητος/Epiktetos, 50-125/30) Arrien, Les Entretiens (διατριϐαί [diatribai]) Arrien, Le Manuel d'Epictete (Ἐγχειρίδιον Επικτήτου [Enchiridion Epiktetou])
?? 에페소스의 루푸스(Rufus). 에페소스의 의사. 트라야누스(Trajan)황제 시대(재위 98-117)에 활동했다 .
51-57 바울 전도
65 * 신라(新羅)는 국호를 계림(鷄林)이라고 하다.
65 네로의 스승 세네카(Seneque, Lucius Annaeus Seneca, av. 4.-ap. 65)와 세네카의 조카 루칸(Lucain, 39-65) 처형
66 유태인 폭동(베스파시아누스 군대의 유대 (진압) 전쟁: -70)
68 네로(Lucius Domitius Claudius Nero, 37-68, 재위 54-68) 자살.
69 베스파시아누스(Titus Flavius Vespasianus 재위 69-79) 티투스에게 지휘권 이양
70 티투스(Titus Flavius Sabinus Vespasianus 40-81, 재위 79-81)의 로마군에게 예루살렘 파괴(제1, 제2 성전 파괴)
70? 테온(Theon de Smyrne 70-135년경) 하드리아누스(l’empereur Hadrien)황제 치하에 [네오] 플라톤 학파. 수성과 금성관찰.
77경 조로아스터교 경전 모음
79 베스비우스 화산 폭발: 폼페이헤르크라네움 시 매몰.
80 파보리누스(Favorinus ou Fanus, ne v. 80-90 a Arelate (Arles) – mort v. 150) 신아카데미학파의 속하는 회의주의 철학자. 에픽테투스에게 배웠으리라..
90 프톨레마이오스(Claude Ptolemee, Κλαύδιος Πτολεμαῖος/Claudios Ptolemaios, en latin Claudius Ptolemaeus, v.90-v.168) 그리스 천문학자 점성술사, 지리학자.
95 아리아노스(Arrien, Ἀρριανός / Arrhiannos, lat. Flavius Arrianus Xenophon, 95-175) 에픽테투스의 사상을 전파하다.
115 파우사니아스(Pausanias, Παυσανίας / Pausanias 115-180), dit le Periegete, 지리학자 여행가 추측상 마그네지(en Magnesie du Sipyle, Lydie)에서 태어났다.
120 루키아노스(Lucien de Samosate, en gr. Λουκιανός ὁ Σαμοσατεύς, 120경-180경) 그리스 수사학자 풍자가. Histoires vraies, Dialogue des morts, Le Songe, Timon ou le misanthrope, Menippe ou la necyomancie 작품은 대화, 편지형식으로, 종교·정치·철학과 사회의 우행(愚行)·결함 등을 풍자적으로 공격하였다
12? 아폴로도로스(Apollodore d'Athenes, Ἀπολλόδωρος / Apollodoros 2세기경 ) 그리스 문법학자. 알렉산드리아에서 아리스타르코스(Aristarque de Samothrace)의 제자.
123 아풀레이우스(Apulee, lat. Apuleius, ≪ Apulee de Madaure ≫, 123경-170) 작가 연설가, 중기 플라톤주의 철학자. ≪ Du dieu de Socrate ≫ (De deo Socratis)
125 막시무스(Maximus Tyrius, gr. Μάξιμος Τύριος, 125경-185경) 그리스 수사학자, 철학자.
1?? 아르테미도로스(Artemidore de Daldis, dit parfois Artemidore d'Ephese, 2세기경) 해몽전문가 Onirocriticon (Ỏνειροκριτικόν)(La Clef des songes, tr, Festugiere) 프로이트도 푸꼬도 주목한 작품
1?? 소라노스(Soranos ou Soranus) 2세기 초의 그리스 의사. 방법론학파 계보의 선두. Traite des maladies des femmes,
129 갈레노스(Claude Galien, Κλαύδιος Γαληνός / Klaudios Galīnos, en lat. Claudius Galenus, 129경-201) 고대 의사. 약학의 아버지. 중세 의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 아레타이오스(Aretee de Cappadoce, Ἀρεταῖος / Aretaĩos s.d.) 고대 의사, 갈레노스와 동시대일 것으로 추정한다.
1?? 아실 타티우스(Achille Tatius) 그리스 작가. 2세기경 알렉산드리아 태생. 소설 Leucippe et Clitophon,est
150 클레멘스(Clement d'Alexandrie, Alexandrinus Clemens, Titus Flavius Clemens, 150 ?-215 ?) 알렉산드리아파 그리스도교 신학자. 최초로 고대철학과 그리스도교를 종합적으로 전개한 신학자. 그 계보는 제자 오리게네스로부터 4세기의 그리스 교부 및 아우구스티누스에까지 이어진다. (150-220?)
150? 알렉산드로스(Alexandre d’Aphrodise ou d’Aphrodisias: Ἀλέξανδρος ὁ Ἀφροδισιεύς 150경-215), 카이로, 소요학파. 198년경에 아테네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가르치다. ≪ professeur ≫ (διδάσκαλος / didaskalos)
170? 필로스트라토스(Philostrate, Φιλόστρατος / Philostratos, en latin Lucius Flavius Philostratus v. 170-249) ≪ Philostrate d'Athenes ≫, 연설가, 그리스어로 쓴 전기작가. 소피스트들의 생애(Vies des sophistes)(두 권)
170? 아테나이오스(Athenee, Ἀθήναιος Nαυκρατίτης / Athếnaios, 170경-3세기경) 이집트의 나우크라티스(Ναύκρατις)출생. 박학다식자, 그리스 문법학자. 고대 작가의 일화와 인용들을 편집했다. Δειπνοσοφισταί / Deipnosophistai ≪ le banquet des sophistes ≫ ou encore ≪ le banquet des hommes sages ≫
175 암모니오스 사카스(Ammonios Sakkas, 175 ?~242)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신(新)플라톤주의를 제창한 플로티노스의 스승이다.
185 오리게네스(Origene, Ὠριγένης / Origenes 185경-253경) 초기 교부, 신학자. 알렉산드리아츨신 .
2?? 아에티우스(Aetius, Aetius le Doxographe, 후 1세기에서 2세기) 로마시대의 그리스 작가. Placita philosophorum(= Opinions des philosophes), in Hermann Diels, Doxographi Græci (Berlin, 1879, reed. 1965), p. 267-444 (en grec). Beaucoup de correspondances avec les Eclogae physicae de Jean Stobee. / 동명이인: 아에티누스(Aetius ou Aetius, Flavius Aetius, v.395-454),
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ene Lae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 Diogenes Laertios, Diogenes Laertius,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ene Laerce, vies et pense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e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e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204 플로티노스(Plotin, Πλωτῖνος; lat.. Plotinus 204-270)탄생. 이집트 리코폴리스에서 알렉산드리아 학파. 엔네아데스(Les Enneades). 그는 세계에 대한 이해로서 세 가지 기저(trois ≪ hypostases ≫)를 깨닫게 되었다. 일자(L'Un, ἐν), 지성(L'Intelligence, l'Intellect, νουϛ), 영혼 (L'Ame, ψυχη) [이말로 보면 중간에 점으로서 일자, 상층의 지성, 심층의 영혼이다. / 학설상 일자에서 누스로 그리고 영혼으로 연결되면 누스는 자연자체가 된다.]
2?? 섹스투스 엠피리쿠스(gr. gr. Sextos o Empeirikos, lat. Sextus Empiricus ?-?) 190년경 활동, 3세기 초 그리스의 철학자, 의사. 피론의 유파에 속하는 회의론자이다. 저서에 피론 사상 개설 Esquisses pyrrhoniennes (Πυῤῥώνειοι ὑποτύπωσεις ou Pyrrhōneioi hypotypōseis)(3 Livres)이 있다.
232 포르피리오스(Porphyre, Πορφύριος Porphyrios, 232?-305?)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역사가. 262년 로마에 가서 플로티누스에게 신플라톤파 철학을 배웠다.
242 쟝블리코스(Jamblique, Ἰάμβλιχος, Iamblicos, lat. Iamblichus 242년경-325)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피타고라스의 생애(Vie de Pythagore, βίος πυθαγορικός)(en trad. latine: De vita Pythagorica)
277 마니교 창시자 마니(Mani, gr. Manes, la. Manicaeus, 216-277) 순교.
3?? 덱시포스(Dexippus, Δέξιππος; 활동 350경) 쟝블리코스의 제자. 신플라톤주의자.
3?? 헬리오도로스(Heliodore d'Emese 3세기 또는 4세기경) 그리스어를 쓴 시리아 작가. 또는 페니키아인 Ethiopiques ou les Amours de Theagene et Chariclee .
314 리바니오스(Libanios, Λιϐάνιος / Libanios, lat. Libanius, 314-393) 그리스 수사학자. 소피스트. 342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명성을 얻었으나 모함를 받고 추방되었다.
317 테미스티오스(Themistios, Θεμίστιος, en lat. Themistius, 317-388), 수사학자 철학자. 이교도. paien, celebre pour avoir inaugure la paraphrase d'Aristote.
350 플뤼타르코스 다뗀(Plutarque d'Athenes, 350-432) 그리스 철학자. 네오플라톤주의자.
354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 d’Hippone, Aurelius Augustinus 354-430) 교부철학자. Les Confessions, ecrites de 397 a 400 ; De la trinite (410-416) ; la Cite de Dieu de 410 a 426
370 휘파티아(Hypatie, Ὑπατία / Hypatia, 370-415) 알렉산드리아 여성철학자 수학자.
4?? 히에로클레스(Hierocles d'Alexandrie dit Hierocles le Pythagoricien ou Hierocles Platonicus, 5세기) 플뤼타르코스 다뗀의 제자.
4?? 헤쉬키오스(Hesychios ou Hesychius ou Hesychius, Ἡσύχιος / Hesykhios, 5세기경 ≪ celui qui est calme ≫) 알렉산드리아 문법학자. 용어사전 편찬자.
40?-? 스토바이오스(Jean Stobee, Ἰωάννης ὁ Στοβαῖος / Joannes Stobæus, 원명 Stobi (Macedoine) 5세기 중엽활동 이교도이며, 학설사가 편집자. Anthologie 여기에는 많은 단편들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없는 것이 있다.
410 프로클로스(Proclus Proklos, Πρόκλος / Proklos, 410-485) 그리스의 철학자. 그리스도교의 감화력이 강한 시대에서 끝까지 그리스철학의 전통을 옹호하여디아도코스(전통계승자)≪ le Diadoque ≫ (διάδοχος, successeur)라는 칭호를 얻었다.
440 암모니오스(Ammonios d'Alexandrie, Ἀμμώνιος ὁ Ἑρμείου 440-517) 그리스 네오플라톤주의 철학자.
460 다마스키오스(Damascios le Diadoque, Δαμάσκιος διάδοχος, ne a Damas, 458/460경-537) 시리아 수도 다마스출생 이집트에서 사망했다.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마지막 계승자. 이시도르(Isidore de Gaza)와 마리노스(Marinos de Neapolis)에게서 배우고, 심플리키오스(Simplicios de Cilicie)와 올림피오도르(Olympiodore le Jeune)의 스승이며, 후기고대의 이교(paganisme)의 마지막 옹호자이다. 유스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529년 폐쇄된 아테네 아카데미아의 마지막 계승자였다.[이학자 다음은 플라톤학당이 없어지는 것이구나] 플라톤의 주석서로서 두권 Questions et solutions sur les premiers principes(Damascii quaestiones de primis principiis)와 Histoire philosophique 썼다.
46? 프리스키아노스(Priscien de Lydie, Πρισκιανός Λυδός / Priskianos Lydos, en lat. Priscianus Lydus en. Priscian, fl. 6세기, 532년경죽음) 리디아 출신(Lydie) 아테네 네오플라톤주의의 마지막 인물 중의 하나이다. 두 작품이 있다. 감관의 지각에 관한 테오프라스토스의 전형(une incarnation de Theophraste, Sur la perception des sens(en.eng. An epitome of Theophrastus' On Sense-Perception), Reponses a Chosroes, Solutiones ad Chosroem)(Answers to Chosroes)
470 보에티우스(Boece, 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vers 470-524) 테오도리쿠스(Theodoric le Grand)시대 라틴 철학자, 정치가. 황제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철학의 위안(De philosophiae consolatione) Consolation de la philosophie, 524)』/ 마르티아누스 카펠라(Martianus Minneus Felix Capella, 5세기경) 라틴 작가. 『Noces de Philologie et de Mercure (en latin, De nuptiis Philologiae et Mercurii) (entre 410 et 429)』, 보에티우스는 이 작품의 영향을 받았다.
480? 심플리키오스(Simplicius, Σιμπλίκιος; c.490–c.560) 현 터키의 실리시아(Cilicie , actuelle Turquie Cilicia)출신이며 암모니우스(Ammonius Hermiae)와 아마스키우스(Damascius)의 제자이며 네오플라톤니즘의 마지막 사람 중의 한 사람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주석가. / 심플리키우스(Simplicius)에 의해 인용된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e) (Diels, Doxographi graeci, 376, 3-6). 참조, Burnet, L'aurore de la philosophie grecque, p. 61-66.
490 위 디니(Le Pseudo-Denys l'Areopagite, 490년 경활동) 신비적 신학의 크리스트교 논설 작가. 프로클로스의 영향을 받았다.
490 필로포노스(Jean Philopon, gr. Ἰωάννης ὁ Φιλόπονος, en arabe Yaḥyā al-Naḥwī, 490/495-568) 그리스어로 쓴 문법학자. 철학자, 크리스트교 신학자. 알렉산드리아 출신.
529 아카데미 폐쇄: 유스티아누스는 529년에 다마스키오스(Damascios le Diadoque διάδοχος 458-538)가 이끌던 아테네의 네오플라톤주의 학교를 폐쇄하였다. 이 학교는 기원전86년에 문닫았던 유명한 아카데미를 연장한 것이다. (fr.Wiki. En 529, Justinien ferme l'ecole neoplatonicienne d'Athenes, alors dirigee par Damascios le Diadoque, et qui prolongeait l'illustre Academie de Platon, close avec Sylla en 86 av. J.-C.)
/ 유스티아누스(Justinien Ier, en lat. Imperator Caesar Flavius Petrus Iustinianus Sabbatius Augustus, en gr. Φλάβιος Πέτρος Σαββάτιος Ἰουστινιανός, 483-565)[재위 527-565) 동로마 황제(l'empereur byzantin).
8?? 수다(La Souda, Σοῦδα / Soũda) 또는 수이다스(Suidas (Σουίδας / Souidas) 9세기 말경에 나온 그리스 백과사전. 이 책은 특히 고대에 근거하는 작품들에서 매우 자주 이용되는 인용을 위한 참조의 사전이다. 우선, 몇몇 사람들은 이편차가 수이다스(Suidas ou Souidas, Σουίδας / Souidas)일 것이라 한다. 그는 9세기말에 편찬자라는 것이다. 즉 프랑스인들이 라루스판, 로베르판이라고 부르듯이.
1018 프셀로스(Michel Psellos, Μιχαὴλ Ψελλός / Michael Psellos, 1018-1078) 비잔틴 작가 철학자. sur les Oracles chaldaiques (Commentaire des 'Oracles chaldaiques' , Exposition sommaire et concise des croyances chaldaiques, Esquisse sommaire des anciennes croyances des Chaldeens) : Oracles chaldaiques, Les Belles Lettres, 1971
1021 에우도키아(Eudocie Makrembolitissa, Εὐδοκία Μακρεμβολίτισσα, 1021경-1096)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Constantine X Doukas -1067)의 둘째 부인. 그리고 둘째 결혼으로 로마노스 4세(Romanos IV Diogenes)의 부인이다. / 역사와 신화의 사전, 이오니아(Ἰωνιά, fr. Champ de violettes, en. Collection or Bed of Violets)편찬.
1360 플레톤(Georges Gemiste, dit Plethon, Γεώργιος Γεμιστός, Πλήθων, 1355 /1360경-1452) 비잔틴 네오플라톤철학자. 그 시대에 가장 독창적인 철학자. ,
1395 아르귀로풀로스(Jean Argyropoulos, Ιωάννης Αργυρόπουλος, Ioannis Argiropoulos en italien : Giovanni Argiropulo v. 1395 -1487) 비잔틴 학자. 철학자 인문주의자. 1453년 콘스탄티노플 함락으로 이탈리아로 이민자.
1423 칼콘딜레스(Demetrios Chalcondyle, Δημήτριος Χαλκοκονδύλης/Chalkokondiles. lat. Demetrius Chalcocondylas, 1423- 1511) 아테네 태생 이탈리아 이민자로서 그리스어 전파. 파두아 대학 교수를 지냈고, 1479년에 그는 메디치가(Laurent de Medicis) 초대를 받아 아르귀로풀로스(Jean Argyropoulos v. 1395 -1487)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리고 푸생(Marsile Ficin), 폴리티앙(Ange Politien), 가자(Theodore de Gaza)와 함께 그리스문학의 르네상스를 이루었다. 그의 수많은 제자들 가운데 독일 제자로는 철학 신학의 로이히린(Johannes Reuchlin)과 박식자인 스칼라(Alessandra Scala)가 있다.
1433 피치노(Marsile Ficin, en lat. Marsilius Ficinus, en it. Marsilio Ficino, 1433-1499)는 이탈리아 철학자이자 시인이다. 메디치가 코지모(Cosimo de' Medici, fr. Cosme de Medicis)가 1459년에 창설한 플로랑스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었다. 콘스탄티노풀 함락일 때 딱 20살이었다.
1454 이탈리아 플로랑스의 인문학자인 폴리티아누스(Angelo Ambrogini ou Agnolo Poliziano, fr. Ange Politien, lat. Angelus Politianus, 1454-1494)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추측일 뿐이라 한다.
1528 에스띠엔(Henri Estienne, 1528-1598)은 리용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죽은 프랑스 문헌학자. 에스띠엔은 그리스어로 스테파노스(Στέφανος Stephanos), 라틴어로 스테파누스(Stephanus)이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스테파노스 판본 126 c 등으로 표현한다.
1540 세라누스(Jean de Serres, en latin Joannes Serranus, 1540-1598) 프랑스 칼빈파 목사, 인문주의자, 사료편찬자.
1758 테일러(Thomas Taylor, 1758–1835) 영국 번역가, 신플라톤주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만큼이나 오르페우스에 관심
1771 크뢰제(Georg Friedrich Creuzer, 1771-1858) 독일 고고학자, 문헌학자. 하이델베르크 대학 문헌학교수. 플로티누스(Plotin)(3 volumes, 1835)을 편집
1778 아스트(Georg Anton Friedrich Ast, 1778-1841) 독일 철학자 문헌학자. la Vie et les ecrits de Platon (1816),
1784 디센(Georg Ludolf Dissen, 1784–1837) 독일고전 문헌학자.
1785 뵈크(Philipp August Bockh, 1785-1867) 독일 문헌학자. 고대학문전공.
1785 벡커(Immanuel Bekker, 1785-1871) 독일 문헌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전공,
1790 브란디스(Christian August Brandis, 1790-1867) 독일 문헌학자. 철학사가 Handbuch der Geschichte der Griechisch-Romischen Philosophie (1835-1866);
1793 슈탈바움(Johann Gottfried Stallbaum, lat. Godofredus Stallbaumius; 1793-1861) 독일 문헌학자. 플라톤 문헌정리자.
1794 그로트(George Grote, 1794–1871) 영국 급진 정치가, 고전역사가 그리스 역사(A histor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close of the generation contemporary with Alexander the Great, 1846-1856
1804 글라디쉬(Agust Gladisch, 1804–1879) 독일 (고전학)고등학교교장, 역사가.
1813 라베송(Jean Gaspard Felix Ravaisson-Mollien, 1813–1900) 프랑스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
1814 젤러(Eduard Zeller, 1814-1908) 독일 역사가 철학자. 그리스의 역사 발전에서 그리스철학(Die Philosophie der Griechen in ihr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1844-1852). - La philosophie des Grecs dans son developpement historique (1844-1868, 2e ed. 1 856 t. I p. 361-617), I, 1, trad. de l'all. E. Boutroux, 1877, t. I, p. 280-474.
1814 보니쯔(Hermann Bonitz, 1814-1888) 독일 문헌학자,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색인(Index Aristotelicus (1870).
1819 슈베글러(Albert Schwegler, 1819-1857) 신학자, 철학자, 역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Die Metaphysik des Aristoteles, 1847)
1820 프란틀(Carl Prantl,, 1872부터 Ritter von Prantl, 1820-1888) 독일 철학자. 문헌학자. 서양에서 논리학의 역사(Geschichte der Logik im Abendland, 1855–1870, 4권)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
1824 베르나이스(Jacob Bernays, 1824-1881) 독일 문헌학자. 사서직. 유태인으로 랍비의 아들. 하빌리타찌온을 했으나 개종하지 않아서 사서직에 있었다. 그는 프로이트 부인(Martha Bernays, femme de Freud)의 삼촌이다.
1826 위베르베크(Friedrich Ueberweg, 1826-1871) 독일 문헌학자.
1830 캠프벨(Lewis Campbell, 1830–1908) 스코틀랜드 고전학자.
1832 곰페르쯔(Theodor Gomperz 1832-1912) 오스트리아 철학자, 고전문헌학자. 헤라클레이토스와 헤로도토스의 작품들이 있다. [ 아들 곰페르쯔(Heinrich Gomperz 1873-1942) 오스트리아 철학자. 심리학에 관한 저술이 있다. 헤라클레이토스의 몇몇 단편들의 순서(Reihenfolge einiger Bruchstucke des Heraklits, 1923. deu.Wik에 나오지 않는 작품인데, 아마도 아버지의 작업을 유작으로 낸 것이 아닌가 추측해본다.]
1838 푸이예(Alfred Fouillee, 1838-1912) 프랑스 철학자. La Philosophie de Platon, 1867, 2권, 소크라테스, 1868)
1840 바이워터(Ingram Bywater 1840–1914) 영국 그리스 고전연구자. 에페소스의 헤라클레이토스 단편들(Heracliti Ephesii Reliquiae (1877)
1840 디텐베르거(Wilhelm Dittenberger, 1840-1906) 독일 문헌학자, 그리스 비석문(금석문)학자.
1843 딴느리(Paul Tannery 1843-1904) 프랑스 과학사가. 희랍과학의 역사(Pour l'histoire de la science hellene, 1887,
1845 에르빈 로데(Erwin Rohde, 1845-1898) 독일인, 그리스 고전문헌학자. 영혼(Psyche. Seleenkult und Unsterblichkeitsglaube der Griechen, 1890–1894(2권)
1848 헤르만 딜스(Hermann Alexander Diels, 1848–1922) 독일 그리스 고전학자. 그리스 학설사(Doxographi Graeci, 1879(재 1929),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 대한 심플리키우스(Simplicii In Aristotelis Physicorum libros quattuor priores commentaria (2 vol. 1882–1895)(재 1962), 소크라테스 이전시대의 단편들(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Berlin, 1903)
1848 브로샤르(Victor Brochard, 1848-1907) 프랑스 철학자, 고대그리스 철학사 전공,그리스 회의주의자들(Les Sceptiques grecs, 1887), 마르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브리쇼(Brichot)의 주인공의 모델이란다.
1848 빌라모비츠-묄렌도르프(Ulrich von Wilamowitz-Moellendorff, 1848–1931), 독일고전 문헌학자. 플라톤: 생애와 작품(Platon. Leben und Werke/ Beilagen und Textkritik, 1919
1850 해리슨(Jane Ellen Harrison, 1850–1928) 영국 고전학자, 언어학자, 여성주의자. 그리스 종교 연구 서설(Prolegomena to the Study of Greek Religion, 1903)(개정판 1908, 1922)
1858 프레히터(Karl Praechter, 1858-1933) 독일 고전문헌학자. 철학사 개요 1: 고대 (Grundriß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Band 1: Das Altertum(s.d. 1907?)
1859 본회퍼(Adolf Friedrich Bonhoffer, 1859-1919) 독일 신학자. 철학사가, 문헌학자. Epictet und die Stoa. Untersuchungen zur stoischen Philosophie. 1890, Die Ethik des Stoikers Epiktet. Anhang: Exkurse uber einige wichtige Punkte der stoischen Ethik 1894, 에픽테투스와 신약전서(Epiktet und das Neue Testament. 1911).
1859 뒤멜러(Georg Ferdinand Dummler, 1859-1896), 독일 고전 문헌학자. 아카데미아(Akademika, 1889)
1861 게프켄(Karl Heinrich Johannes Geffcken, 1861-1935) 독일 고전 문헌학자. 그리스 문학전공
1863 버넷(John Burnet, 1863–1928) 스코틀랜드 출신 플라톤 전공자. 초기 희랍 철학(Early Greek Philosophy)(1892. 4th edition, 1930)(fr,. L'aurore de la philosophie grecque, tr. Reymond, 1919) 그는 옥스퍼드에서 1900-1907년에 플라톤 판본을 낸다.
1863 케른(Otto Kern, 1863-1942) 독일 고전문헌학자, 고고학자. 오르페우스교 전공. De Orphaei Epimenidis Pherecydis theogoniis quaestiones criticae. 1888)(박사학위논문), 오르페우스: 종교역사 탐구(Orpheus. Eine religionsgeschichtliche Untersuchung. 1920)
1866 레옹 로방(Leon Robin, 1866-1947) 고대 철학사가. 프랑스에서 플라톤 연구의 스승으로 간주되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라서, 이데아들과 수들에 대한 플라톤 이론(La Theorie platonicienne des Idees et des nombres d'apres Aristote, 1908),
1867 비데(Joseph Marie Auguste Bidez, 1867-1945) 벨기에 고전문헌연구자. 사가. 엠페도클레스 전기(La biographie d'Empedocle, 1894)
1868 프랑즈 뀌몽(Franz-Valery-Marie Cumont, 1868–1947) 벨기에 고고학자 문헌학자 비명학자. 미드라 신앙 연구자
1869 테일러(Alfred Edward Taylor, 1869–1945) 영국 관념론 철학자. Varia Socratica, 191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연구가 있다. :
1871 레비(Isidore Levy, 1871-1959) 동방셈족의 고대사 전공, 피타고라스 연구, 꼴레쥬 드 프랑스 교수(1932-1945) 피타고라스 전설의 근원에 관한 탐구(Recherches sur les sources de la legende de Pythagore, 1926
1874 콘포드(Francis Macdonald Cornford, 1874–1943) 영국 고전학전공, 신화역사가 투키디데스(Thucydides Mythistoricus 1907), 종교에서 철학으로(From Religion to Philosophy: A Study in the Origins of Western Speculation 1912), 지혜의 원리: 그리스 철학적 사유의 기원(Principium Sapientiae: The Origins of Greek Philosophical Thought(posthumously published, 1952).
1875 디에스(Auguste Dies, 1875-1958) 프랑스 고위성직자(주교이상) 문학박사. 대학학장, 헬레니스트. 신비적 순환: 소크라테스이전 철학에서 개별적 현존들의 신성, 기원 그리고 종말(Le Cycle mystique. La divinite, origine et fin des existences individuelles dans la philosophie antesocratique, 1909
1876 리보(Albert Rivaud 1876-1956) 프랑스 철학자. 정치가. 생성의 문제: 기원에서 테오프라스토스에까지 그리스 철학에서 물질의 개념(Le probleme du devenir et la notion de la matiere dans la philosophie grecque depuis les origines jusqu'a Theophraste, 1906
1877 몬돌포(Rodolfo Mondolfo, 1877–1976) 이탈리아 철학자. L'infinito nel pensiero dei Greci, 1934; 재판본은 제목이 좀 바뀌었다. (L'Infinito nel pensiero dell'antichita classica, Bompiani, 1956). 젤러(E. Zeller)와 함께 그리스의 철학(La filosofia dei Greci)(I, 4, 1961) L'infinita dell'Essere in Melisso, 1993, Sofia, p. 159.
1878 아들러(Ada Sara Adler, 1878-1946) 덴마크 고전 문헌학자. 덴마크 유대인? 그녀의 고모는 물리학자 닐스 보어의 어머니다. 그녀는 수다(Leibzig, 1928-1938)(5권) 편집자이다
1879 책 Doxographi Graeci 1879(Berlin, 1879, reprint Berlin: de Gruyter, 1929) 딜스(Hermann Alexander Diels, 1848–1922) 작품이다.
1879 슈스터(Mauriz Schuster, 1879-1952) 오스트리아 고전문헌학자. 플리니우스 전공.. 로마시대 저술 번역.
1879 분트(Max Wundt, 1879-1963) 독일 철학자, 반유태주의 및 국가사회주의자. 그리스 철학에서 주지주의(Der Intellektualismus in der griechischen Philosophie, 1907)
1880 하쯔펠드(Jean Hatzfeld, 1880-1947) 프랑스 고고학자 고전 그리스 전공, 소르본 교수. 고대 그리스 역사(Histoire de la Grece ancienne, 1926), 유작으로 알키비아데스, 5세기말 아테네 역사에 관한 연구 및 소크라테스, 아르기누사이 해전의 재판과정 (Alcibiade. Etude sur l'histoire d'Athenes a la fin du Ve siecle. Socrate au proces des Arginuses, 1951)
1880 루드베르크(Gunnar Rudberg, 1880-1954) 스웨덴 고전 문헌학자. 웁살라대학 그리스어 문학 전공교수 Platon, hans person och verk (1922), 크세노폰에 의한 소크라테스(Socrates bei Xenophon, 1939(Uppsala, 1939)
1882 망시옹(Augustin Mansion, 1882-1966) 벨기에 철학자, 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전문가.
1883 삐까르(Charles Picard, 1883-1965) 프랑스 역사가 고고학자. 고대 그리스 전공 Manuel d'archeologie grecque(la sculpturevol. I (VIIe – VIe siecle av. J.-C., 1935), 이 책의 총서(4권)은 1963년에 완성한다. .
1883 슈텐쩰(Julius Stenzel, 1883-1935) 독일 고전문헌학자. 철학자. 플라톤 변증법의 발건에 관한 연구: 소크라테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Studien zur Entwicklung der platonischen Dialektik von Sokrates zu Aristoteles, 1917)(Trewendt & Granier, Breslau)
1884 지글러(Konrat Furchtegott Ziegler, 1884-1974) 독일 그리스 고전학자. 문헌학자. 플타크에 관한 저술이 많다. 종교역사에 관심.
1884 크란츠(Walther Kranz, 1884-1960) 독일 그리스 고전 문헌하자. 딜스와 함께 소크라테스 이전시대의 단편들(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Berlin, 1903)썼다.
1888 그리스 연구지(Revue des etudes grecques, REG) 1888년에 창간. 파리에서 출판되어 현재까지 나오는 고대 그리스 연구 잡지. “프랑스 그리스연구 장려회”(l'Association pour l'encouragement des etudes grecques en France, AEEGF)가 주관한다.
1888 예거(Werner Jaeger, 1888-1961) 독일 문헌학자 철학사가.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의 신학(Die Theologie der fruhen griechischen Denker, 1953
1888 프랭켈(Hermann Ferdinand Frankel, 1888-1977) 독일-미국인 그리스 고전문헌학자. 초기 그리스 정신의 시와 철학(Dichtung und Philosophie des fruhen Griechentums, 1951), 초기 그리스 사유의 길과 형식(Wege und Formen fruhgriechischen Denkens, 1955(1961 재판)
1890 마튜(Georges Constant Mathieu, 1890-1948) 프랑스 헬레니스트. 파리대학 문학부(현4대학) 교수. 이소크라테스의 정치적 생각들(Les Idees politiques d’Isocrate, 1925)
1890 팀파나로-카르디니(Maria Timpanaro Cardini, 1890-1978) 이탈리아 여성 고전문헌학자
1892 책 초기 희랍 철학(Early Greek Philosophy 1892) 출판 - 버넷(John Burnet, 1863–1928) 작품이다.
1893 트리꼬(Jules Tricot, 1893-1963) 아리스토텔레스 번역자. 학문의 독창성은 없지만 충실한 번역으로 중요한 작업을 했다.
1893 도즈(Eric Robertson Dodds, 1893–1979) 아일랜드 고전학자. 그리스인과 비합리(The Greeks and the Irrational, 1951)
1897 볼프(Erwin Wolff, 1897-1966) 독일 고전 문헌학자. 플라톤의 변론(Platos Apologie, 1926)
1898 페스튀지에르(Andre-Jean Festugiere, Jean Paul Philippe Festugiere, 1898-1982) 프랑스 철학자, 도미니크 수도승, 문헌학, 네오플라톤주의 전문가 특히 프로클루스(Proclus)전공.
1898 뒤메질(Georges Dumezil, 1898–1986) 프랑스 비교문헌학 인도유럽 사회와 종교 전공.
1899 샤푸띠에(Fernand Chapouthier, 1899-1953) 프랑스 헬레니스트 고고학자. 크레타 문명과 유리피데스 전공, 1918년 ENS. 소르본교수 ENS 부원장.
1899 오니언스(Richard Broxton Onians, 1899-1986) 영국 고전학자. 런던대 교수. 유럽 사상의 기원: 신체, 정신, 영혼, 세계, 시간, 운명에 대하여(The Origins of European Thought: About the Body, the Mind, the Soul, the World, Time and Fate, 1951).
1899 운테르스테이네르(Mario Untersteiner, 1899–1981) 이탈리아 고전문헌학자. 철학자.
1900 봐양세(Pierre Boyance, 1900-1976) 그리스 근원의 라틴문학 전공 ENS출신 국가박사 논문 Le culte des Muses chez les philosophes grecs(부논문these secondaire : Etudes sur le songe de Scipion).
1900 빨쩌(Richard Rudolf Walzer, 1900-1975) 독일영국 고전문헌학자. 철학자.
1900 프리쯔(Kurt von Fritz, 1900–1985) 독일 고전문헌학자.
1901 윙베르(Jean Humbert, 1901-1980) 프랑스인 그리스전공. ENS, 소르본 교수. 박사학위논문 폴리크라테스; 소크라테스 고발과 고르기아스(Polycrate, l'accusation de Socrate et le Gorgias, 1930)
1902 쉴(Pierre-Maxime Schuhl, 1902-1984) 프랑스 철학자. 1921년 ENS. 플라톤의 상상적 허구에 관한 연구(Etude sur la fabulation platonicienne (1947)
1904 체니스(Harold Fredrik Cherniss, 1904–1987) 미국 고전철학, 그리스 전공자.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주의(Aristotle's Criticism of Presocratic Philosophy, 1935)
1905 랑누(Clemence Ramnoux, 1905–1997) 프랑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전 그리스 사상 전공 그리스 사상에서 밤과 밤의 어린이들(La Nuit et les enfants de la Nuit dans la tradition grecque, 1959)
1906 윌리엄 거드리(William Keith Chambers Guthrie, 1906–1981) 스코틀랜드 그리스 고전학자. 그리스 철학사(History of Greek Philosophy(1962-1981)
1907 뚜르이야르(Jean Trouillard, 1907-1984) 프랑스 신학 철학 교수. 플로티누스와 프로클루스 전공.
1907 마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 [ˈmirt͡ʃe̯a eliˈade], 1907–1986) 루마니아 종교사가. 비교종교에서 양식들(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1958)
1910 하랄트 파처(Harald Johannes Bruno Otto Patzer, 1910-2005) 독일 문헌학자. Die Formgesetze des homerischen Epos. 1996
1911 카라텔리(Giovanni Pugliese Carratelli, 1911–2010) 이탈리아 역사가 고대사 전공
1912 올로프 지공(Olof Gigon, 1912-1998) 스위스 고전문헌학자. 고대철학의 문제(Probleme der antike Philosophie)(deu.Wiki에 작품 없음, 발음은 지공으로 하라고 나옴)
1913 베르데니우스(Willem Jacob Verdenius, 1913–1998), 네델란드 고전 문헌학자. 파르메니데스(Parmenides, 1942)
1914 어원사전 그리스 언어의 어원사전(Dictionnaire e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1907-1914) 봐자끄(Emile Boisacq 1865-1945) 벨기에 언어학자.
1914 베르낭(Jean-Pierre Vernant, 1914-2007) 프랑스 고대 그리스 신화 연구자. 그리스 사유의 기원(Les Origines de la pensee grecque, 1962) 그리스인들에서 신화와 사유: 역사적 심리학의 연구(Mythe et pensee chez les Grecs. Etudes de psychologie historique, 1965
1914 골드슈미트(Victor Goldschmidt, 1914-1981) 프랑스 철학자. 베를린 태생 플라톤의 대화편들(Les Dialogues de Platon, 1944)
1914 레이븐(John Earle Raven, 1914–1980) 영국 그리스고전 연구자. 식물학관심자, 피타고라스학자들과 엘레아학자들(Pythagoreans and Eleatics: An accou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opposed schools during the fifth and early fourth centuries B.C, 1948
1915 하이니만(Felix Heinimann, 1915–2006) 스위스 그리스 문헌학자.
1916 부땅(Pierre Boutang, 1916-1998) 프랑스 철학자, 시인, 플라톤 번역가
1917 데카리(Vianney Decarie, 1917-2009) 퀘벡 철학자, 교수. 아리스토텔레스전공자. L'objet de la metaphysique selon Aristote, 1961
1919 프랑스에서 고전 원전과 번역을 배열하는 벨레뜨르판 시작 귀욤 비데의 학회 주도로 이루어지다. (La Societe d'edition Les Belles Lettres est fondee en 1919 a l'initiative de l'association Guillaume Bude)
1919 박홍규(朴洪奎, 1919-1994) 한반도에서 그리스철학전공자. 특히 플라톤 전공, 플라톤 철학 구술 강의록 등 다섯 권이 있다.
1919 브룅(Jean Brun, 1919-1994)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 전공. 엠페도클레스(Empedocle, 1966)
1920 도버(Kenneth James Dover, 1920–2010) 영국 그리스고전학자. 그리스 동성애(Greek Homosexuality. 1978),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시대에서 그리스 인민의 도덕성(Greek Popular Morality in the Time of Plato and Aristotle, 1974)
1921 키르크/커크(Geoffrey Stephen Kirk, 1921-2003) 영국 그리스 고전문헌학자. 헤라클레이토스: 우주에 관한 단편들(Heraclitus, The Cosmic Fragments, 1954), 「
1922 아도(Pierre Hadot, 1922-2010) 프랑스 철학자, 역사가, 문헌학자. 고대전공 네오플라톤니즘과 플로티누스 Plotin ou la simplicite du regard ; 4e ed. Paris, Gallimard, 1997.
1923 볼락(Jean Bollack, 1923-2012) 프랑스 철학자, 문헌학자. 엠페도클레스(Empedocle, 1965, 1969)(3권) 파르메니데스(Parmenide, de l'etant au monde, 2006)
1923 팀파라노(Sebastiano Timpanaro, 1923-2000) 이탈리아 고전문헌학자. 그의 어머니(Maria Timpanaro Cardini, 1890-1978)도 고전문헌학자이다.
1928 철학 연감(Annee philologique, APh), 원제는 철학연감: 고대 그리스-라틴에 대한 비판과 분석의 서지학(L’Annee philologique: bibliographie critique et analytique de l’Antiquite greco-latine). 이는 1926년 라틴연구가인 마루조(Jules Marouzeau, 1878-1964)가 창안, 1928년부터 현재까지 연감을 출판하고 있다.
1929 오방끄(Pierre Aubenque, 1929- ) 프랑스 철학자. 파리4대학교수, 아리스토텔레스 전공
1930 비달-나께(Pierre Emmanuel Vidal-Naquet, 1930-2006) 고전 그리연 연구자.
1933 뒤몽(Jean-Paul Dumont, 1933-1993)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 사가.
1934 박종현(1934-) 서울대철학과, 1972-2000까지 성균관대 교수.《국가》,《티마이오스》, 《네 대화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필레보스》번역.
1934 리차드 소랍지(Richard Rustom Kharsedji Sorabji, 1934) 영국 서양고대철학사가
1935 드띠엔(Marcel Detienne, 1935-) 벨기에 출신 프랑스 대학인, 그리스 연구자
1935 호센펠더(Malte Hossenfelder, 1935–2011), 독일철학자. 라틴전공.
1935 쥬안나(Jacques Jouanna 1935-) 그리스 의학과 비극 전공자인, 히포크라테스 전공,
1936 떼오필 오방가(Theophile Mwene Ndzale Obenga, 1936- ) 아프리카출신 흑인. 이집트학, 언어학, 역사전공.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연결지점 전공
1940 삐까르(Olivier Picard, 1940-) 프랑스 헬레니스트, 아테네 프랑스학당(Ecole francaise d'Athenes)원장이다.
1941 마떼이(Jean-Francois Mattei, 1941-) 그리스 철학 교수, 오방끄(Pierre Aubenque)와 부땅(Pierre Boutang)의 제자.
1941 쿨루바리치스(Lambros Couloubaritsis, 1941-) 그리스계 벨기에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La Physique d'Aristote, 1998)
1942 나르시(Michel Narcy, 1942-) 프랑스 철학사가, 특히 고대철학. 국립과학연구소(CNRS: L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소장이다.
1942 반즈(Jonathan Barnes, 1942-) 영국 고대철학자. Porphyry: introduction (2003)
1943 윤구병(尹九炳, 1943-) 박홍규의 제자, 농부라고 주장하는 빨강이. 철학을 다시 쓴다, 2013)가 있다.
1943 굴레(Richard Goulet, 1943-) 퀘백출신, 프랑스 CNRS 명예연구원장이다. 고대철학자사전(Dictionnaire des philosophes antiques: DPhA)편집장. - A(1989)에서 O(2005)까지 4권이 나왔다.
1943 파쩌(Andreas Patzer, 1943-) 독일 고대 문헌학자. Der Historische Sokrates, 1987
1946 브리송(Luc Brisson, 1946-) 퀘벡 철학자.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의 존재론적 구조에서 동일자와 타자: 플라톤 티마이오스편의 체계적 주석(Le meme et l'autre dans la structure ontologique du Timee de Platon. Un commentaire systematique du Timee de Platon, 1974)(589 p), 오르페우스와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 오르페우스 비의(Orphee et l'Orphisme dans l'Antiquite greco-romaine, 1995)(VIII + 301 p)
1952 이정호(1952-), 박홍규제자. 플라톤고전 번역을 주도하는 “정암학당”을 세우다. ,
1954 칸토-슈뻬르베(Monique Canto-Sperber, 1954) 프랑스철학자. 고대철학 플라톤 전공, 여성으로 처음으로 2005년 ENS 교장.
1955 프로네시스(Phronesis)(아리스토텔레스 용어: 실천적 지혜) 고대철학을 연구하는 잡지. 1955년 영국에서 알랑(Donald James Allan, s.d.)과 스켐프(Joseph Bright Skemp, s.d.)에 의해 창간되었다. ,
1960 도리옹(Louis-Andre Dorion, 1960-) 퀘벡출신, 고대철학전공, 파리1대학에서 브룅슈비그(Jacques Brunschwig, 1929-2010)의 지도로 공부했다.
1968 어원사전 그리스 언어의 어원사전(Dictionnaire e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1968) - 편집자 샹트렌(Pierre Chantraine, 1899-1974) 프랑스 언어학자.
(40WMA) (5쪽시작 42OMH) (7:24 46TKC) (46UMD) / (10:14 47MKF) (15:8 47NKF) (17:8 47OLJ) (18:7 47OMJ) (19:5 47QLF) (20:1 47SME)
(21:13 47WLB)